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경제/얼레빗=양승국 변호사] 지난번에 차일혁 총경 얘기를 하였지요? 차일혁 총경 이야기를 하다 보니 최후의 빨치산 정순덕이 생각납니다. 천왕봉에서 중봉, 하봉, 두류봉으로 내려가다 왼쪽 지능선을 타고 내려간 산자락에 있는 벽송사 뒷산 선녀굴에 최후의 빨치산 정순덕이 은거하였었죠.
정순덕은 다른 빨치산 대원 이은조, 이홍이와 이 굴에 은신하다가 1962년 2월 발각되어 도주합니다. 그러나 고향인 인근 산청군 내원골로 피신하였다가 결국 1963월 11월에 다리에 총상을 입고 생포되었습니다. 나중에 총상을 입은 다리는 잘라냈고요.
잘 모르는 사람들은 최후의 빨치산이 1950년대도 아닌 1963월 11일에까지 있었다는 것과 그것도 최후의 빨치산이 여자라는 것에 놀라실 것입니다. 사실 정순덕은 처음부터 빨치산은 아니었습니다. 산으로 들어간 남편을 찾아내라는 토벌대의 고문에 못 이겨 남편 따라 산으로 들어갔다 남편도 죽고 대부분의 빨치산이 사살되면서 최후의 빨치산이 된 것이지요. 정순덕은 자신이 산으로 들어가게 된 동기를 이렇게 얘기하지요.
"고문이 한두 번으로 끝났던 게 아니야.
어디에 있는지도 모르는 사람을 찾아내라며
참나무 몽둥이로 무차별 타격을 가하는데
혀를 깨물고 자살을 할까도 했었지.
아마 그 때가 11월이었을 거야.
잠을 자다가 한밤중에 끌려가
남명 선생 묘비석에 꽁꽁 묶이게 되었어.
결국은 이렇게 죽는구나 하는 생각이 드니
차라리 남편 곁에서 죽어야겠다는 생각뿐.
밤새도록 용을 쓴 덕분에 포승줄이 풀려
무작정 산줄기를 타고 산으로 올라갔었지."
▲ 최후의 빨치산을 1명 사살하고 1명 생표했다는 부산일보 1963년 11월 12일 기사
정순덕은 체포된 후 재판을 받고 무기징역형으로 감형된 후 오랜 감옥 생활을 하다 1985년 전향서에 도장을 찍고 석방이 됩니다. 그러나 23년간의 옥살이를 하고 돌아온 정순덕을 고향 사람들은 따뜻하게 받아주지 않았죠. 사회에서 받아주지 않으면 제대로 배우지 못한 다리병신 빨갱이 여자가 갈 곳이 어디 있겠습니까?
결국 정순덕은 10년간을 밑바닥 노동자로 전전하다 출소한 미전향 장기수들이 모여 사는 관악구 봉천동 낙성대의 만남의 집에서 살림을 맡아 살며 안정을 찾습니다. 그러다가 남북 합의에 따라 미전향 장기수들이 북으로 갈 때에 자기도 냉대 받는 조국을 떠나 북으로 갈 것을 희망했지만 이미 전향서를 썼기에 정순덕의 요청은 좌절되고, 뇌출혈로 쓰러져 2004년 인천의 한 병원에서 한 많은 삶을 마감합니다.
정순덕의 묘비에는 이렇게 적혀 있었습니다. “마지막 빨치산 영원한 여성 전사 하나 된 조국의 산천에 봄꽃으로 돌아오소서!” 우리 사회에 이런 묘비명도 참지 못하는 사람들이 있지요? 결국 2005년 HID 청년동지회에 의해 묘비는 강제로 망치질 당합니다. 죽어서도 더러운 이념 대립에 편히 가지 못한 한 많은 여인. 차일혁 총경 말마따나 그 여인이 무슨 이념을 알았겠습니까? 그 여인을 산으로 몰아낸 그 시대의 광기. 아직도 그 광기에서 자유롭지 못한 내 나라 우리 땅. 그 이념의 광기가 없는 사회가 빨리 오기를 소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