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신문 = 진용옥 명예교수] 1702년(숙종28) 제주목사 겸 병마수군절제사 이형상이 관내 순시와 한 해 동안 거행했던 행사 장면을 제주목 화공 김남길로 하여금 40폭의 채색도로 그리게 한 화첩이다. 매 화폭의 아래에 간결한 설명을 적고, ‘호연금서(19번)’라는 이름의 그림 한 폭을 곁들여 총 41폭이다.당시 제주 관아, 성읍, 군사 등의 시설과 지형, 풍물 등을 기록화로 남겼으며 유일하게 현존하고 있다. (보물 652-6호)
탐라순력도 14번 째 그림에는 2종 3개의 살꽂이 솔이 있다. 1자눈섶과 훅관정곡의 살꽂이소을 두 개가 있는 데 1자 논섶은 숫자로 기재되어 있다/ 이로선 1자 눈썹은 살꽂이 소의 개수구분 기호임을 알 수 있다.
탐라순력도에서 솔포나 솔판 그림은 제주목에 10군데. 정의현과 대정현에 11군데 등 모두 21곳에서 나온다 아래 그림은 24번째 그림 명월사회(斜會)에 나오는 과녁의 부분도이다. 솔포에 물림대와 조절끈으로 세워져 있으며 일자 눈썹은 태극이괘, 그리고 흑단정곡과 백적벡심으로 되어있다.
눈섶 부분에 왜 태극 이괘가 그려져 있는지는 알 수 없다. 주역에서 남쪽이고 헛개 태양을 상징할 수도 있어 두 개의 태양중 실제 태양을 선택한다는 의미라는 뜻도 있을 수 있겠지만 어디까지나 추정에 불과할 뿐 명확한 근거는 없다.
▲ 탐라순력도 명원시사도에 나오는 두 종류의 살꽂이 솔
추인과녁
무술 연습에서 짚[藁]이나 꼴[芻]로 만든 허수아비에다 화살을 꽂아 상대편에게 건네받는다. 그러나 천연사후도에서는 추인이나 짚새 허수아비가 아닌 실제 사람의 모습이다. 마치 줄타기와 비슷하다. 귀양을 온 문신선비 임관주가 쓴 시가 있다.
▲ 섶새허수아비[추인]의 확대 부분도
이 이외 현폭사후도에도 나온다.
김홍도의 그림에 나타난 살받이솔판
이 그림에 나오는 살 꽂이솔은 솔포가 아닌 솔판이고 보사의 모습을 그렸지만 기사에 쓰이는 과녁[的]이 그려져 있다. 매우 특이한 구도로 .오늘날 홍적단심 구도와 유사하다. 그러나 일자눈썹은 없고 태극이괘의 모양을 취하고 있다. 또 표적 가운데에 그림이 그려진 흔적이 있지만 해상도에 문제가 있어 확실하게 판독 되지는 않는다. 웅후, 미후와 같은 동물문양과 같은 맥락이 아닐까 조심스럽게 추정해 본다.
김준근의 그림에 나타난 살꽂이솔
아래 그림은 19세기(개화기)풍속화 작가, 김준근이 그린 살꽂이솔 그림이다. 1자눈썹에 흑관정곡 솔판이 그려져 있고 받침대로 고여져 있다. 가운데에는 홍적단심이 없는 형태지만 현대 살꽂이와 매우 유사한 구도이다. 다만 반듯한 눈썹이 아니라 일자를 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