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국립민속박물관(관장 장상훈)은 세계의 민속문화를 비교 연구하는 ‘비교 민속 생활문화 조사 사업’의 하나로, 동남아시아의 생활문화와 민속연희에 대한 조사보고서 2종을 펴냈다. 첫 번째 보고서인 《엮고 담다, 바구니에 담긴 동남아시아의 생활문화》는 2022년 한국의 바구니 조사 연구에 이은 두 번째 시리즈로, 베트남, 인도네시아, 태국, 말레이시아 4개국의 바구니와 관련 생활문화를 담고 있다. 두 번째 보고서인 《동남아시아의 가면과 가면극》은 ‘아시아의 가면과 가면극 연구총서’의 네 번째 시리즈로, 인도네시아, 태국, 캄보디아, 베트남 등 동남아시아에서 연행되는 여섯 개 가면극을 각국 전문가의 손으로 그려냈다. □ 동남아시아 바구니의 모든 것. 《엮고 담다, 바구니에 담긴 동남아시아의 생활문화》 인류는 오랜 시간 동안 다양한 방법으로 물건을 담고 운반할 용기를 만들어왔다. 그 가운데에서도 바구니는 가마와 같은 특별한 설비 없이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만으로 제작할 수 있다는 점에서 높은 실용성을 지닌다. 특히 동남아시아는 라탄, 대나무, 야자, 판다누스 등 식물 자원이 풍부해 다양한 형태의 바구니가 제작돼왔으며, 이 과정에서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원장 임종덕)은 ‘전통재료 특성 규명 및 적용성 평가 연구(2022-2026)’의 하나로 수행한 전통 옻칠 조사연구의 성과를 담은 《옻칠 고문헌ㆍ연구자료 조사보고서》를 펴냈다.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옻나무 재배에 적합한 환경적 조건을 가지고 있어 우수한 품질의 옻칠(옻나무의 진)을 생산해 왔다. 그러나 최근 국내 전통 옻칠의 생산이 점차 줄어들면서 옻칠 수요량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옻칠 수급의 불안정은 우리나라 전통공예의 유지와 전승에 큰 문제점을 일으키고 있다. 이에 국립문화유산연구원은 2023년부터 2024년까지 전통 옻칠의 기초 자료 구축을 위한 연구를 추진하였으며, 그 결과를 정리하여 이번에 보고서로 펴내게 되었다. 보고서는 ▲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각종 의궤 등을 비롯한 고문헌의 내용을 바탕으로 옻칠의 다양한 이름들과 옻칠 생산지의 변화, 주변 나라와의 교역내용, 칠기 제작에 사용된 재료와 기법을 정리한 ‘사료로 본 조선시대 옻칠’, ▲ 시대별 옻칠 연구동향의 변화와 옻칠 연구에 적용된 분석기술, 나라 안팎의 유물분석 사례를 정리한 ‘옻칠 연구동향 및 분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춘천시립합창단은 오는 3월 6일(목) 저녁 7시 30분, 춘천문화예술회관에서 제122회 정기연주회 <봄의 길목에서>를 연다. 이번 공연은 객원지휘자 최예지의 지휘로 색다른 무대를 연출하며, 다채로운 음악 세계가 담겨있는 무대로 관객을 초대한다. 프로그램으로는 브람스의 사랑의 노래 왈츠(Liebeslieder Walzer), Op. 52, Die Mainacht를 통해 낭만주의 합창음악의 깊이 있는 울림과 봄의 생동감을 전하고 아프리카, 남미의 전통 음악으로 강렬한 리듬을 선보인다. 2부 순서로는 험한 세상에 다리가 되어(Bridge over Troubled Water, Yesterday) 같은 시대를 초월한 명곡과, 고향의 노래, 섬집아기 같은 한국적 감성이 더해져 더욱 풍성한 무대를 완성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을 객원지휘자 최예지가 각기 다른 음악적 요소들을 조화롭게 엮어내어 완성도 높은 무대를 선보일 예정이다. 이번 연주는 객원지휘자 최예지가 지휘를 맡아 더욱 기대를 모은다. 20여 년 동안의 미국 활동을 마무리하고 2023년 9월 이화여자대학교 성악과 합창지휘 교수로 부임한 최예지 지휘자는 섬세한 음악적 해석과 깊이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2월9일(일) 지리산국립공원 성삼재~노고단 코스 탐방로에는 하얀 눈이 소복이 쌓이며 겨울 정취를 물씬 풍기고 있다. 현재 탐방로는 많은 적설로, 곳곳에 눈이 덮여 있어 탐방객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우리문화신문=윤지영 기자] 모란민속5일장은 매월 끝자리가 4, 9일인 날에 열린다. 평일에는 주차장으로 이용되다가 오일장이 서는 장날에는 공터에 천막 지붕이 생기고, 좌판이 들어선다. 찬바람 불고 한기가 옷 속을 파고드니, 뜨거운 것이 당긴다. 꽈배기, 호떡, 뻥튀기, 팥죽, 칼국수, 수구레국밥까지 입맛 돋우고 속을 채워줄 먹거리가 천지다. 모란민속5일장이 조선 시대부터 규모 면에서 손꼽히는 장시였던 만큼 길을 몰라도 고소함을 따라가면 될 정도로 규모가 큰 백년기름특화거리도 있다. 가게 문을 연 지 40년이 넘는 기름집 40여 곳이 다닥다닥 붙어 있다. 춘천∙천안∙화성∙여주∙강진기름집 등 간판만 봐도 전국 팔도 기름집이 다 모였다. 모란종합시장 상가건물 1층에 위치한 ‘로스팅랩’에선 ‘고소함을 걸어요’라는 체험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기름 종류별 일반 교육과 기름 압착 과정 시연, 기름시장 골목투어, 깨강정 만들기까지 고소함이 가득한 체험 프로그램이다. 단체 또는 개인별 전화로 예약할 수 있다. 올해 체험 프로그램은 3월부터 운영 예정이지만 단체의 경우 전화로 문의하면 체험 날짜 조율이 가능하다. 도심 한가운데서 열리는 모란민속5일장은 아이들에게는 산 교육장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제4회 노은주의 <흥보가 완창발표회> 관련 이야기를 하였다. 이날 무대는 전문가, 애호가, 친지 등 관객들로 만원이었으며, 객석은 그가 안내하는 소리판으로 빠져들먼서 큰 손뼉과 추임새, 환호 속에 대성공이었다는 이야기, ‘놀보의 심술대목’, ‘흥보의 돈타령’, ‘중이 집터 잡아주는 대목’, ‘박씨를 물고 날아오는 제비노정기’, ‘흥보 아내의 가난타령’, ‘박타령’, ‘비단타령’, ‘화초장타령’ 등이 유명하다는 이야기를 했다. 또 판소리의 저변을 확대하기 위해 이러한 대목들을 별도의 주제로 삼아 토막 소리극으로 꾸며서 교육자료나 감상자료로 활용한다면, 판소리에 대한 이해나 교육, 애호가 확보에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이야기도 하였다. 이야기를 바꾸어 이번 주에는 노은주의 소리를 좋아해서 그에게 소리를 배우는 사람들이 뜻을 모아 발표무대를 만들었다는, 곧 제1회 노은주 제자발표회 이야기를 소개한다. 글쓴이는 평소, 국악이 나라의 음악으로 자리를 잡고, 국민으로부터 폭넓은 관심과 애호를 받기 위해서는 어떠한 활동들이 전제되어야 할 것인가? 하는 점을 기회가 있는 대로 주장해 왔다. 관련하여 국악전문가나 문
[우리문화신문=정운복 칼럼니스트] 겨울 산행의 백미는 상고대입니다. 앙상한 나뭇가지 위에 하얀 눈꽃이 소복이 내려앉은 풍경 아주 작은 나뭇가지 하나하나에도 속속들이 들러붙은 순백의 결정(結晶)은 한겨울에만 느낄 수 있는 멋진 조각품입니다. 상고대는 영하의 기온에서 공기 중의 수증기가 나뭇가지 등에 부딪혀 얼어붙어 만들어지는 아름다운 자연 현상입니다. 마치 겨울잠에 든 나무들이 꿈속에서 피워낸 순백의 꽃송이 같기도 하고, 은빛 눈송이가 만들어낸 조각 작품 같기도 합니다. 햇살에 반짝이는 상고대는 보는 이의 마음을 순수하게 정화하고, 겨울의 삭막함을 잊게 만드는 묘한 매력을 지니고 있습니다. 상고대는 영하의 기온과 높은 습도, 그리고 바람이 빚어놓은 예술품입니다. 힘든 겨울 산행에서 어느 순간 눈앞에 펼쳐지는 상고대는 신비로움 그 자체입니다. 밤새 내린 서리가 나무를 하얗게 물들여 마치 동화 속 한 장면을 연출하고 햇살에 빛나는 상고대는 눈부신 아름다움을 자랑합니다. 자연의 위대함과 아름다움에 감탄하지 않을 수 없지요. 상고대의 아름다움을 보려면 고된 인내가 필요합니다. 새벽녘, 혹한의 추위를 견디며 산을 올라야만 만날 수 있는 풍경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그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성종실록》 200권, 성종 18년(1487년) 2월 10일 기록에는 “새로 편찬한 《여지승람(輿地勝覽)》을 인쇄하도록 명하였다.”라는 내용이 나옵니다. 성종은 1462년 명(明)의 《대명일통지(大明一統志)》를 참고하고, 세종 때의 《신찬팔도지리지》를 바탕으로 하여 노사신ㆍ양성지ㆍ강희맹 등에게 펴내게 한 지리서입니다. 이들은 성종 12년(1481년)에 우선 50권을 완성하였고 성종 17년(1486년)에 보태고 다듬어 고쳐서 35권을 다시 완성해 펴냈지요. 그 뒤 중종(中宗) 25년(1530년)에 이행(李荇) 등이 증보판을 펴내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이라고 했습니다. 권1에 경도(京都, 조선의 정부가 있는 곳) 상, 권2 경도 하, 권3 한성부, 권4ㆍ5 개성부, 권6∼13 경기도, 권14∼20 충청도, 권21∼32 경상도, 권33∼40 전라도, 권41∼43 황해도, 권44∼47 강원도, 권48∼50 함경도, 권51∼55 평안도 등이 수록되었지요. 각 권에 여러 개의 군현이 수록되어 있지만, 경기도의 광주목과 여주목, 경상도의 경주부, 평안도의 평양부 등 큰 읍은 1개 행정구역만 수록되었습니다. 경도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 창경궁관리소(소장 정종익)는 국립어린이과학관(관장 조남준)과 함께 오는 11일부터 16일까지 창경궁(서울 종로구)에서 「정월 대보름, 창경궁에 내려온 보름달」 행사를 진행한다. 이번 행사에서는 창경궁 풍기대 주변에 대형 보름달 모형을 설치해 저녁 6시부터 8시 30분까지 관람객들이 보름달을 감상하며 사진을 찍을 수 있게 하였다. 특히, 정월 대보름(2.12.) 당일에는 저녁 7시부터 8시 30분까지 대온실 앞에서 국립어린이과학관과 협력하여 보름달 관측 행사도 운영한다. 또한, 행사 기간 창경궁 보름달을 배경으로 찍은 사진을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X(트위터) 또는 인스타그램)에 ‘#창경궁보름달’이라는 열쇠말(해시태그)와 함께 게시한 후, 창경궁관리소 누리집에 게재되는 온라인 응모(구글폼) 주소를 통해 해당 인터넷 주소(URL)를 제출하면 추첨을 통해 10명에게 창경궁 관련 도서를 증정한다. 추첨 결과는 2월 28일 창경궁관리소 누리집(royal.khs.go.kr/cgg)에서 발표한다. * 창경궁 X(트위터) : https://twitter.com/cgglove 인스타그램 : https://www.instag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립중앙박물관(관장 김재홍)은 최근 ‘컴퓨터 단층촬영(CT)을 이용한 문화유산의 해석과 이해’를 펴냈다. 국립중앙박물관은 2017년부터 국내 가장 큰 전압의 CT 장비를 도입하여, 현재까지 770여 건의 문화유산에 대해 비파괴 조사하였다. 이번 보고서에는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한 금속, 도자기, 목재 등 대표적인 재질의 소장품 13점에 대한 내부 구조, 제작 기술, 그리고 다른 다양한 특성들을 수록했다. 평양 오야리에서 출토된 금장식철제환두소도, 고려시대 청자어룡모양주전자, 그리고 18세기 초 승려 진열의 작품으로 추정되는 목제불입상 등이 그 대상이다. 금장식철제환두소도(金裝飾鐵製環頭小刀)의 CT 촬영을 통해, 환두소도에 사용된 상감기법의 세부적인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기법은 두 줄의 얇은 금속선으로 식물 줄기와 그에서 뻗어 나오는 잎과 고사리 문양을 세밀하게 표현하였으며, 고사리 문양이 새겨진 부분은 두께가 가장 두꺼운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CT 촬영으로 부식 상태와 내부 구조까지 파악할 수 있었다. 청자어룡모양주전자(靑磁魚龍形注子)는 높이가 24.4cm로, 여러 부위를 별도로 제작하여 결합한 흔적이 있었다. 몸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