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울산 국악협회(회장 박진)가 주최한 제21회 전국국악경연대회(이하 울산대회)관련 이야기로 이어간다. 울산(蔚山)시가 근대 한국의 산업을 이끈 공업도시이지만, 처용가무(處容歌舞)나 처용설화의 도시라는 이야기, 처용설화란 신라 헌강왕(憲康王)이 지금의 울산인 개운포(開雲浦)에 행차하였다가 처용을 만나게 되어 벼슬을 주고 예쁜 여자로 아내를 삼게 하였는데, 역신이 아내를 탐해도 처용은 노래를 부르고 춤으로 대하니 역신이 감복해 하며 도망을 했다는 이야기를했다. 또 울산에서는 해마다 <처용문화제>가 열리며 산업과 예술이 공존하는 국제도시로 성장해 가고 있다는 이야기, 울산의 또 다른 문화행사가 전국 규모의 국악경연대회인데, 학생부와 일반부로 나뉘고 각 부문의 대상은 심사위원 전원의 채점으로 선정하며 300여명의 참가자들이 열띤 경연을 벌였다는 이야기 등을 지난주에 하였다. 최근 문체부는 문화도시의 지정 계획을 세우고, 이를 추진하고 있어서 국내 어느 도시가 문화도시로 선정되는가 하는 점이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문화도시란 우리가 짐작하고 있는 바와 같이 지역별 특색 있는 문화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해서 문화 창조력을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충남지방의 무형문화재인 아래내포시조와 위내포시조를 소개하였다. 위내포시조의 보유자, 박선웅은 서산의 유병익 사범에게 배웠고, 서울의 박기옥에게 석암제 시조, 홍원기, 김경배에게 가곡과 가사까지 배웠다는 점, 그는 제2회 백제예술제 시조경창대회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하였고, 전국 굴지의 시조대회에서 심사위원을 지냈고, 현재는 서산지방에서 윗내포제시조 강습회와 정가발표회 등을 열고 있다는 점을 얘기했다. 또 전승과정은 유환경-이종승-이문교-유병익-박선웅으로 이어지며, 이 창제는 창법이 편안하고 안정감이 있으며 곡태(曲態, 음악의 표현 기법) 또한 유연하다는 점, 노랫말이 구수하게 변모되어 있으며 전체적인 장단수가 경제에 비해 짧게 구성되어 있다는 점, 옛 선비의 기개와 멋을 느끼게 되는 시조창이란 점 등을 이야기 하였다. 이번 주에는 지난 7월 7~8일에 울산광역시 국악협회(회장 박진)가 주최한 제21회 전국국악경연대회(이하 울산대회) 관련 이야기를 한다. 울산이라는 도시의 이름을 듣게 되면, 무엇보다도 먼저 근대 한국의 산업을 이끈 공업도시라는 생각이 떠오른다. 1960년대 초, 경제개발계획의 공업특정지구로 결정되어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충남지방의 무형문화재인 아래내포시조와 위내포시조를 소개하며 서산지방을 중심으로 퍼져있는 <서산제시조>는 넓은 의미의 위내포제 시조에 속한다는 점, 박선웅(예명-인규)이 예능보유자로 인정되어 있다는 점, 시조인들은 서산, 태안, 당진, 홍성, 예산 지역의 시조를 안내포시조, 부여, 청양, 공주, 금산 지역을 외내포시조로 구분해 왔으나 이병기의 《가람문선》에는 위내포제, 아래내포제로 기술하고 있다는 점, 이에 따라 서산제시조의 계보라든가 전승 현황 등이 관심 대상이 되었다는 이야기 등을 하였다. 이번 주에는 박선웅 예능보유자가 서산제시조와 맺게 된 인연이라든가, 전승계보, 그리고 음악적 차이 등에 관한 이야기를 이어가도록 한다. (문화재 지정을 위한 자료 참고) 충청지방의 시조는 내포제시조라고 부른다. 내포제는 위내포제와 아래내포제로 구분되는데, 서산 지방의 시조가 위내포제 시조의 중심이 된다고 해서 서산지방의 시조를 달리 <서판제>, 혹은 <스판제>라고 불러왔다. 위내포시조의 예능보유자 박선웅이 부르는 시조가 바로 서판제시조인 것이다. 그는 충남 서산읍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소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충남 부여에서 열린 2018년도 시조강습회 관련 이야기를 하였다. 내포제 시조보존회는 7-80대가 주축이고 이론과 실기 강습회를 30년째 지속해 왔으며 최근에는 이를 계기로 회원 전원의 발표무대도 가졌다는 점, 시조창은 유행가의 의미로 가곡(歌曲)을 축소한 노래이며, 정제된 형식이나 선율의 유장미, 표현의 절제미, 발성의 장중미 등, 음악적 분위기가 유사하다는 점, 그래서 지식인이나 선비계층에서 즐겨 불렸다는 점을 얘기하였다. 뿐만 아니라 평시조, 지름시조, 사설시조 등 여러 형태로 다양해 졌고 지역의 특징을 살린 <경제>, <내포제>, <영제>, <완제> 등 다양한 형태로 확산되었다는 점, 충청지방의 내포제 시조창은 창법이나 말붙임, 부분적인 가락, 시김새, 표현법 등이 경제 시조와는 부분적으로 다르다는 점을 언급하였다. 필자는 일전에 있었던 강습 개회식에서 동료와 함께 곡조를 즐기고, 시조시를 암기하며 악보읽기를 배우는 시조창 부르기 운동이 노인을 위한 최적의 프로그램이 될 수 있음을 이야기하였다. 이번 주에는 충청남도에서 지정한 다른 지방의 시조창을 소개하려고 한다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임종복의 <가야금병창>에 관한 이야기를 하였다. 병창이란 창자(唱者)가 직접 가야금을 연주하면서 단가나 민요, 또는 판소리의 눈 대목 등을 부르는 연창의 형태라는 점, 성악은 선율악기의 반주로 음정이나 장단을 맞추기 용이하므로 가야금 반주는 음정, 선율, 연결, 강약, 흐름, 장단의 도움이 크다는 점, 장월중선류 가야금병창은 그 소리제가 점점 위축되어 왔으나 문화재 제도의 마련으로 명맥을 이어가고 있으며 임종복을 위시한 전승자들이 활발하게 이어가고 있다는 점을 얘기했다. 장월중선은 김채만-박동실로 이어지는 고제(古制)의 소리와 <유관순 열사가>와 같은 창작 판소리도 불렀던 명창이란 점, 큰 선생의 유음을 간직하고 있으면서도 항상 연구하는 자세로 소리 공부에 진력하는 임종복의 모습이 진지하며 모범적이라는 이야기 등을 하였다. 이번 주에는 충남 부여에 자리 잡고 있는 <내포제시조보존회>가 주최한 2018년도 시조강습회 관련 이야기로 이어간다. 충청남도에는 시조를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인, 내포제시조보존회가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시조회관에 모여 열심히 시조창을 부르면서 또 한편으로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경북 포항에서 오랜 기간 가야금병창 분야의 연주활동을 해 오고 있는 임종복의 활동상에 관한 이야기를 하였다. <가야금병창>이란 소리꾼이 가야금을 스스로 연주하면서 단가나 민요, 또는 판소리의 눈 대목 등을 부르는 연창의 형태라는 점, 임종복은 장월중선(張月中仙, 본명-순애)의 소리제를 잇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고 있으며 스승의 유음을 가다듬기 위해 스승의 장녀인 정순임 명창에게 소리전반을 공부하고 있다는 점을 애기했다. 또 문화체육관광부는 장판개-장월중선-정순임으로 3대째 이어지는 집안을 판소리의 명가(名家)로 지정하였으며 장월중선은 1960년대 초부터 경주에 정착하여 판소리, 가야금산조와 병창, 아쟁산조, 민속춤 등, 다양한 장르를 전승시켜 왔다는 점, 경상북도는 장월중선의 판소리와 가야금병창을 무형문화재로 지정하고 경주시에서는 판소리를 기본으로 하는 창극공연과 전국 국악경연대회, 학술행사 등을 매해 열고 있다는 이야기 등을 하였다. 우리가 경험해 본 것처럼, 노래는 혼자 부를 때와 반주악기가 곁들여 질 때가 전혀 다르게 반응한다. 선율악기의 반주가 있다면 음정을 가늠할 수 있고, 선율의 흐름을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살풀이춤>으로 객석의 뜨거운 호응을 받았던 노혜경의 이야기를 하였다. 살풀이 춤이란 살풀이장단에 맞추어 수건을 들고 춘다고 해서 수건춤, 또는 즉흥무라는 이름이 있다는 점, 기(技)의 극치로 예(藝)에 이르는 춤으로 정중동의 신비스러움과 자유스러움, 환상적인 춤사위는 예술적 차원을 뛰어넘는다는 점, 원래는 살(煞)을 푼다는 의미로 시작되었고 이를 가다듬어 교방에서도 추었으나 현재는 무대화된 전통춤으로 자리를 잡았다는 이야기를 했다. 그리고 도살풀이, 살풀이, 동살풀이와 같은 말들은 시나위권에서 불리는 살풀이를 두고 달리 부르는 이름이란 점, 100년 전 화보에 살푸리춤이라는 명칭 소개가 있으나 본격적으로는 1930년대 후반, 한성준(韓成俊)이 <조선음악무용연구회> 이름으로 공연을 한 이후라는 점, <한국예인열전> 무대에서 노혜경은 이매방류 살풀이춤으로 객석의 열띤 호응을 받았는데, 그는 무대에 오르기 전에는“마음이 고와야 춤이 고운 법”이라는 스승의 전언을 떠 올린다는 점, 그는 무용학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취득한 흔치 않은 학구파 춤꾼이란 점 등을 이야기 하였다. 이번 주에는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2018 한국예인열전”에서 역동적이며 신명나는 무대를 만들어 주었던 김윤미의 버꾸춤 이야기를 하였다. <버꾸>란 충청도 지방이나 전라도 지방에서 부르는 매구북의 딴 이름으로 소고(小鼓)를 말한다는 점, <법고>의 음성모음화 된 말이 <법구>이고, 법구를 연음화하여 된 발음으로 부르는 명칭이 <버꾸>라는 점을 얘기했다. 이 춤은 금당도의 풍물놀이에 속해 있던 소고잽이들의 춤가락을 기본으로 해서 무대화 한 춤이란 점, 버꾸를 돌리기도 하고, 차올리기도 하며 현란한 개인기를 발휘하여 매우 토속적인 분위기를 자아내었다는 점, 마당놀이에서 볼 수 있는 크고 거친 동작들을 더 세련되게 무대로 끌어들여 객석의 반응을 고조시켰다는 이야기 등을 하였다. 이번 주에는 <살풀이춤>으로 객석의 뜨거운 호응을 받았던 노혜경의 이야기로 이어간다. 살풀이 춤이란 살풀이장단에 맞추어 수건을 들고 추는 춤이다. 수건을 들고 춘다고 해서 수건춤이라는 이름도 있고, 음악이 흐르는 대로 즉흥적 춤사위를 보인다고 해서 즉흥무라는 이름도 있다. 여하간 이 춤은 한국인의 멋과 흥을 자랑하는 대표적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강향란의 징춤 이야기를 하였다. 강향란은 남사당놀이 이수자로 활동하고 있는 춤꾼이란 점, 풍물세계의 외로움과 징의 애환을 춤 속에 담았는데, 역동적이며 거친 느낌이 풍긴다는 점, 징(鉦)은 단일 음정을 지닌 타악기로 궁중에서는 대금(大金)이라 불렀으며 군영에서 퇴각시 신호용 악기로 사용되었다는 점, 현재는 풍물놀이, 무속음악, 종묘제례악, 대취타, 불교음악 등에 쓰이고 있는데, 주로 강약을 조절하며 장단의 첫 박을 알리는 역할을 담당한다는 점을 얘기했다. 강향란의 징춤은 굿거리-덩더꿍-휘모리-굿거리장단으로 전개되며 장단별 특징을 지니고 있다는 점, <부평풍물축제> 명인전을 비롯하여 <KBS 국악한마당>, <국악의 향기>, <명인 명무전>, <FIA 국제예술제> 등 큰 무대에서 선을 보여 왔고 이제 그의 징춤은 한(恨)과 도(道), 그리고 흥(興)을 신명으로 풀어낸 남사당 무동이의 대표적인 풍물춤으로 자리잡았다는 평가를 받는 점 등을 이야기 하였다. 이번 주에는 “2018 한국예인열전”에서 역동적이며 신명나는 무대를 만들어 주었던 김윤미의 버꾸춤 이야기로 이어간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까지는 편종과 편경의 유일한 제작자, 김현곤 장인의 이야기를 하였다. “내 몸 이상으로 사랑하지 않고는 명품(名品)이 나올 수 없다”는 신념으로 악기제작에 정성을 들이고 있다는 이야기, 조선시대에는 장악원이나 악기조성청과 같은 임시관청에서 만들었을 뿐, 개인의 힘으로는 제작이 불가했다는 이야기, 그는 중국 각지를 찾아다니면서 힘들게 경석 재료를 수입해 오다가 2009년 이후에는 경기도 남양의 경석으로 제작한다는 이야기를 했다. 그러나 악기 제작의 전수, 이수를 희망하는 젊은이들이 없어 장남과 차남에게 장인으로서 갖추어야 할 기능과 정신을 전승시키고 있다는 이야기, 문화재청에서는 편종과 편경의 분리문제, 재료비 지원문제, 전수조교의 확보문제 등 행정적인 배려를 서둘러 주어야 한다는 이야기, 전국의 대소 박물관, 각급학교, 공연장 등에 교육적인 전시가 이루어지도록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이야기 등을 하였다. 이번 주에는 강향란의 징춤 이야기를 한다. 징춤이란 징을 들고 가볍게 울리거나 두들기면서 추는 춤이다. 얼마 전, 서울남산국악당에서는 <풀뿌리문화연구소>가 제작 기획한 –한국예인열전 공감(共感) 동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