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경제/얼레빗 = 양승국 변호사] 홍대 앞 기차건물을 아십니까? 홍대입구역 사거리에서 홍대 쪽으로 100여 미터 오르다 보면 오른쪽으로 가늘고 길게 건물들이 일렬로 골목을 따라 올라가고 있습니다. 이 건물들이 마포구 서교동 365-2에서 26번지까지 모두 23개의 필지에 들어선 가늘고 긴 건물 집합으로 너비가 2 내지 5 미터, 길이가 250 미터에 달하는 기차건물입니다. 모여 있는 건물들이 기차처럼 가늘고 길게 늘어서 있어 기차건물이라고도 하겠지만, 실제로도 기차와 관련이 있던 건물들입니다.
▲ 기차건물 전경
강북 강변도로를 달리다보면 마포구 당인동 한강변에 1924년에 지어진 당인리 발전소(현 서울화력발전소)가 있습니다. 화력발전소이니 발전소를 돌리기 위한 석탄이 있어야했겠지요? 그래서 용산에서부터 당인리 발전소까지 기찻길이 이어지고 있었고, 그 기찻길이 홍대 앞 기차건물 옆을 지나가고 있었습니다. 참! 아니지요. 기찻길이 먼저 있었는데, 그 기찻길의 철둑을 따라 판잣집들이 하나, 둘 들어섰던 것입니다.
그러다가 1970년대에 당인리 발전소가 땔감을 석탄에서 가스로 바꾸면서 석탄을 실어 나르던 기찻길은 없어지고, 그 기찻길을 따라 들어섰던 집들만 그대로 운행을 멈춘 기차처럼 남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철도 레일을 걷어 낸 곳은 도로가 되었는데 주차장길이라 부르고, 기차건물이 들어서면서 주차장길 반대쪽에 먼저 생긴 길은 서교시장길이라고 부릅니다. 기차건물이 들어서면서 이쪽으로 서교시장이 형성되었기 때문에 서교시장길이라 부르는 것이지요. 주차장길은 철도 레일을 걷어내니 시장길보다 큰 길이 생겼는데, 주차 공간이 부족하여 주차장길 가운데에 주차 구획선을 기차건물을 따라 길게 만들다보니 주차장길이라고 부르게 된 것이지요.
▲ 기차건물 시작부분
참! 당인리 발전소 얘기가 나왔으니, '당인리' 땅 이름 유래에 대해서도 말씀드려야겠군요. 당인리(唐人里)는 당나라 사람이 살던 마을이란 뜻으로, 임진왜란 때 명나라 군대가 이곳에 주둔하였기에 '당인리'라는 이름이 생겼다고 합니다. '明人里'라 하지 않고 '唐人里'라고 한 것은, 우리나라에선 중국 사람들을 통칭하여 '唐人'이라고 불렀기 때문이지요.
중국을 오가는 배가 드나들던 충남 당진(唐津)의 포구를 '唐津'이라고 부르는 것과 같은 것입니다. 아마 신라의 삼국 통일할 때 당나라가 신라를 돕는다는 명목으로 한반도를 집어삼키려 했던 인상이 강렬하게 남아서 중국 사람을 '唐人'이라고 부르게 된 것이 아닐까요?
지난 주 목요일에 이 기차건물을 찾았습니다. 전에 이곳에 왔을 때, 가늘고 길게 늘어선 건물을 보며 왜 건물이 이렇게 늘어섰을까 의아하게 생각했는데, 그 유래를 알고는 다시 기차건물을 찾고 싶었던 것이지요.
▲ 기차건물 끝부분
마침 재즈협회 후원회장을 맡고 있는 임병걸 부장이 홍대 CY씨어터에서 열리는 재즈 공연을 보러 오라고 하여, 공연 시간보다 좀 일찍 출발하여 기차건물을 찾았습니다. 기차건물을 따라 걸으면서 과연 기차건물이라 할 만하겠구나 하는 생각은 하였지만, 평지에서 이걸 사진에 담으려니 아무래도 기차건물의 인상을 사진에 제대로 담을 수가 없습니다.
그런데 마침 기차건물이 끝나는 지점에 12층 건물이 있어서, 무조건 엘리베이터를 타고 12층으로 올라갔습니다. 12층에는 카페가 있어, 처음에는 카페에 들어가 허락을 받고 사진을 찍으려 했는데, 마침 옥상으로 올라가는 문이 열려 있어 옥상으로 올라갔습니다. 역시 옥상에서 내려다보니 기차건물이 한눈에 들어오더군요.
기차건물과 주위 건물들을 사진에 담는데, 12층 카페에서 여종업원이 쫓아 올라와 이상한 눈초리로 저를 쳐다봅니다. 제가 기차건물에 대한 유래를 얘기하고 이를 사진에 담으려고 올라왔다고 했는데, 여종업원은 기차건물이 뭔지도 모릅니다. 아니? 매일 기차건물을 내려다보면서 한번쯤 왜 건물이 저렇게 늘어섰을까 의아한 생각도 안 드나?
▲ 기차건물 항공사진
여종업원의 눈총을 받으며 아래로 내려왔습니다. 아까는 주차장길을 따라 올라왔는데, 이번에는 서교시장길을 따라 내려가며 기차건물을 바라봅니다. 홍대 앞이 젊은이의 문화 거리로 발전하면서 기차건물도 겉모습이 많이 세련되어졌지만, 기본적으로 그 옛날 철길 따라 늘어섰던 하꼬방* 건물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 기차건물이 언제까지 이 자리를 지킬 것인가?
서울시에서는 이곳을 '걷고 싶은 거리'로 재개발 하려고 몇 번 시도했다가 보상비 때문에 주춤하고 있다고 합니다. 글쎄요... 이곳을 세련된 디자인으로 재개발을 해야 걷고 싶은 거리가 될까요? 지금 이런 모습으로 추억을 간직하고 있는 기차건물이 남아 있어도 사람들은 걷고 싶은 거리로 찾아오지 않을까요? 재개발이란 명분하에 사라진 우리의 전통은 얼마나 많을 것인가? 이런 저런 상념에 잠겨 저는 CY씨어터로 한 걸음, 한 걸음 발길을 옮깁니다.
* 하꼬방 : 일본어 사전에는 상자를 뜻하는 말 “箱”이 올라와 있는데 이를 “하꼬”로 발음한다. 그러나 일본말에는 ”하꼬방“은 없다. ”하꼬“를 들여다 우리말 방을 붙여 쓰는 것이 ”하꼬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