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이의(영창대군)가 강화에 이르자 가시나무로 둘러놓고 지켰는데, 삼엄한 감시가 임해(臨海) 때보다 배나 되었다.” 이는 《광해군일기》[정초본] 69권, 광해 5년(1613년) 8월 2일 기록입니다. 1611년(광해군 3년) 영창대군에 봉해진 이의(李㼁), 그러나 1613년 계축옥사가 일어나 대북 일파는 박응서 등에게 영창대군 추대 음모를 거짓으로 자백하게 했고, 이에 영창대군은 폐서인(廢庶人)되어 강화도에 유배되었습니다. 그 뒤 영창대군은 광해 6년(1614년) 3월 19일에 삶을 마감했습니다. 그런데 영창대군이 죽은 까닭에 대한 문헌 자료는 두 가지로 나옵니다. 먼저 《광해군일기》 중초본 75권, 광해 6년 2월 10일 기록에는 "강화부사 정항이 영창대군의 방에 불을 펄펄 때서 죽였는데 방바닥에서 손톱이 닳아 없어질 정도로 필사의 몸부림을 치다 죽었다."라고 나오며, 《인조실록》 8권, 인조 3년(1625년) 3월 19일 기록에는 광해군의 밀명을 받은 별장 이정표(李廷彪)가 음식물에 잿물을 넣어 영창대군을 독살하였다고 합니다. 어쨌든 서럽게 죽은 영창대군의 눈물은 비가 되어 음력 2월 9일 앞뒤로 내렸는데 이 비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오늘은 잡절 삼복 가운데 중복(中伏)입니다. 여기서 복(伏)이란, 엎드려 있다는 뜻으로 꼼짝하지 않는 모습인테 복날에 유난히 공기가 가만히 정체된 듯한 느낌을 줍니다. 최근 우리나라는 온통 폭염특보로 몸살을 앓습니다. 이런 날 우리 겨레는 삼계탕을 즐겨 먹었지요. 이때 삼계탕은 꼼짝하지 않고 있는 몸의 습을 불로 태워서 일부는 수분을 없애고, 일부는 순환시켜 주게 됩니다. 우리문화신문에 <한방으로 알아보는 건강상식>을 연재했던 유용우 한의사는 특히 닭고기만 먹으면 순환까지 이루어지지는 않는데, ‘인삼’이 있기 때문에 순환이 이루어진다고 합니다. 몸에 힘이 있는 사람들은 삼계탕의 도움을 받아 활발하게 혈액순환이 되고 이때 똥오줌과 땀으로 나쁜 요소들을 방출하기 때문에 몸이 가벼워진다고 보는 것입니다. 그런데, 힘이 부족한 사람이 삼계탕을 먹으면 오히려 몸이 더 늘어지기도 한다고 하지요. 이럴 때는 습을 기운으로 순환시켜야 하기에 ‘황기’가 필요합니다. 힘이 있는 사람은 땀을 능동적으로 뿜어내는데, 힘이 없는 사람은 피부 표면이 땀을 능동적으로 배출하지 못하고, 삐질삐질 끈끈한 땀이 납니다. 이때 인삼 대신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왕자녀의 저택이 제도에 벗어난 것을 살피게 하였는데, 덕흥군(德興君)의 집은 50칸이므로 법전에 많이 벗어나지 않았으나(가운데 줄임) 정신 옹주(靜愼翁主)의 집은 3칸, 숙정 옹주(淑靜翁主)의 집은 6칸이 제도에 벗어난다. 이것은 헐라. 적간(부정이 있는지 없는지 캐어 살핌)은 공조가 하였으나 허무는 일은 오부(五部)의 관원이 감독하게 하되, 서부(西部)와 중부(中部)에 있는 저택은 반드시 2부의 관원이 감독하게 하라.“ 위는 《중종실록》 87권, 중종 33년(1538년) 7월 29일 기록입니다. 중종 임금은 옹주(임금의 후궁에게서 태어난 딸)의 집이 법전에 규정된 것보다 3칸과 6칸을 크게 지었다면서 이를 헐라고 지시하는 내용입니다. 그뿐만 아니라 조선 중기의 무장 전림(田霖, ?~1509)이 한성부판윤으로 있을 때 왕자 회산군의 집 짓는 곳을 지나가다가 짓는 집의 규모가 큰 것을 보고 공사감독을 불러 야단쳐 기둥을 자르고 칸수를 줄인 일명 ‘납작집’이 되게 했다는 이야기가 전합니다. 조선시대는 5백 년이란 긴 세월을 한 왕조 아래에 이어졌습니다. 물론 그 긴 세월 폭군도 있었고, 세도정치도 적지 않았지만, 자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한국양금협회(회장 윤은화)가 오는 2025년 8월 1일부터 5일까지 중국 베이징에서 열리는 ‘제6회 국제양금음악제’에 공식 초청돼 개막식과 폐막식 공연은 물론, 한국과 인도 두 나라만이 초청받은 단독 콘서트 무대에 오르며 전 세계 무대에 한국 양금의 예술성과 독창성을 선보인다. 이번 음악제는 전 세계 양금 연주자, 교육자, 연구자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지구촌 예술 축제로, 2018년부터 미국, 러시아, 말레이시아 등지를 거쳐 여섯 번째를 맞는 권위 있는 국제 행사다. 올해는 중국 베이징 창핑구의 양금가족민족악기박물관에서 열리며, 특히 박물관 개관을 기 아시아 9개 나라가 참여하는 개막 공연이 함께 열린다. ■ 한국 대표단, 개막식부터 폐막식까지 전 일정 ‘주역’으로 활약 음악제의 서막인 8월 1일, 한국 대표단은 세계양금박물관 개관식에 공식 초청되어 축제의 시작을 함께한다. 특히 주목할 점은, 한국양금협회 윤은화 회장이 개발한 한국 개량양금이 세계양금박물관의 주요 전시 악기로 선정되어 상설 전시되고 있으며, 윤 회장 또한 세계 양금계를 대표하는 지도자 가운데 한 명으로 뽑혀 ‘세계 양금 지도자’ 전시마당에 함께 소개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말은 사람과 사람의 뜻을 통하는 것이라. 한 말을 쓰는 사람끼리는 그 뜻을 통하여 살기를 서로 도와주므로 그 사람들이 절로 한 덩이가 지고, 그 덩이가 점점 늘어 큰 덩이를 이루나니 사람의 제일 큰 덩어리는 겨레라. 그러하므로 말은 겨레를 이루는 것인데 말이 오르면 겨레도 오르고 말이 내리면 겨레도 내리 나니라. 이러하므로 겨레마다 그 말을 힘쓰지 아니할 수 없는 바니라.” 이는 평생 배달말(한국어)을 올곧게 사랑하고 실천하고 가르치신 한힌샘 주시경 선생의 말로써 오늘은 그 주시경 선생이 세상을 뜨신(1914년) 지 온열 하나 해(111돌)가 되는 날입니다. 선생은 국어학자로서 우리말의 정리와 보급에 크게 힘썼지요. 그의 연구는 말글생활을 바로잡고 교육할 목적으로 행해진 것으로서 그 필요성은 이미 1897년 《독립신문》에 발표한 논설 〈국문론〉에서부터 강조되어 온 것입니다. 한글은 세종임금이 28자를 반포할 당시 <훈민정음>이라 불렀는데 <훈민정음>을 언문(諺文), 언서(諺書), 반절, 암클, 아랫글이라 했으며, 한편에서는 가갸글, 국서, 국문, 조선글 등으로 불리면서 근대에까지 이르렀습니다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왔구나, 왔소이다. 왔소이다. 불쌍히 죽어 황천 갔던 배뱅이 혼신이 평양 사는 박수무당의 몸을 빌어, 입을 빌어, 오날에야 왔소이다. 우리 오마니, 오마니, 어디 갔나요. 오마니, 오마니.” 무대에서는 평양 건달이 배뱅이혼을 불러오는 굿을 하고 있다. 어제 7월 25일 저녁 7시 인천 부평의 <전통연희단 잔치마당(대표 서광일)> 소극장에서는 국가무형유산 서도소리 이수자 유상호 명창의 ‘배뱅이굿’ 공연이 오승재 고수와 이서율 해금에 맞춰 펼쳐졌다. ‘배뱅이굿’ 하면 이은관 명창이 떠오른다고 하는 사람이 많겠지만, 이은관 명창이 지난 2014년 세상을 뜬 뒤 국가무형문화유산 서도소리 배뱅이굿 전승교육사 박준영 명창과 서도소리 이수자 유상호, 박정욱 명창 등이 그 뒤를 잇고 있다. 특히 이은관 명창의 애제자, 유상호 명창은 인천지방을 중심으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유상호는 배뱅이굿 전승교육사 박준영에게 소리를 다듬었는데, 그의 소리 실력이 예사롭지 않다는 점을 간파한 박준영은 그를 이은관 명창에게 보내주었고, 그로부터 10여 년 소리 공부에 진력하여 국가무형문화재 서도소리 <배뱅이굿>의 이수자가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오늘 한 사회단체에서 세미나를 연다고 보도자료를 보내왔습니다. 그런데 내용 가운데는 “점자가 시각장애 아동의 학습과 성장에 필수적임에도 불구하고 교재나 교구, 커리큘럼이 부족하다는 사회문제에서 출발했다.”라는 대목이 보입니다. 여기서 “~임에도 불구하고”는 일본말 “~にもかかわらず( ~니모카카와라즈)”에서 온 것입니다. 굳이 일본어 표현을 쓰지 않고 우리말로 “필수적인데도”로만 써도 좋을 일을 “~임에도 불구하고”를 쓰는 사람들이 늘고 있어 안타깝습니다. 글을 쓸 때는 쓸데없는 말을 덧붙이지 않고 되도록 간단하게 써야 뜻이 분명해져서 글을 읽는 사람이 더욱 쉽게 이해할 수가 있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한자말이나 일본말 표현으로 쓰는 것이 말뜻을 더 또렷이 하는 것으로 착각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서울 서초동에 위치해 있는 예술의 전당”이라고 쓰는 사람들도 있는데 이 경우는 그냥 “서울 서초동에 있는 예술의 전당”이라고 쓰는 것이 훨씬 알아듣기 쉽지 않나요?. 이처럼 흔히 중복의 느낌으로 쓰는 말에는 ‘역전앞’, ‘너른광장’, ‘동해바다’, ‘처갓집’, ‘해변가’ 등이 있습니다. 더러는 이미 말집(사전)에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찬물 끼얹는 등목에 대서(大暑)가 별거드냐 어어 시원타. 아이고 시원하다 에어컨 냉방기는 멀리멀리 가드라고 보리밥 한 그릇, 된장에 풋고추 찍어 오이냉채 한 사발로 얼른 뚝딱 해치우니 천하의 일미가 따로 없구려 위는 양태문 시인의 <여름> 시의 일부입니다. 오늘까지 온 나라엔 물폭탄이 내리듯 물난리가 나서 많은 국민은 큰 재산 보았고, 안타까운 인명 피해까지 겹쳤습니다. 그래서 잠시 더위가 주춤하지만, 내일은 24절기 가운데 열두째인 대서(大署)며, 일주일 뒤인 7월 30일은 중복(中伏)으로, “염소뿔도 녹는다.”라는 속담이 있을 만큼 더위가 가장 심한 때입니다. 이렇게 '된더위' 속의 조선시대 사람들이 더위를 극복하는 한 방법으로 모시적삼 밑에 “등등거리”를 받쳐 입기도 했습니다. 등등거리는 소매가 없어 “등배자(藤褙子)”라고도 부르는데 등나무 줄기를 가늘게 쪼개서 얼기설기 배자 모양으로 엮어 만든 것입니다. 등등거리를 입으면 땀이 흘러도 옷이 살갗에 직접 닿지 않아 적삼에 배지 않고, 등등거리가 공간을 확보해 줌으로 공기가 통하여 시원합니다. 또 여기 양태문 시인은 그의 <여름>이란 시에서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제주목(濟州牧)에 딴 나라 배가 표류하여 왔다. (가운데 줄임) 그들은 대개 류큐국(琉球國) 사람으로 (가운데 줄임) 6월 임술일에 풍랑을 만나 같은 달 병자일에 제주의 귀일포(貴日浦)에 닿았다. 닻과 키를 다시 수리하여 하루속히 본국으로 돌려보내 줄 것을 애걸하므로 제주 목사 이철모(李喆模)가 급보로 물었다. 이에 임금이 그들에게 음식과 옷을 후하게 주어 돌려보낼 것을 명했다." 위는 《정조실록》 30권, 정조 14년(1790년) 7월 20일 기록으로 제주도에 류큐국 배가 표류해온 사건의 기록입니다. 류큐국(琉球國)은 오늘날의 오키나와로 지금은 일본의 한 지방이지만 17세기 초반까지는 류큐왕국이라고 불린 독립된 나라였습니다. 명나라와 일본 사이에 중개무역을 진행했으며, 한반도와도 교류가 있었는데. 고려 때 이미 류큐국에서 외교사절을 보내오고, 조선 전기에는 자주 사신을 보내서 조선에 조공을 바쳤지요. 지난 2014년에는 국립고궁박물관이 일본 류큐(琉球) 왕국의 역사와 문화를 소개하기 위해 마련한 ‘류큐 왕국의 보물’ 특별전을 열었습니다. 이 특별전은 문화 교류를 통해, 나라 밖 왕실문화를 국내에 소개하고, 더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乍晴乍雨雨還晴(사청사우우환청) 잠깐 갰다 금새 비 오고 비 오다 다시 개니 天道猶然況世情(천도유연황세정) 하늘의 도도 오히려 그러하거늘 하물며 세상의 정이야 譽我便應還毁我(예아편응환훼아) 나를 칭찬하는가 했더니 곧 다시 나를 비난하고 逃名却自爲求名(도명각자위구명) 이름을 피하는가 하면 도리어 이름을 구하네 花開花謝春何管(화개화사춘하관) 꽃이 피고 꽃이 진들 봄이 무슨 상관이며 雲去雲來山不爭(운거운래산부쟁) 구름 가고 구름 옴을 산은 다투지 않도다 寄語世上須記憶(기어세상수기억) 세상에 말하노니 모름지기 기억하라 取歡無處得平生(취환무처득평생) 어디서나 즐겨함은 평생 득이 되느니라 이 시는 매월당(梅月堂) 김시습(金時習, 1435~1493)이 지은 <잠깐 갰다 금세 비 오고(乍晴乍雨-사청사우)>란 제목의 한시다. 최근 우리나라의 날씨는 한 언론에 “사흘째 전국 비…내일까지 최대 300㎜ 물벼락”이란 제목이 말해주듯 온 나라가 큰물로 난리를 치르고 있다. 오죽하면 ‘극한호우’란 어려운 한자말까지 쓸까? 이번 큰물로 온 나라엔 많은 재산 피해가 났음은 물론 안타깝게 인명 피해까지 일어났다. 그런데, 곳에 따라 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