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국가보훈처(처장 박삼득)는 광복회, 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이석영(1855~1934) 선생을 ’2020년 8월의 독립운동가‘로 뽑았다. 선생은 1855년 서울에서 출생하였으며, 1885년 과거에 급제해 벼슬길에 올랐다. 1894년 갑오개혁 이후 관직에서 물러나 재야에 머물다가 1910년 동생 이회영(’62년 건국훈장 독립장), 이시영(‘49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등 6형제와 일가족 전체가 독립군 기지 개척 등 독립운동을 위해 전 재산을 처분하여 서간도로 망명하였다. 선생의 재정지원으로 1911년 서간도에 한인 자치기관인 경학사(耕學社)가 설립되었으며, 농업개발, 민족교육, 군사교육을 실시하여 구국인재를 양성, 무장항일 투쟁을 펼치고자 하였으나 1911년과 1912년 연이은 대흉년으로 심각한 재정난에 부딪히며 어려움을 겪었다. 그런 어려움 속에서도 선생이 기부한 자금으로 신흥무관학교 전신인 신흥강습소가 설립되어 1911년 6월 서간도 삼원포 추가가(鄒家街)에서 개교식를 가졌다. 이곳에서 1920년까지 3,500여 명의 졸업생을 배출했으며, 만주에서 조직된 독립군의 근간을 이루며 독립전쟁사에 찬란한 자취를 남겼다. 1912년 신흥강습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일제감시대상인물카드(서대문형무소수형자카드)를 살펴보면 ‘국가총동원법위반(國家總動員法違反)’을 위반했다는 죄로 잡혀들어간 사람들이 많다. 강간난(姜干蘭) 지사도 그 가운데 한 사람이다. 황해도 평군 고북면 서오리가 고향인 강간난 지사는 1908년 10월 27일생으로 그가 언제부터 경성부 창신동으로 이주해 와서 살았는지는 알 수 없다. 그러나 강간난 지사는 32살 되던 해인 1942년 7월 9일 경성지방법원으로부터 국가총동원법위반으로 징역 6개월을 선고받고 서대문형무소에 갇히는 몸이 된다. 김귀현 지사도 마찬가지다. 37살 때인 1943년 11월 11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징역 8개월을 선고받고 역시 서대문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렀다. 강간난, 김귀현 지사를 잡아넣은 ‘국가총동원법’이란 1938년 4월 1일, 일본에서 공포한 법으로 5월 10일 조선에도 적용되었다. 국가총동원법이란 말 그대로 전시(戰時)에 모든 물자ㆍ산업ㆍ인원ㆍ단체ㆍ근로조건ㆍ생산ㆍ유통구조ㆍ출판ㆍ문화ㆍ교육을 통제ㆍ징발ㆍ징용할 수 있게 한 법이다. 국가총동원법을 두 가지 측면으로 요약하면 첫째가 조선인의 황국신민화를 통한 내선일체화이며, 둘째가 전시(戰時) 체제의 확립이다. 예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어지간한 신심이 아니면 오르기 어려운 절, 수종사는 남양주 운길산 중턱에 있다. 차로 올라가는 경우에도 가파른 길이라 쉽지않은데 걸어 올라가기란 더욱 힘들다. 그러나 힘들게 오를수록 수종사에서 바라다본 두물머리(양수리) 경치는 천하일품이다. 그래서인지 수종사에 온 사람들은 절 경내에서 오래 머무는 사람들이 많다. 대한불교조계종 제25교구 본사인 봉선사 말사의 수종사는 1459년(세조 5)에 세워진 절로 세조와 관련된 창건설화가 전해오고 있다. 수종사(水鐘寺)라는 절이름은 물(水)과 종(鐘)이 관련이 있다. 세조가 피부병으로 고생 중 전국의 이름난 기도처를 찾아다니며 기도하고 시주해오던 터에 강원도 상원사에서 돌아오다가 수종사 인근 두물머리에서 머문 적이 있었다. 그런데 고요한 밤중에 종소리가 들려와 다음날 알아보니 바위굴 속에서 똑똑똑... 물 떨어지는 소리가 마치 종을 치는 소리처럼 들려온 것이다. 그곳은 운길산의 고찰(古刹)이 있던 터로 바위굴에 16나한이 있어 세조는 이곳에 수종사를 지었다. 그러나 이 절에는 1439년(세종 21)에 세워진 정의옹주 부도가 있는 것으로 미루어 절이 세조때 창건된 것이 아니라 중창이 아닌가 추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광복회는 국방부의 《육군군가집》, 《군가수첩》은 물론 교육용 CD, 누리집 그 어디에도 ‘독립군가’가 수록되지 않았고, 오히려 친일작곡가의 군가인 ‘육군가’ ‘화랑행진곡’ ‘진짜사나이’ 등이 다수 수록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하고, 지난해(2019. 7.15), 이의 시정을 요구하는 공문을 국방부에 보냈 바 있다. 이에 국방부는 “올해 초 각 군에 ‘독립군가’ 교육을 하달하였고, 《군가수첩》과 누리집에 해당 군가를 실어 장병교육에 힘쓰고 있다’라고 추진사항을 광복회에 지난 7월 15일 통보했다. 아울러 국방부는 친일작곡가인 김동진, 이흥렬 등의 군가에 대해서도 ‘범정부 차원의 연구, 전문가 의견수렴과 충분한 국민공감대를 형성하여 종합적으로 검토하겠다’라는 생각을 밝혔다. 김원웅 광복회장은 이에 대해 “민족을 외면한 호국은 참된 호국이 아니다. 국군이 ‘민족을 지키는 군대’가 되길 바라며, 향후 ‘자주독립정신’을 중심적 가치로 하는 정훈교육이 이뤄져야 한다”라고 말했다.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서대문형무소에 잡혀들어간 독립운동가들의 ‘수형자카드’를 작성했던 일본인 순사(경찰관)들의 수준은 어느 정도였을까? 나는 서대문형무소 ‘수형자카드’를 정리하면서 오랫동안 이 점을 숙제처럼 머릿속에 담고 있었다. 일제강점기 순사들의 수준을 의심하게 된 계기는 바로 한 장의 수형자카드 때문이었다. 핼쑥한 모습의 ‘유고두’ 지사는 충남 공주군 정안면 운궁리 출신으로 1898년 9월 4일생이다. 기미년 3월 만세 운동 때 유고두 지사는 21살이었고 직업은 농사꾼이었다. 3월 1일 서울을 시작으로 전국에서 만세운동이 일어나자 공주군에서도 4월 1일 대대적인 만세시위가 있었다. 이때 유고두 지사는 공주 만세시위에 참여하다 일경에 잡혀 징역 8개월을 선고받고 서대문감옥에서 옥고를 치렀다. 당시 서대문형무소에 잡혀들어온 조선인은 누구나 예외 없이 수형자카드에 신상을 기록하게 되어있는데 카드 앞면은 사진과 함께 씨명(이름), 연령, 키, 특징을 적는 칸이 있고 뒷면에는 본적, 출생지, 주소, 신분, 직업, 죄명, 형기(刑期), 언도년월일, 언도재판소, 집행감옥, 출옥년월일 등을 적게 되어있다. 문제는 유고두 지사의 한자 이름이다. 순사들은 수감자의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국가보훈처(처장 박삼득)은 조국의 광복과 민족 통일을 위해 일생을 바친 ‘몽양 여운형 선생 서거 제73주기 추모식’을 오는 19일(일) 낮 11시, 몽양 여운형 선생 묘소(서울 강북구 우이동)에서 연다. (사)몽양여운형선생기념사업회(이사장 강창일)에서 주관하는 이 날 추모식에는 이병구 국가보훈처 차장을 비롯한 각계 인사, 독립운동 관련 단체장, 기념사업회원와 유족 등 40여 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추모식은 코로나19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예년보다 규모를 축소한 가운데, 선생의 약력 소개, 식사 및 추모사, 추모공연, 헌화ㆍ분향 순으로 진행된다. 몽양 여운형 선생 주요 공적 ○ 몽양(夢陽) 여운형 선생(1885.4.24~1947.7.19)은 경기도 양평(楊平)에서 출생하여 배재학당, 흥화학교 등에서 신학문을 익혔으며, 1908년에는 기호학회 평의원으로 활동하였고, 1910년 강릉의 초당의숙에서 민족교육에 매진하였다. ○ 1차 세계대전 후 파리강화회의에 김규식을 파견하였으며,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독립문제를 크게 부각하기 위해 장덕수를 일본에 파견하여 2․8독립선언을 촉발케 하였다.
[우리문화신문= 이윤옥기자 ] “너를 계속 지켜보고 있었어. 꼭 젊은 시절 나를 보는 것 같아서...그래서 오늘 너에게 더 엄하게 한 거야. 유관순, 우리나라는 불 꺼진 등과 같단다. 이제 네가 조선을 밝히는 등불이 되어 주지 않겠니?” 이는 《김란사, 왕의 비밀문서를 전하라》(초록개구리, 황동진 글·그림, 2019)에 나오는 구절이다. 황동진 작가는 서울교육박물관 학예연구실장으로 있으면서 여성독립운동가 김란사 지사를 다룬 책 《김란사, 왕의 비밀문서를 전하라》 를 쓰고 그림도 손수 그려 출간하자마자 큰 호평을 받은 바 있다. 유관순 열사의 스승인 김란사 지사는 제자 만큼 그 이름이 알려지지 않았지만 당시 미국 유학을 마친 엘리트로 조국에 돌아와 이화학당 교사를 시작으로 조국 독립의 큰 뜻을 착착 이뤄가던 독립투사였으나 1919년 일제의 음모로 북경에서 안타까운 삶을 마감하게 된다. 황동진 작가는 글솜씨도 탁월할 뿐 아니라 글에 맞는 그림도 손수 그려 이 작품을 읽는 어린이 당시 상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 이번에 작품을 위해 그렸던 원화(原畫)들을 서울교육박물관 북촌전시실에서 7월15일부터 7월30일까지 전시 중이다. 전시장을 찾은 김란사 지사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강원도 홍천 수타사(壽陁寺)로 이르는 길목에는 제법 굵은 소나무들이 나란히 숲을 이루고 있다. 이 숲으로 들어선 사람은 이내 몇 발자국 안 가서 <역사의 상처를 안고 자라는 소나무>라는 안내판과 마주친다. 홍천군에서 만든 안내판에는 “일제강점기 말 자원이 부족한 일본은 송탄유(松炭油)를 연료로 사용하기 위해 한국인을 강제 동원하여 송진을 채취하고 남은 모양이 V자로 깊게 파인 당시의 상처는 지금까지 아물지 않은 수탈의 흔적”이라고 쓰여 있다. 순간 움푹 팬 소나무 상흔이 가엾은 생각마저 든다. 여기서 말하는 송탄유(松炭油)란 송유(松油) 또는 송근유(松根油)라고도 하는데 일본에서는 쇼콘유(松根油)라고 한다. 전쟁의 광풍 속에서 일제는 1940년대 말 극심한 석유 부족 사태를 만나게 되는데 이때 석유 대용품으로 쓰고자 고안한 것이 송진에서 추출한 송탄유다. 송탄유는 비누나 도료 등 생필품 원료는 물론, 군용기 기름으로도 유용한 전쟁 물자였다. 따라서 조선총독부는 지역별로 할당량을 정해주고 조선인들을 송진 채취에 동원했다. 홍천 수타사의 소나무도 이때 칼질을 당했다. 해인사, 안면도 등등에도 현재 홍천 수타사와 같은 ‘송진
[우리문화신문= 이윤옥 기자] 원추리 심은 북당의 따스한 봄볕이 그리워라 / 北堂萱草媚春暉 이는 가정(稼亭) 이곡(李穀, 1298~1351)의 문집인 《가정집》 제15권, ‘봄날에 느낀 바가 있어서’ 3절에 나오는 시다. 이곡 선생이 고려때 인물이고 보면 그 옛날부터 원추리는 곁에 두고 보던 꽃인가 보다. 특히 “원추리 심은 북당의 따스한 봄볕이 그리워라”라는 것은 시골에 계신 어머니를 어서 빨리 뵙고 싶다는 말로 북당(北堂)은 어머니가 기거하는 곳이란 뜻이다. 《시경》 〈위풍(衛風) 백혜(伯兮)〉에 보면 “어떡하면 원추리를 얻어서 북쪽 뒤꼍에 심어 볼까. 떠난 사람 생각에 내 마음만 병드누나.〔焉得萱草 言樹之背 願言思伯 使我心痗〕”라는 구절이 나온다. 여기서 훤초(萱草)가 곧 원추리다. 당태종 이세민도 자기 어머니가 계시던 뜰에 훤초를 가득심었다고 해서 어머니를 훤당(萱堂)이라고도 하는데 이 훤초가 원초, 원추리가 되었다는 설이 있다. 원추리는 우리말로 ‘넘나물’이라고도 한다. 실제로 원추리의 순은 꽃대가 올라오기 전에 잎을 데쳐서 무쳐먹기도 한다. 원추리는 예로부터 여인들이 가까이두면 아들을 낳는다는 속설이 있어서 득남초(得男草), 의남초(宜男草)라 부르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일본 열도에 집중호우가 내려 전국이 물난리로 야단이다. 큐슈 일대 일본 남부지방을 강타한 집중호우로 사망자는 ‘구마가와’마을(球磨村)의 노인요양원인 천수원(千寿園)에서 숨진 14명을 포함하여 ‘히도요시’시(人吉市) 17명 등 모두 49명이다. (7월 6일 밤 11시 현재) 이곳은 산사태 등으로 연락이 끊기거나 도로 등의 파손으로 피해 상황이 제대로 파악되지 않고 있는 가운데 약 2,600세대 정도가 고립상태에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번 집중호우로 122만 명이 시 당국으로부터 피난 지시를 받은 상태다. 아사히신문이 7일 아침, 헬기로 피해지역을 돌아본 영상에 따르면 후쿠오카 최남단 ‘오오무타’시(大牟田市)의 경우 도시 전체가 물바다로 지붕만 빼꼼히 드러나는 건물이 많았다. 물에 잠긴 주택은 물론이고 세워둔 자동차도 둥둥 떠다니는가 하면 사람들은 구명보트를 타고 안전지대로 피난하고 있는 모습 등으로 부산해 보였다. 그런가 하면 ‘구마모토’현(熊本県)은 구마가와강(球磨川)이 범람하여 큰 피해를 보았다. 구마가와강(球磨川)의 범람 문제로 구마모토일일신문(熊本日日新聞)에서는 가바시마이 이쿠오(蒲島 郁夫) 현지사(県知事)에게 댐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