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정조실록》 37권, 정조 17년(1793년) 5월 25일 기록에는 “임금이 채제공을 의정부 영의정으로 임명하다”라는 기록이 나옵니다. 정조 개혁의 중심에 섰던 인물 번암(樊巖) 채제공(蔡濟恭, 1720~1799)은 영조 19년(1743) 문과에 급제한 뒤, 암행어사를 지냈으며 도승지ㆍ병조판서ㆍ평안도 관찰사를 거쳐 우의정ㆍ좌의정ㆍ영의정을 지낸 인물입니다. 10여 년을 재상으로 있는 동안 여러 분야에 걸쳐 임금을 보필하였습니다. 그가 죽자, 정조는 “이 대신은 불세출의 인물이다. 그 선천적으로 타고난 인격이 우뚝하게 기력(氣力)이 있어, 무슨 일을 만나면 주저 없이 바로 담당하여 조금도 두려워하거나 굽히지 않았다. 그 기상을 시(詩)로 표현하면 시가 비장하고 강개하여, 사람들이 우국지사의 유풍이 있다고 하였다. 그는 젊은 나이에 벼슬을 시작하여 이때부터 영조께 인정을 받아 금전과 곡식을 총괄하고 세법(稅法)을 관장하였으며, 임금이 쓴 글을 다듬고 내의원(內醫院)에 있으면서 선왕의 옥‘체에 정성을 다하였다.”라고 애통해했습니다.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역북동에는 채제공의 무덤이 있는데 이곳에는 경기도의 유형문화유산으로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잡서」 오십수 신위(雜書 五十首 申緯) 士本四民之一也(사본사민지일야) 선비도 본래 사민 가운데 하나일 뿐 初非貴賤相懸者(초비귀천상현자) 처음부터 귀천이 크게 차이 나는 것은 아니었네 眼無丁字有虗名(안무정자유허명) 낫 놓고 기역자도 모르는 헛된 이름의 선비 있어 眞賈農工役於假(진가농공역어가) 참된 농공상(農工商)이 가짜에게 부림을 받네 “사농공상(士農工商, 사민)은 각각 자기의 분수가 있습니다. 선비[士]는 여러 가지 일을 다스리고, 농부[農]는 농사에 힘쓰며, 공장(工匠)은 공예(工藝)를 맡고, 상인(商人)은 물품과 재화를 서로 통하게 하는 것이니, 뒤섞어서는 안 되는 것입니다." 《성종실록》 140권, 성종 13년 4월 15일 자에 나오는 기록이다. 조선시대 직업으로 인해 나뉘는 신분 제도 사농공상은 노비를 뺀 전체 사회구성원을 넷으로 나뉘었다. 직업은 신분과 밀접한 연관이 있었기 때문에 유학자들은 신분을 상하ㆍ귀천으로 나눌 뿐만이 아니라 직업 또는 상하ㆍ귀천으로 구별했다. 19세기 전반에 시(詩)ㆍ서(書)ㆍ화(畵)의 3절로 유명했던 문인 신위(申緯)는 그의 한시 「잡서(雜書)」 오십수(五十首)에서 ”참된 농공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오늘은 국가기념일 중 하나인 ‘부부의 날’입니다. 1995년에 창원의 권재도 목사 부부가 처음 제안해서 2007년에 국가기념일로 되었는데, 21일이 된 까닭은 둘(2)이 하나(1)가 되어 잘살라는 뜻이라고 하며, 그만큼 우리 사회가 부부의 금실과 가정의 화목을 중요하게 여긴다는 뜻이라고 합니다. 금실이라는 말은 ‘시경(詩經)’의 첫머리에 나오는 금슬(琴瑟)에서 유래한 말로서, 일곱 줄의 거문고인 금(琴)과 스물네 줄 거문고인 슬(瑟)이 같이 연주되면 더없이 좋다는 데서 나왔습니다. ‘부부(夫婦)’란 혼인한 한 쌍의 남녀를 말하지만, 부부 사이에 부르는 말을 살펴보면 ‘**아빠, 자기, 여보, 영감’ 등 다양하며 요즘 젊은 부부 사이에는 ‘오빠’라는 말까지 흔히 쓰는 실정입니다. 그러나 우리말에는 ‘임자’와 같은 말도 있었는데, 이에 대하여 평생 우리말을 연구했던 고 김수업 선생님은 《우리말은 서럽다》란 책에서 부부사이의 부르는 말(호칭)로 “여보ㆍ임자ㆍ이녁”을 꼽았습니다. 이 가운데 ‘임자’를 살펴보면 본디 ‘물건이나 짐승 따위를 제 것으로 차지하고 있는 사람’을 뜻하는 여느 이름씨(대명사) 낱말입니다. 요즘에는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소만 지나 넘치는 것은 어둠뿐이라는 듯 이제 무성해지는 일 밖에 남지 않았다는 듯 나무는 그늘로만 이야기하고 그 어둔 말 아래 맥문동이 보랏빛 꽃을 피우고 위는 나희덕 시인의 <소만>이라는 시 일부인데 오늘은 24절기 가운데 여덟째로 ‘소만(小滿)’입니다. 소만이라고 한 것은 이 무렵에 햇볕이 풍부하고 만물이 점차 자라 가득 차기[滿] 때문이지요. 또 이때는 이른 모내기를 하며, 여러 가지 밭작물을 심습니다. 소만에는 씀바귀 잎을 뜯어 나물해 먹고 죽순을 따다 고추장이나 양념에 살짝 묻혀 먹는 것도 별미입니다. 입하와 소만 무렵에 행했던 풍속으로는 “봉숭아 물들이기”가 있습니다. 봉숭아(봉선화)가 피면 꽃과 잎을 섞어 찧은 다음 백반과 소금을 넣어 이것을 손톱에 얹고 호박잎, 피마자잎 또는 헝겊으로 감아 붉은 물을 들입니다. 이 풍속은 붉은색[赤]이 악귀를 물리친다는 데서 유래한 것으로 동지팥죽, 산수유열매, 혼인하는 신부가 찍는 연지곤지도 같은 풍속이지요. 첫눈이 내릴 때까지 손톱에 봉선화물이 남아 있으면 첫사랑을 만나게 된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또 이 무렵엔 양식이 떨어져 힘겹게 연명하던 ‘보릿고개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도박(賭博)놀이를 금지하라고 명하였다. 도대평(都大平) 등 16인에게 각각 장(杖) 80대를 때리고, 또 장용봉(張龍鳳)에게 장(杖) 1백 대를 때리고, 그 스스로 서로 도박하여 얻은 물건은 관(官)에 몰수하였다. 대개 도박놀이는 고려 말년에 성행하였는데, 비록 큰돈이라도 하루아침에 도박하여 얻어서 벼락부자가 되었기 때문에 경박한 무리가 요행히 따기를 바라고 이 짓을 하다가 처자(妻子)를 빼앗기고 가산(家産)을 탕진(蕩盡)하는 자가 있기에 이르니, 태조(太祖)가 먼저 그 놀이를 금지하였고, 이 때에 이르러 임금이 남은 풍속이 없어지지 않은 것을 듣고, 이에 유사(攸司)에 명하여 체포하고 엄중히 금지하였다.” 이는 《태종실록》 27권, 태종 14년(1414년) 5월 19일 기록입니다. 이때로부터 400년 가까이 된 정조 15년(1791) 9월 19일 《정조실록》 33권 기록에도 투전이 심했다는 얘기가 나오는데, 정조 때의 학자 성대중(成大中)이 쓴 《청성잡기(靑城雜記)》에 보면 투전은 명나라 말기에 역관 장현이 북경에서 들여왔다고 합니다. 또 정약용(丁若鏞)의 《목민심서》에도 사람들은 투전 말고도 골패, 바둑, 장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첫사랑 - 고영민 바람이 몹시 불던 어느 봄날 저녁이었다 그녀의 집 대문 앞에 빈 스티로폼 박스가 바람에 이리저리 뒹굴고 있었다 밤새 저리 뒹굴 것 같아 커다란 돌멩이 하나 주워와 그 안에 넣어주었다. 며칠 뒤면 24절기 ‘소만(小滿)’이 온다. 소만 때가 되면 모든 들과 뫼가 푸른데 오히려 대나무는 푸른빛을 잃고 누렇게 변한다. 이는 새롭게 태어나는 죽순에 영양분을 모두 주었기 때문이다. 마치 자기 몸을 돌보지 않고 어린 자식을 정성 들여 키우는 어미의 모습을 보는 듯하다. 그래서 봄철의 누런 대나무를 가리켜 “죽추(竹秋)” 곧 ‘대나무 가을’이라고 한다. 또 이때 만물은 가득 차지만 사람들은 먹을 것이 없어 구황식품을 구해야 할 때다. 그래서 소만은 우리에게 세상 이치를 잘 가르쳐 준다. 빛이 있으면 어둠이 있고, 따뜻함이 있으면 차가움도 있으며, 가득 차 있으면 빈 곳도 있다고 말이다. 입하와 소만 무렵 세시풍속으로 ‘봉숭아 물들이기’가 있었다.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 4월 조에 보면 “계집애들과 어린애들이 봉숭아를 따다가 백반에 섞어 짓 찧어서 손톱에 물을 들인다.”라는 기록이 있다. 봉숭아 꽃이 피면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어제 5월 16일(금) 낮 3시 구로아트밸리 소강당에서는 국내 첫 저소음 버스킹 오디션 <이츠구로아트페스티벌(IT’S GURO ART FESTIVAL)> 개막식이 열렸다. 이 행사는 (사)한국연기예술학회(KOSAS)와 인스카우트(INSCOUT) 공동주최, 인스카우트와 (예술사회적협동조합)그린나래의 공동주관이며, 구로문화재단, 구로구상공회, (사)한국축제포럼, 4XR, IPARKMALL가 후원으로 나섰다. 개막식에서 먼저 (사)한국연기예술학회 조기숙 부회장은 “이제 우리는 대중에게 무조건 떠들어대기보다는 먼저 경청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그런 점에서 이번 페스티벌은 무소음 페스티벌을 표방했다. 그래서 이번 <이츠 구로 아트 페스티벌>은 빛나는 구로를 만드는 데 큰 역할 할 것이라 믿는다.”라고 인사말을 했다. 또 (재)구로문화재단 정연보 대표이사는 “이번 축제는 우리 지역 예술문화의 발전 가능성을 보여주는 의미 있는 실험이라고 믿는다. 또 이번 축제를 통해서 버스킹 문화가 좀 더 활성화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라고 축하인사를 했다. 개막식에는 신한대학교 K-POP학과 한가영 교수의 축하공연이 열렸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유정현(柳廷顯)을 의정부 찬성으로 삼고, 유관(柳觀)을 의정부 참찬으로, 황희(黃喜)를 이조 판서로, 박신(朴信)을 병조 판서로, 윤향(尹向)을 형조 판서로, 성발도(成發道)를 판한성부사로, 심온(沈溫)을 호조 판서로, 정역(鄭易)을 예조 판서로 삼았다.” 이는 《태종실록》 29권, 태종 15년(1415년) 5월 17일 기록입니다. 여기 태종이 이조판서로 삼았던 황희(黃喜, 1363~1452)는 태종(太宗)이 양녕대군을 폐위시키고 셋째 아들인 충녕대군(세종)을 세자로 지명할 때 반대해 태종의 분노를 사서 서인으로 폐해지고 유배에 처할 정도였습니다. 세종이 그런 황희를 등용하려 할 때 많은 중신이 반대하자 황희의 행동이 "충성스럽지 않다고 볼 수 없다."라며 이를 일축했습니다. 그 뒤 황희는 단연 세종대왕(世宗大王)의 사람이라고 불릴 정도로 세종 시대에 18년 동안 정승에 있었습니다. 하지만 황희는 왕권이 강했던 시절 임금의 일방적인 독주에 제동하는 악역을 마다하지 않았습니다. 세종이 중년 이후 새로운 제도를 많이 제정하자, 황희는 “조종(祖宗)의 예전 제도를 경솔히 변경할 수 없다”라며 반박할 정도였지요. 자기가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세종장헌영문예무인성명효대왕(世宗莊憲英文睿武仁聖明孝大王)의 휘(생전 이름)는 도(祹)요, 자(사람의 본이름 외에 부르는 이름)는 원정(元正)이니, 태종공정대왕(太宗恭定大王)의 셋째 아들이요, 어머니는 원경왕후(元敬王后) 민씨(閔氏)다. 태조(太祖) 6년 정축 4월 임진에 한양(漢陽) 준수방(俊秀坊) 잠저(潛邸, 왕위에 오르기 전 살던 집) 에서 탄생하였으니, 명나라 태조고황제(太祖高皇帝) 홍무(洪武) 30년이다. 영명(英明, 뛰어나게 지혜롭고 총명함) 강과(剛果, 굳세고 결단력 있음))하고, 침의(沈毅, 침착하고 의지가 강함) 중후(重厚)하며, 관유(寬柔, 너그럽고 부드러움) 인자(仁慈) 공검(恭儉, 공손하고 검소함)하고, 또 효도하고 우애함은 천성이 그러하였다.“ 위는 《세종실록》 총서에 나와 있는 세종임금의 탄생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이를 보면 세종은 628년 전인 태조 6년 정축 4월 임진 곧 서기 1397년 5월 15일에 한양 준수방(俊秀坊) 잠저(潛邸)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럼 태어난 곳 준수방은 지금의 어디일까요? 조선 전기 한성부의 관할구역은 크게 중부(中部)ㆍ동부(東部) ㆍ서부(西部)ㆍ남부(南部)ㆍ북부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漢挐山以下 한라산에서 아래로 흘러 松盤奇古節 도사린 소나무는 빼어난 옛날의 절개로 南北正方淵 북에서 남으로 흐르는 정방연 巖謝倒流川 바위에서 물러나 흐르는 시내에 넘어질 듯하네 碧海蒼天外 파란 바다는 푸른 하늘 밖에 있고 夕照浮雲擁 저녁노을은 떠도는 구름에 에워졌는데 青山白雪邊 푸른 산은 흰 눈 가장자리에 있네. 西歸昨夜煙 서귀진은 어젯밤 안개에 쌓여있구나 이 시조는 1702년 제주목사 겸 병마수군절제사로 부임한 이형상(李衡祥, 1653~1733) 목사가 쓴 정방연(正方淵)」이란 한시입니다. 이형상은 제주에 목사로 부임하여 곳곳을 돌아보고 남긴 중요한 순간들을 1703년 화공(畫工) 김남길(金南吉)에게 그리게 하여 보물 <탐라순력도(耽羅巡歷圖)>란 화첩을 남겼습니다(국립제주박물관 소장). 이 <탐라순력도>에는 정방탐승(正方探勝) 그림 말고도 귤림풍악(橘林風樂), 우도점마(牛島點馬), 제주조점(濟州操點), 건포배은(巾浦拜恩) 등 곳곳을 돌아보는 그림 28쪽 포함 모두 43쪽으로 구성되었지요. 이 가운데 이 ‘정방탐승(正方探勝)’은 서귀진(西)으로 가던 이형상 목사가 정방폭포에 잠시 들러 경치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