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3 (수)

  • 구름많음동두천 18.6℃
  • 흐림강릉 10.4℃
  • 흐림서울 19.2℃
  • 흐림대전 19.5℃
  • 흐림대구 15.8℃
  • 흐림울산 14.5℃
  • 구름많음광주 19.6℃
  • 구름많음부산 16.1℃
  • 구름많음고창 19.0℃
  • 흐림제주 15.3℃
  • 구름많음강화 17.4℃
  • 흐림보은 17.9℃
  • 구름많음금산 19.6℃
  • 흐림강진군 16.4℃
  • 흐림경주시 12.8℃
  • 구름많음거제 16.6℃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눈에 띄는 공연과 전시

행복을 가져다주는 파랑새는 우리 곁에 있다

2014년 노원어울림극장의 특별한 무대, 파랑새 L'Oiseau Bleu

[그린경제/얼레빗=이한영 기자]  노원어울림극장(KT노원지사 지하1)은 오는 516(, 오후8) 모리스 마테를링크(Maurice MAETERLINK, 1862-1949, 벨기에 시인, 작가) 원작의 동화극 <파랑새>를 주민들에게 선보인다. 

   
 

이 작춤은 유명한 벨기에 상징파 시인이자 극작가인 모리스 마테를링크의 동화극 <파랑새>를 현대적 시각으로 재해석 각색 연출한 것이다. 원작 <파랑새>는 전 세계 25개 국어로 번안되어 연극뿐 아니라 영화, 오페라, 무용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전 세계에서 공연되고 있는 유명한 극작품이다.  

틸틸(Tyltyl)과 미틸(Mytyl)영원한 행복을 가져다주는 파랑새를 찾아 꿈의 여행을 떠난다. 잡힐 듯 말 듯한 파랑새를 따라 들르는 장소에서는 뜻밖의 예기치 못한 일들이 벌어지고, 마침내 파랑새를 잡은 것 같았으나 새는 색이 변하며 죽어버리고 만다. 결국 파랑새 찾기를 포기한 두 아이는 다음 날 잠에서 깨어나 눈을 뜨자 자신들의 집 새장에서 그처럼 찾아 헤매던 파랑새를 발견하고 우린 너무 먼 곳에서 찾아 헤맸어. 파랑새는 여기 있는데...”라고 탄식한다. 

극단 꼴렉띠프까뜨앨의 <파랑새>2012 프랑스 아비뇽 오프 페스티벌 최고의 흥행작품이다. 새로운 영상예술의 장르를 개척한 이미지 연극 전문극단으로 세계명작동화 파랑새를 영상예술의 미학으로 승화시킨 작품으로 프랑스 영상예술의 진수를 보여주는 무대이다. 

   
 

   
 

극단 꼴렉띠프까뜨앨은 2002년 창단 이래 다양한 예술분야의 전문가들과 공동 작업을 통한 새로운 연극기법 및 연출을 추구하고 있다. 특히 곡예예술, 그림자 연극, 비디오 영상기술 연출, 시적인 대사, 요리를 연극적 요소로 각색, 인형극적 요소 가미 등등 다양한 방면의 기법들을 혼용한 극을 무대에 올리며 우리가 살고 있는 현대세상을 풍자하면서도 동시에 시적인 표현으로 승화해 내고자 노력하고 있다. 

극단 구성원으로는 연출가이자 조형예술가인 미카엘 뒤조투와 Michael DUSAUTOY, 비디오 아티스트 아나벨 브뤼네 Annabelle Brunet, 배우 겸 공중곡예사 Damien Saugeon, 배우 Claire Corlier로 시작하여 현재는 작가이자 극작가인 에블린 로에 Evelyne Loew와 음악가 및 현재 가수로 활동중인 에스 쁘띠 니코 S Petit Nico (Grand Corps Malademidi 20 제작자로 널리 알려짐)와 함께 작업하고 있다. 

원작자 모리스 마테를링크는 <우리는 무엇을 보고 있나?>라는 의문을 제기하며 <파랑새> 원작에서 신비로운 분위기 속에서 어딘가에는 있을 법한 보이지 않는 그 무엇을 찾아 헤매는 두 아이를 시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보이지 않는 그 무엇은 물론 사물과 자연의 영혼을 뜻한다. 연출자는 과연 인공위성, 인터넷, 엑스레이, 영상기기 같은 첨단 과학기술이 발전해 모든 것을 단시간에 지구 건너편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인체의 신비함조차 희미해져 가는 이 시대에 원작의 <우리는 무엇을 보고 있나?>우리가 보는 것이 전부인가? 하는 철학적 주제를 되새기고자 한다.  

공연은 516() 오후 8(60분 공연)에 열리는데, 프랑스어 원어연극이며 자막으로 대사가 번역·노출된다. 관람료는 전석 2만원으로 8살 이상 입장할 수 있다. 기타 자세한 공연안내는 누리집 www.nowonart.kr 전화 02) 2289-6767로 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