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오늘은 명절 단오입니다. 단오는 단오절, 단옷날, 천중절(天中節), 포절(蒲節:창포의 날), 단양(端陽), 중오절(重午節, 重五節)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우리말로는 수릿날이라고 하지요. 단오의 '단(端)'자는 첫째를 뜻하고, '오(午)'는 다섯이므로 단오는 '초닷새'를 뜻합니다. 수릿날은 조선 후기에 펴낸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 보면 이날 쑥떡을 해 먹는데, 쑥떡의 모양이 수레바퀴처럼 만들어졌기 때문에 '수리'란 이름이 붙었다고 했으며, 또 수리란 옛말에서 으뜸, 신(神)의 뜻으로 쓰여 '신의 날', '으뜸 날'이란 뜻에서 수릿날이라고 불렀습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한 해에 세 번 신의 옷인 빔(비음)을 입습니다. 설빔, 단오빔, 한가위빔이 바로 그것이지요. 단오빔을 ‘술의(戌衣)’라고 해석한 유만공의 《세시풍요(歲時風謠)》 할주(割註, 본문 바로 뒤에 두 줄로 잘게 단 주)에 따르면 술의란 신의(神衣), 곧 태양신을 상징한 신성한 옷입니다. 수릿날은 태양의 기운이 가장 강한 날이지요. 단옷날 쑥을 뜯어도 오시(午時)에 뜯어야 약효가 가장 좋습니다. 다시 말해, 사람이 태양신[日神]을 가장 가까이 접하게 되는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산사(山寺) 돌계단 - 김 상 현 중생의 무게를 묵묵히 받아주는 절간 오르는 돌계단이 바로 누워있는 부처님이시다 “절간에 부처가 있나? 절간은 스님들 숙소지 부처는 한 놈도 없다. 여러분이 못하는 일을 공양주가 하고, 처사가 한다. 그들을 선지식으로 받들어 모셔라. 여러분이 하지 못하는 하찮은 일을 하는 그들이 문수고 보현이야.” 설악산 신흥사 조실 설악무산 스님이 지난 2012년 동안거 해제법회에서 하신 말씀이다. 이어서 스님은 말씀하신다. “내 주변에 있던 내게 밥해주던 공양주보살, 군불 때주던 부목처사가 선지식이다. 산문을 나서서는 주막의 주모가 선지식이었고, 어부ㆍ대장장이ㆍ서울 시청 앞 노숙자가 내 삶의 선지식임을 깨달았다. 만나는 사람마다 내 스승이었다.” 엄청난 말씀이다. 고매한 조실스님께서 공양주보살ㆍ부목처사ㆍ주모, 어부ㆍ대장장이ㆍ노숙자가 바로 문수고 보살이요 자신의 스승이라고 일갈하셨다. 그런데 세상의 모든 공양주보살과 노숙자들이 그런 대접을 받고 있을까? 사실 정치인과 공무원은 국민의 종이다. 그런데도 그들은 스님의 말씀처럼 국민을 공양주보살ㆍ부목처사로 생각지 않는 듯하다. 강원도 고성군에는 천년고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노들강변 봄버들 휘늘어진 가지에다가 무정세월 한허리를 칭칭 동여매어나 볼까 에헤야 봄버들도 못 믿으리로다 푸르른 저기 저 물만 흘러 흘러서 가노라 1930년 신불출(申不出, 1905~?)이 작사한 '노들강변'입니다. 문호월 작곡, 박부용 노래로 서민들의 사랑을 받아 우리 음악사에 불멸의 민요곡으로 자리 잡은 노래지요. '노들강변'은 오케레코드사에서 음반으로도 제작됐는데 신불출은 원래 만담가로 더욱 유명합니다. 일제강점기에 풍자와 해학으로 당대 최고의 인기를 얻었던 사람이지요. 신불출은 특유의 화술로 대중의 인기를 끌었지만, 일제에 노골적으로 저항하면서 툭하면 경찰에게 끌려가 조사를 받았고 인기 높던 그의 음반은 자주 불온작품으로 걸려 판매금지를 당했습니다. 그의 만담작품 '말씀 아닌 말씀'에는 "사람이 왜 사느냐가 문제인 것이 아니라 어떻게 살 것인지가 문제다. 그러므로 우리는 '왜' 자라는 말을 아예 없애버려야 한다."라는 내용이 있는데, 일본을 뜻하는 왜(倭) 자가 떠오르게 하는 중의법을 써 '왜놈을 없애야 한다'라는 뜻을 전하고자 했습니다. 또 자신의 이름을 불출(不出)로 바꾼 것은 '이렇게 일본 세상이 될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대한 독립운동자여 단결하라! / 일체 납세를 거부하자! / 일본 물자를 배척하자! / 조선인 관리는 일체 퇴직하라! / 일본인 공장의 직공은 총파업하라! / 일본인 지주에게 소작료를 바치지 말라! / 일본인 교원에게는 배우지 말자! / 일본 상인과의 관계를 단절하자! / 언론, 출판, 집회의 자유를! / 군대와 헌병을 철거하라! / 투옥 혁명수를 석방하라! / 보통교육은 의무교육으로! / 교육 용어는 조선어로! / 동양 척식 주식회사는 철폐하라! / 일본 이민제를 철폐하라!” 이는 1926년 6월 10일 순종(純宗, 재위 1907~1910)의 인산일(因山日, 임금ㆍ황태자ㆍ황태손과 그 비들의 장례날)을 기해 일어난 6.10만세운동 당시 뿌려진 격문의 하나입니다.(출처 《사회과학사전》, 이석태, 1946) 국가보훈처는 일제강점기 국권 회복을 위해 헌신하신 6.10만세운동 선열을 기리고 그분들의 독립정신을 기억하기 위한 ‘제95주년 6.10만세운동 기념식’을 10일(목) 저녁 6시 10분, 훈련원공원(서울 중구)에서 연다고 밝혔습니다. 6.10만세운동은 1919년 3․1운동, 1929년 광주학생항일운동과 함께 일제의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一區耕鑿水雲中(일구경착수운중) 물과 구름 낀 가운데에 한 뙈기 밭 갈고 우물 파니 萬事無心白髮翁(만사무심백발옹) 만사에 무심한 백발의 늙은이라네 睡起數聲山鳥語(수기수성산조어) 산새들 지저귀는 몇몇 소리에 잠깨 일어나 杖藜閑步遶花叢(장려한보요화총) 지팡이 짚고 산책하며 꽃들 구경하네 이는 조선시대 대표적인 유학자 우계(牛溪) 성혼(成渾)이 벗 안응휴에게 지어준 한시입니다. 하지만 이는 안응휴에 대한 찬사(讚辭)일 뿐만 아니라 동시에 자기 삶의 지침이라고 할 수도 있습니다. 물이 흐르고 구름 낀 가운데에서 한 뙈기의 밭을 갈고 우물을 파니 안응휴는 낮잠을 자다가 산새들 지저귀는 소리에 잠을 깨 일어나 지팡이 짚고 산책하며 꽃들 구경한다고 노래합니다. 이 시에 대해 허균(許筠)은 《국조시산》에서 “초탈하고 뛰어나 미칠 수가 없다.”라고 평하였고, 홍만종(洪萬宗)은 《소화시평》에서, “문장과 성리학은 그 경계(境界)에 이르면 한 몸이다. 당나라 한유(韓愈)가 문으로 도를 터득한 사람인데 성혼이 바로 그러하다.”라고 했습니다. 성혼은 “학문이란 어버이(父母)를 섬기고, 형(兄)을 따라 함으로써 당연함을 얻는 것이다. 마음을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축구를 좋아하는 분이라면 '빗장수비'를 아실 것입니다. 이탈리아 축구 대표 팀 ‘아주리 군단’은 ‘빗장수비’로 유명하지요. 아무리 뚫으려 해도 빗장을 지른 것처럼 뚫리지 않는 수비 덕분에 붙은 별명입니다. 한옥 문에는 이 빗장이 또 다른 자물쇠 구실을 합니다. 한옥을 짓는 마지막 매듭이 빗장이라고 할 정도로 한국 전통건축은 빗장에 공을 들였습니다. ‘빗장’은 문을 닫은 뒤 그 중간쯤에 나무나 쇠로 만들어진 긴 막대를 가로질러서 열리지 않도록 하는 막대입니다. 구멍을 파 빗장을 질러 넣어 걸리도록 덧대어 놓은 나무를 둔테(빗장걸이)라고 하지요. 빗장에는 주로 거북무늬가 많이 쓰이는데 그 까닭은 거북이 십장생의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거북머리인 귀두(龜頭)는 남성의 생식기를 닮아 생명과 다산(多産), 번창의 기원을 담고 있습니다. “이제는 빗장을 풀겠습니다. / 어둡고 험한 세상 살면서 / 가리고 잠갔던 / 마음의 빗장을 풀겠습니다.” 석정희 시인은 그의 시 <빗장을 풀고>에서 이제는 마음의 빗장을 풀겠다고 합니다. 요즘 대다수 문에서 쓰는 도어록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해학과 예술성이 빗장 하나에도 곁들여 있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참외라는 이름에서 ‘참’의 의미는 / 그 이치를 내 따져 알 수 있다네 / 짧은 놈은 당종(唐種)이라 부르고 / 긴 놈은 물통이라 부른다지 / 베어놓으면 금빛 씨가 흩어지고 / 깎아놓으면 살이 꿀처럼 달지 / 품격이 전부 이와 같으니 / 서쪽 오이란 말과 한가지라네” 위는 조선중기의 이응희(1579-1651)가 지은 “참외[眞瓜]”라는 시인데 어찌나 토속적이고 소박한지 한 편의 풍속화 같다는 평을 듣습니다. 이렇게 자세한 묘사한 시도 있지만 허균의 《도문대작(屠門大嚼)》에는 “참외는 의주(義州)에서 나는 것이 좋다. 작으면서도 씨가 적은데 매우 달다.”라고만 나옵니다. 또 참외는 《고려도경(高麗圖經)》에 그 이름이 보이는 것으로 보아 고려시대 부터 참외를 즐겨 먹었을 것으로 짐작됩니다. 일제강점기에 나오던 《별건곤(別乾坤)》이라는 잡지에는 알록달록한 개구리참외, 겉이 노란 꾀꼬리참외, 색깔이 검은 먹통참외, 속이 빨간 감참외, 모양이 길쭉한 술통참외, 배꼽이 쑥 나온 배꼽참외, 유난히 둥그런 수박참외 등이 소개돼 다양한 종류의 참외가 있었음을 알게 해줍니다. 그밖에 쥐똥참외라는 것도 있었는데 맛이 없어 아이들이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내가 바라는 세상 - 이기철 이 세상 살면서 내가 하고 싶은 일은 사람이 많이 다니는 길가에 꽃모종을 심는 일입니다 한 번도 이름 불려지지 않은 꽃들이 길가에 피어나면 지나가는 사람들이 그 꽃을 제 마음대로 이름지어 부르게 하는 일입니다 아무에게도 이름 불려지지 않은 꽃이 혼자 눈시울 붉히면 발자국 소리를 죽이고 그 꽃에 다가가 시처럼 따뜻한 이름을 그 꽃에 달아주는 일입니다 부리가 하얀 새가 와서 시의 이름을 단 꽃을 물고 하늘을 날아가면 그 새가 가는 쪽의 마을을 오래오래 바라보는 일입니다 그러면 그 마을도 꽃처럼 예쁜 이름을 처음으로 달게 되겠지요 “자세히 보아야 예쁘다. 오래 보아야 사랑스럽다. 너도 그렇다.”라고 나태주 시인은 그의 시 <풀꽃>에서 노래한다. 여기서 나태주 시인이 말한 “너”는 바로 “쥐꼬리망초”를 보고 노래한 것일지 모른다. 쥐꼬리망초는 꽃의 크기가 2~3mm 밖에 되지 않는 작은 꽃이어서 앙증맞고 귀여운 꽃이다. 이 꽃은 한 꽃대에 여러 개의 꽃이 한꺼번에 피지 않고 한 개나 두 개씩 차례로 천천히 꽃을 피운다. 그래서 어떤 이는 단번에 터뜨리는 것이 두려워서 조심스럽게 꽃을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오늘은 24절기 가운데 아홉째인 “망종(芒種)”이다. 망종이란 벼, 보리 같이 수염이 있는 까끄라기 곡식의 씨앗을 뿌려야 할 적당한 때라는 뜻이다. 이 때는 모내기와 보리 베기에 바쁜 때로 “발등에 오줌 싼다.”라는 속담이 있을 정도다. “보리는 망종 전에 베라.”는 속담도 있는데 망종까지 보리를 모두 베어야 논에 벼도 심고 밭갈이도 하게 된다는 뜻이며, “보리는 익어서 먹게 되고, 볏모는 자라서 심게 되니 망종이요.”, “햇보리를 먹게 될 수 있다는 망종”이라는 말도 있다. 또 이때쯤은 가뭄이 들기도 한다. 논과 밭 모두 바싹바싹 타들어가고 옹달샘 물마저 끊겨 먼 데까지 먹을 물을 길러 다니기도 했다. 농사가 나라의 근본이었던 조선시대엔 비가 오지 않으면 임금까지 나서서 기우제를 지내야 했는데 《조선왕조실록》에 “기우제”가 무려 3,122건이나 나올 정도다. 기우제를 지내는 것은 먼저 산 위에 장작을 쌓아놓고 불을 놓는 방법이 있다. 이는 산에서 불을 놓으면 타는 소리가 천둥 치는 소리같이 난다는 데서 비롯된 것이며, 연기를 통해 하늘에 간절함을 전한다는 얘기도 있다. 또 하늘님을 모독하거나 화나게 하여 강압적으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서울에 돌림병이 크게 유행하여 사람이 많이 죽는지라, 임금이 한성부에 명하여 집계하여 보니 죽은 자가 4백 57인이 되고, 또 병조에 명하여 호군(護軍) 다섯 사람으로 하여금 성문을 지키면서 사람의 주검이 문을 나가는 것을 헤아려서 아뢰라고 하였다. 좌찬성 황보인(皇甫仁)이 고려 숙종(肅宗) 때의 옛일에 따라 돌림병 귀신에게 제사지내어 예방하기를 청하니, 그대로 따랐다.” 위는 《세종실록》 세종 29년(1447) 5월 1일 치 기록으로 서울에 돌림병이 돌아 심각했음을 얘기하면서 돌림병 때문에 귀신에게 제사지내기까지 했다는 기록입니다. 우리말로 돌림병(한자말로는 전염병)이라 부르는 병들은 《조선왕조실록》에만도 259건이 검색될 정도로 고통을 받았지요. 특히 지금은 별것 아닌 홍역 같은 돌림병에도 쩔쩔 매곤 했는데 홍역이 돌면 세 갈래 길에 짚을 십자 모양으로 깔아놓고 “벼슬떡”을 올려놓고, 마마신이 가기 전에 떡을 잘 먹고 가시라고 비손하는 이 행위를 했는데 이를 사람들은 “마마배송”이라 했지요. 그때에 견주면 의학이 엄청나게 발달했는데도 지난해부터 온 세상을 강타하고 있는 ‘코로나19’로 사망자도 많이 나왔을 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