- [그린경제/얼레빗 = 후쿠오카 이윤옥 기자] 일명 담징스님의 맷돌로 일컬어지는 맷돌을 보기위해 후쿠오카 관세음사(福岡 觀世音寺, 간제온지)를 찾았다. 12월 7일의 초겨울 날씨 치고는 매우 포근했고 날씨도 맑았는데 절 입구의 붉은 단풍나무가 아직도 고운자태를 보여 한국의 11월 날씨처럼 느껴졌다.
▲ 후쿠오카 관세음사(간제온지) 본당
관세음사는 큐슈지방의 대표적인 고찰로 절의 첫 삽을 뜬 시기는 666년이다. 이곳은 나라의 동대사(東大寺), 관동의 약사사(藥師寺)와 더불어 일본의 ‘삼계단(三戒壇, 계를 주는 단)’이 설치되었던 주요 절이다. 또한, 이 절에는 698년에 주조된 교토 묘심사의 동종(銅鐘)보다 앞선 일본 최고(最古)의 동종과 함께 국보급 불상이 많이 전해지고 있다.
그 가운데 담징스님의 맷돌은 단연 돋보이는 유물이다. 절의 주지이자 서남학원대학 문학부교수인 타카쿠라(高倉洋彰) 씨의 《태재부와 관세음(太宰府と觀世音), 1996》에 따르면 “이 맷돌은 610년 고구려에서 온 승려인 담징이 처음 만든 것으로 이것이 그 실물이다. 이 맷돌은 식용의 가루를 가는 용도가 아니라 가람 건립 때 사용되는 적색안료인 ‘주(朱)’를 생산하기 위한 것이었다.”라고 밝히면서 일본의 맷돌 권위자인 미와(三論茂雄)씨의 ‘다자이부 관세음사 맷돌에 대하여’에 자세히 나와 있다고 인용하고 있다.
▲ 고구려 담징 스님이 만들었다고 전하는 맷돌 -
그러면서 관세음사 창건과 더불어 전해 내려오는 유물로 제분기술 측면에서도 이 맷돌의 연구는 더 활발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관세음사는 과거 영화와 달리 지금은 찾아오는 사람이 거의 없는 한산한 절이지만 가람 규모로 보나 발굴된 승방 터 등으로 볼 때 담징스님이 머물렀던 당시에는 일본에서 손꼽는 규모의 절이었음을 알 수 있다.
담징의 맷돌을 뒤로하고 본당(한국의 대웅전) 뒤뜰로 나가면 주춧돌이 점점이 박혀 있는 널찍한 승방 터가 나온다. 작년에 왔을 때는 흰 눈이 내려 주춧돌 사이로 쌓여 있었는데 올해는 큼직큼직한 주춧돌이 선명히 그 모습을 드러냈다.
▲ 본당(대웅전) 앞의 맷돌
담징스님이 맷돌을 만들었다면 분명코 이곳 승방에서 묵었을 터였다.담징스님은 나라 법륭사의 화려한 금당벽화를 50면이나 그린 대화가이자 일본인의 최고 우상인 성덕태자의 스승이기도 하다.
담징스님에 대한 한국 쪽 기록은 유감스럽게도 남아있지 않다. 그러나 일본의 사서인《일본서기 권22》에 보면, 스이코 18년(610) 봄 3월조에 “高麗王貢上 僧曇徵 法定 曇徵知五經 且能作彩色及紙墨 造 蓋造 始于是時歟”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를 풀어보면 “고구려왕(영양왕)이 승려 담징(曇徵, 돈쵸)과 법정(法定, 호죠)을 보냈다. 담징은 오경(사서오경)에 능통하고 채색(그림)을 잘했으며 종이와 먹 만드는 기술을 지니고 있었다. 또한, 물레방아와 맷돌을 최초로 전했다)”라는 이야기다. 1251년의 《일본고승전요문초(日本高僧傳要文抄)》에도 ‘고구려 승 담징은 외학을 섭렵하고 5경에 밝았으며 610년 3월 법정스님과 함께 건너 왔다.’라는 기록이 있다.
▲ 주춧돌만 남은 본당 뒷뜰의 드넓은 승방터
담징스님의 법륭사 금당 벽화와 비단옷의 천사 그림 ‘비천도’ 그리고 이와 더불어 후쿠오카 관세음사의 맷돌은 1,400여 년의 세월을 뛰어넘어 지금도 우리 가슴에 고구려인의 뛰어난 예술혼을 보여주고 있다. 후쿠오카에는 곳곳에 고대 한국관련 유적지가 많지만 관세음사야 말로 고구려 스님 담징의 이야기가 전해지는 우리에게는 정겨운 곳이다.
그러나 일본쪽 관광 안내서에는 관세음사와 담징에 대한 이야기를 적어 놓지 않고 있다. 심지어는 관세음사 안내판에도 담징에 대한 말은 없다. “간제온지(관세음사)는 큐슈의 중심적 사원으로 부의 대사(府の大寺)로 불리고 있다. 백제를 구원하기 위해 큐슈로 떠난 사이메이(齊明) 천황은 출병하기 2년 전 661년에 아사무라노다치바나노히로니미야에서 돌아 가셨다. 그의 아들 텐지(天智)천황은 어머니의 명복을 빌기 위해 다자이후(太宰府)에 간제온지(관세음사)의 건축을 발원하고 약 80여년의 세월이 지난 746년에 절이 완성되었다”는 한글 설명이 붙어 있을 뿐이다.
▲ 관세음사 경내 계단원 앞 동백꽃
하지만 본당(대웅전) 앞에 커다란 돌맷돌은 오늘도 천여 년의 세월을 거뜬히 이겨내고 그 자리를 변함없이 지키고 있다. 서기 538년 야마토(이 시기에는 일본이란 국호가 생기기 이전)조정은 백제로부터 불교를 받아들여 아스카와 나라불교를 꽃피웠다. 이와 더불어 일본의 초기 불교 유입 시절에는 일본이 성자로 추앙하는 성덕태자의 스승인 고구려 혜자 스님을 비롯하여 담징스님 등 수많은 고승들이 고대 한국땅에서 건너와 불사(佛事)에 전념했다.
▲ 일본의 3대 계단원 가운데 하나인 관세음사 계단원
지금 보아도 넓고 큰 승방터에 북적 거렸을 승려들은 다 어디가고 지금은 승방터 돌덩이만 덩그렇게 남아 12월의 스산한 바람을 견디고 있다. 곳곳에 동백꽃이 피어있는 경내를 걸으며 우리에게 결코 낯설지 않은 이름 “담징스님”을 그려본다. 요즈음은 후쿠오카에 오는 한국인들이 많은데 담징스님의 유서 깊은 유래가 전해지고 있는 관세음사를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후쿠오카를 찾는다면 한번 찾아와 담징스님을 그려 보는 것도 좋을 일이다.
주 소 : 福岡 太宰府市 觀世音寺 五丁目 6番1 (觀世音寺 ‘간제온지’)
찾아가는 길 : 다자이후역(太宰府)에서 내려 걸어서 15분 또는 역 앞에서 관세음사 앞 까지 오는 마호로바(100엔) 버스를 타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