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신문 = 이한영 기자] 디터 잘로몬(Dr. Dieter Salomon) 독일 프라이부르크 시장은 10일 “기후변화를 막아 우리 미래 세대들에게 살만한 도시를 물려주기 위해서는 도시가 나서야 한다. 지구적으로 생각하고, 지역적으로 행동해야 한다.”고 밝혔다.
염태영 수원시장 초청으로 수원에 온 디터 잘로몬 시장은 이날 수원시청 대강당에서 열린 ‘그린시티 프라이부르크 환경·에너지 정책 강연회’에서 이같이 강조한 뒤 “행동 없이는 어떤 정책도 성공할 수 없다. 서로 배워야 같이 나아갈 수 있다.”고 말했다.
▲ 독일 프라이부르크 디터 잘로몬 시장 |
이날 강연에는 염태영 수원시장을 비롯해 공직자, 시민단체, 문화예술단체 관계자 등 400여명이 참석해 세계환경도시인 독일 프라이부르크시에 대한 뜨거운 관심을 나타냈다.
디터 잘로몬 시장은 “프라이부크시가 지속가능성을 핵심가치를 두고 환경도시로 성장할 수 있었던 배경은 원자력발전소 문제에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며 “1975년 인근프라이부르크 근교 비일(wyhl)지역에 서독의 20번째 원자력발전소 건설계획을 저지하기 위한 저항운동이 펼쳐졌고, 1986년 소련의 체르노빌 핵발전소 사고 때문이다.”라고 말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프라이부르크 시민 스스로가 주체가 된 ‘대량소비생활에 대한 반성’의 움직임이 일어나게 되었다는 것이다. 즉 자가용의 무분별한 이용이나 전력사용을 자제하자는 일상 생활환경 속에서의 에너지 절약과 환경보호실천운동이 불붙기 시작했고 독일의 녹색당을 탄생하게 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 디터 잘로몬 시장이 프라이부르크시가 세계환경도시가 된 배경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다. |
특히, 1986년 옛 소련의 체르노빌 핵발전소 사고가 발생하자, 프라이부르크시의회는 만장일치로 원자력 발전을 영구 폐기하는 ‘탈 원전’을 선언했고 이와 동시에 에너지절약, 교통정책, 쓰레기대책 등 환경문제에 대한 ‘지속가능성’의 관점에서 종합대책 수립을 위해 노력하게 됐다는 것이다.
디터 잘로몬 시장은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로 독일연방정부는 2020년까지 원자력발전소를 중단할 계획이다”라고 소개하며 “프라이부르크시는 2030년까지 이산화탄소 배출비율을 1992년 대비 50%로 줄일 계획이고 2050년에는 배출량을 ‘제로화’하겠다는 목표를 갖고, 법적, 기술적 가능성을 총동원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디터 잘로몬 시장은 “이산화탄소의 40%가 노후주택 난방 과정에서 발생하고 있다”며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해 새 표준을 적용시키는 동시에 노후 건물에 대해서도 열손실 방지 등을 위해 ‘에너지대책 정비투자금’을 지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도시가 앞장서야 한다"라고 말하는 디터 잘로몬 독일 프라이부르크 시장 |
디터 잘로몬 시장은 수원시에 대한 각별한 관심을 강연 중간 중간에 밝혀 눈길을 끌었다. 염태영 수원시장의 환경수도 조성 정책과 관련, “수원시의 이산화탄소 절감정책은 높은 수준”이라며 “수원시가 앞으로 신축 건물은 에너지 절감에 초점을 맞추고, 오래된 노후 건물들은 열손실을 줄이기 위해 단열 등 적절한 조치를 취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이어 디터 잘로몬 시장은 “모든 정책의 핵심은 지속가능성이다. 행동 없이는 어떤 정책도 성공할 수 없다”며 “우리가 기후변화를 막고 미래세대들이 살만한 도시를 만들기 위해서는 우리가 행동해야 한다. 도시가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염태영 수원시장은 이날 디터 잘로몬 시장과 함께 다음 달 프라이부르크 시 대표단의 수원방문 건과 6월 수원시대표단의 프라이부르크 방문 등을 통해 ‘국제자매도시’ 체결을 위한 세부 논의를 이어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