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길 길이 끝난 곳에서 길이 나네(달) 새 길은 낡은 길 위에 나기도(돌) 없는 길도 가면 길 되는 것을(초) 모든 길은 돌아가고야 말지(심) ... 25.2.1. 불한시사 합작시 설명: 합작시 '길'의 제목을 보는 순간 펠리니의 대표작인 영화 <길>이 문득 생각났다. 끝내 젤소미나를 사랑한 주인공인 잠파노(안소니 퀸)는 바닷가 마지막의 장면에서 회한에 찬 모습으로 삶의 최후를 맞는다 무엇보다 그 영화를 배경으로 "잠파노의 노래"라는 장시를 써서 동아일보에 발표한 초정 김상옥 시인이 떠오른다. 그가 사랑하는 여인이 진해에 살고 있었기 때문이다. 서로 만날 수 없는 사람을 그리워하며 울부짖듯 노래한 시. 40년 전 시인의 감정이 실린 시 낭독, 떨리던 노시인의 음성과 그 표정이 눈에 선하다.(라석) • 불한시사(弗寒詩社) 손말틀 합작시(合作詩) `불한시사(弗寒詩社)'는 문경 ‘불한티산방’에 모이는 벗들 가운데서 시를 쓰는 벗으로 함께 한 시모임이다. 이들은 여러 해 전부터 손말틀(휴대폰)로 서로 화답 시(和答詩)를 써 왔다. 시형식은 손말틀 화면에 맞게 1행 10~11자씩 4행시로 쓰고 있다. 일종의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배재수)은 입춘(立春)인 2월 3일(월), 홍릉숲의 얼음새꽃(복수초)가 노란 꽃잎을 피우며 다가오는 봄의 시작을 알렸다고 밝혔다. 특히, 최근 지속된 한파에도얼어있는 땅을 뚫고 활짝 핀 얼음새꽃는 더욱 의미 깊은 봄소식을 전하고 있다. 올해 처음 모습을 드러낸 ‘홍릉숲 얼음새꽃’은 평년('91∼'20) 개화일인 2월 18일에 견줘 약 2주 가까이 빠르게 꽃핀 것으로, 1985년 관측을 시작한 이래 열 번째로 빠른 개화이다. 국립산림과학원 생물계절조사팀의 홍릉숲 얼음새꽃 개화 특성 분석 결과, 평균 개화 시기가 예전에 견줘 점차 빨라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0년대 이전('85∼'99) 홍릉숲 얼음새꽃의 평균 개화일은 2월 28일±9일이었지만 2000년 이후('00∼'24)에는 2월 9일±18일로 약 19일 정도 앞당겨졌다. 또한, 2015년부터 2025년까지의 평균 개화일은 1월 23일±12일로 과거보다 한 달 이상 빨라졌다. 얼음새꽃은 이른 아침에는 꽃잎을 닫고 있다가 해가 뜬 후, 낮 11시부터 3시 사이에 꽃잎을 펼치기 때문에 활짝 핀 모습을 관찰하기 어려운 특징이 있다. 또한 얼음새꽃은 개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대한민국장애인국제무용제 조직위원회(이하 KIADA조직위)는 오는 2025년 8월 13일부터 17일까지 아르코예술극장에서 열리는 ‘제10회 대한민국장애인국제무용제 KIADA2025’를 앞두고 국내 작품 공모를 시작한다. 이번 공모는 국내 장애무용수들에게 새로운 작품을 창작과 발표의 기회를 제공하며, 무용계의 다양성을 확대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공모 대상은 KIADA2025에서 실연할 수 있는 장애무용 작품으로, 초연작과 재연작 모두 포함된다. 접수기간은 2월 3일부터 2월 28일 저녁 6시까지며, 최종 선정 단체는 전문 심사위원단의 서류 평가와 인터뷰 과정 등을 거쳐 3월 초에 최종 발표될 예정이다. KIADA 예술감독 김삼진 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원장은 “올해로 10회를 맞이하는 KIADA는 그 자체로도 큰 의미를 지닌다. 특히 올해는 관객들에게 큰 감동을 선사했던 역대 나라 밖 팀의 작품도 다시 만나볼 수 있는 특별한 기회를 마련했다”라며 “이번 공모를 통해 국내 장애무용수들이 국제적으로 주목받을 수 있는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작품들이 나오길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최영묵 조직위원장은 “장애무용수들이 가진 예술적 잠재력은 국내를 넘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영등포문화재단(대표이사 이건왕)은 오는 2월 8일(토) 영등포아트홀 2025 신년음악회 ‘영화를 빛낸 클래식’을 연다. ‘영화를 빛낸 클래식’은 영등포아트홀의 기획공연 브랜드 ‘시리즈Q’의 2025 시즌 시작을 알리는 공연으로 많은 기대를 받으며 전석 매진을 기록했다. 이번 공연은 오랜 시간 동안 많은 사람에게 사랑받은 수많은 명작 영화 속 깊이를 더했던 클래식 명곡을 대한민국 최정상급 지휘자 정치용을 필두로 45인조 오케스트라와 소프라노 정하은, 김지은 그리고 클라리넷 이소민의 협연으로 관객에게 특별한 순간을 선사할 예정이다. 영화 ‘아마데우스’의 오프닝을 열어준 ‘모차르트 교향곡 25번 사단조 1악장’을 시작으로 영화 ‘파리넬리’에서 주인공의 감정선을 대변하는 헨델의 대표적인 오페라 ‘리날도’ 가운데 ‘울게 하소서’, ‘인생은 아름다워’의 비극을 더해준 오펜바흐의 오페라 ‘호프만의 이야기’ 중 ‘뱃노래’ 이중창 등 다양한 영화에서 작품을 빛나게 만든 다양한 클래식 음악들로 고품격 클래식 무대를 선보일 예정이다. 이번 공연은 초등학생 이상 관람할 수 있으며, 전석 2만 원으로 인터파크 티켓에서 예매할 수 있다. 문화도시 영등포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국립민속박물관(관장 장상훈)은 입춘(立春, 2월 3일)을 맞이하여 2월 1일(토)부터 2월 3일(월)까지 사흘 동안 ‘입춘’ 세시행사를 연다. 입춘첩을 관람객에게 나누어주는 행사와 입춘첩을 쓰고 대문에 붙이는 시연을 진행한다. □ 봄의 시작 입춘 입춘(立春)은 24절기 가운데 첫 번째에 해당하는 절기로 봄의 시작을 알리며, 보통 양력으로 2월 4일 무렵이다. 이날을 맞아 새해의 복을 기원하는 마음으로 대문이나 기둥 또는 벽에 써 붙였던 글씨가 입춘첩이다. 입춘첩에는 보통 ‘입춘대길(立春大吉) 건양다경(建陽多慶)(봄이 시작되니 크게 길하고, 양기가 태동하니 경사가 많으리라.)’, ‘소지황금출(掃地黃金出) 개문만복래(開門萬福來)(땅을 쓸면 황금이 생기고 문을 열면 만복이 온다)’ 등의 글씨를 써 붙인다. 봄을 기다리는 마음과 한 해 동안 행운과 경사가 가득하기를 기원하는 의미가 담겨있다. □ 봄기운 가득 담은 행복을 받아가세요! 2월 1일(토)부터 2월 3일(월)까지 사흘 동안 박물관 안내 창구에서는 올해 새로 쓴 입춘첩을 인쇄하여 관람객에게 선착순으로 나누어준다. 박물관을 찾는 관람객 모두에게 한 해 동안 행운과 경사스러운 봄기운이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국립민속박물관(관장 장상훈)은 1994년 박물관이 조사한 강원도 산골 살림살이 모습을 온라인 콘텐츠로 재탄생시킨 ‘1994 강원도 산간주거, 너와집ㆍ굴피집ㆍ겨릅집’을 공개한다. 온라인 콘텐츠 개발 사업은 어렵고 딱딱한 과거 민속조사 결과를 일반인들이 접근하기 쉽게 재가공하는 사업으로, 이번이 네 번째 콘텐츠다. 이번 온라인 콘텐츠는 국립민속박물관의 첫 번째 민가 조사 보고서인 ‘1994년 강원도 산간지역의 가옥과 생활 조사’ 결과를 대중적으로 재해석한 것이다. 사람의 발길이 닿지 않는 곳에 있던 21채의 강원도 전통 산골 살림살이를 찾아내는 민속학자들의 조사 과정에서부터 조사 결과와 오늘날 변화 모습까지 충실히 담아냈다. 온라인 콘텐츠는 모두 7부로 구성되어 있는데, 1부는 조사 배경, 2부는 조사 대상 가옥 선정 과정, 3부는 조사 과정, 4부는 강원도 산간 지역 가옥의 주요 키워드, 5부는 VR로 체험해 보는 강원도 산간주거, 6부는 강원도 삼척 신리마을의 너와 장인에게 들어보는 너와집 만드는 과정, 7부는 21채 조사 가옥이다. □ 지금은 사라진 21채의 산골 살림살이, 디지털로 되살리다 1994년 보고서에 등장한 21채의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국립민속박물관(관장 장상훈)은 설 연휴를 맞이하여 1월 27일(월)부터 30일(목)까지 3일 동안 ‘2025 을사년 만사형통 설맞이 한마당’ 행사를 연다. 이번 행사는 우리 민족 고유의 전통 명절인 설을 기려, 세시풍속 체험과 공연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통해 온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할 예정이다. ※ 설맞이 한마당 행사 일정(설 당일 휴관) ·국립민속박물관 본관: 2025년 1월 27일(월), 28일(화) ·국립민속박물관 파주: 2025년 1월 28일(화), 30일(목) □ 풍요와 다산의 상징, 을사년 뱀의 해 2025년은 청색에 해당하는 천간(天干) ‘을(乙)’과 뱀을 상징하는 지지(地支) ‘사(巳)’가 만난 해로, 청색과 뱀을 상징하는 을사년(乙巳年)이다. 뱀은 성장할 때 허물을 벗고, 한 번에 10여 개의 알을 낳아 강한 생명력과 풍요로움을 상징하기도 했다. 국립민속박물관은 새해 관람객의 건강과‘만사형통’을 기원하며 세시 행사를 마련했다. 먼저, 행사기간 중 박물관을 방문한 뱀띠 관람객은 증빙서류를 제시하면 특별 선물을 받을 수 있다. 또, 뱀띠 해 특별전 《만사형통(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국가유산청(청장 최응천)은 지난해 5월 17일 새롭게 시작된 ‘국가유산 체계’가 국민의 삶에 스며들 수 있도록, ‘국민과 상생하는 국가유산, 높아지는 국민행복’이라는 전망 아래 <2025년 주요업무 추진계획>을 수립해 추진한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지속할 수 있는 국가유산 값어치 창출 기반 마련 2024년 「국가유산기본법」의 시행과 국가유산청 조직 출범으로 ‘국가유산 체계’가 전면 도입됨에 따라, 올해에는 국가유산 정책에 대한 고도화를 추진한다. <문화유산 기본계획>을 새롭게 마련하고, 국립자연유산원 건립을 위한 예비타당성 조사 등 <자연유산 기본계획>을 본격 시행한다. 무형유산 분야에서도 5년 이상의 이수자로 제한했던 전승교육사의 자격요건을 일반전승자까지 확대하고, 전승활동이 어려운 전승자를 대상으로 했던 명예보유자 제도를 개선하여 전승 공헌도가 높은 전승자도 명예보유자가 될 수 있도록 해 예우와 지원을 확대하는 선순환적 전승체계를 구축한다. 또한, 국가유산 산업 육성으로 미래 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국가유산 산업 육성 및 지원을 위한 법률」 제정을 추진하고, 국가유산 3차원(3D)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운때(時運) 산모퉁이 돌자 새길 나오듯(돌) 새길에서 반가운 님을 보듯(빛) 뿌린 대로 때맞춰 피는 것을(초) 가고 오는 세상만사 운때지(심) --- 25, 1. 11. 불한시사 합작시 설명 ; 우리 말에 운때라는 것이 있다. ‘운(運)’이라는 한자어와 우리말 ‘때’ 곧 시간의 합성어이다. 한자말로 다시 바꾸면 ‘시운(時運)’이다. 그때와 운수(運數)가 합해진 말이다. 사람이 살다 보면 좋은 때가 있기도 하고 운수 곧 관운(官運)과 재수(財數)가 닥치기도 한다. 가장 좋은 경우는 때와 운이 만나 교차하는 것이다. 때는 이르렀는데 수(數)가 모자라면 그 수를 채워야만 하고, 수는 꽉 찼는데 때가 되지 않으면 때를 기다려야 일이 이루어진다. 태공망(太公望, 강태공)이 웨이수이강[渭水]에서 80년 동안 곧은 낚시를 한 것도 백세의 재상이 되어 천하를 경영하기 위함이었듯, 시대의 인물과 군자는 그때를 알아서 처신했다. 개인뿐만 아니라 국운(國運)도 마찬가지라할 것이다.(돌) • 불한시사(弗寒詩社) 손말틀 합작시(合作詩) `불한시사(弗寒詩社)'는 문경 ‘불한티산방’에 모이는 벗들 가운데서 시를 쓰는 벗으로 함께 한 시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SK그룹의 사회공헌재단 행복나눔재단(이사장 최기원)은 ‘2025 취업연계형 장애인 육성 프로그램’에 함께할 청년 장애인 훈련생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취업연계형 장애인 육성 프로그램’은 행복나눔재단이 청년 장애인의 안정적인 사회 진출과 건강한 사회 구성원으로의 성장을 돕기 위해 2021년부터 추진 중인 ‘세상파일 장애인 고용 확대 프로젝트’의 하나다. 청년 장애인에게 적합한 직무를 개발하고 취업을 희망하는 청년 장애인을 선발해 맞춤형 직무 훈련과 취업 지원 서비스를 제공한다. 동시에 장애인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을 발굴, 연합해 훈련 수료생들의 채용까지 연계한다. 2024년까지 훈련 수료생의 93%인 60명의 청년 장애인이 취업에 성공했으며, 프로그램에 참여한 기업은 누적 51개사에 달한다. 지난 참여 기업으로는 △SK엔무브 △SK쉴더스 △한국투자증권 △콘센트릭스서비스코리아 △법무법인 광장 △티맵모빌리티 △메가존클라우드 △한국하우톤 △대학내일 등이 있다. 이번에 모집하는 2025년 직무 훈련 과정은 ‘AI콘텐츠디자인’과 ‘경영관리·회계사무’ 2개 분야로 구성됐다. 선택한 직무에 따라 △디자인(포토샵, 일러스트레이터, 피그마, 실무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