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자판 세벌식이 두벌식보다 정말 좋을까?
[그린경제/얼레빗 = 김슬옹 교수] 자판은 정보시대 글쓰기와 정보 입력의 핵심 도구이다. 스캐너나 음성 인식이 발달하고 손으로 쓰는 최첨단 컴퓨터까지 개발되고 있지만 그렇다고 자판의 중요성이 감소하는 것은 아니다. 자판이 어떻게 설계되었느냐에 따라 정보 생산성의 속도와 양이 결정되고 건강문제(키펀치병 따위)까지 좌우되기 때문이다. 자판은 그 물질성과 습관성의 강고한 결합으로 한 번 정해지면 바꾸기 어렵다는 점을 함축하고 있다. 그래서 표준화가 중요하다. 자판 입력의 역사 한글 자판은 현재 한국의 두벌식, 세벌식 그리고 북한의 두벌식 자판 등이 쓰이고 있다. 남한의 표준 자판은 두벌식이다. 이는 한글 모아쓰기에서 자음과 모음의 관계에 따라 발생하는 한글만의 독특한 문제다. 타자기는 자판의 한글 배열 방식에 따라 크게 세 가지 방식이 있다. 초성-중성-종성의 삼분법의 특색을 살리면 세벌식이요, 자음-모음의 이분법을 따르면 두벌식이요, 초성 자음, 종성 자음, 종성 없는 모음, 종성 있는 모음과 같은 사분법을 따르면 네벌식이다. ▲ [표 1] 자판 벌식 구별 글쓴이는 고등학교 때(1977-1979) 표준인 네벌식 타자기를 배웠다. 대학에 들어가 세벌식이 더 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