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원장 임종덕)은 국민과 함께 광복 80돌의 의미를 되새기기 위해 ‘광복 80년과 문화유산, 그 빛나는 여정’을 주제로, 9월 10일(수)부터 2주 동안 고고ㆍ건축ㆍ미술ㆍ보존과학 분야에서 학술대회, 전시 및 체험, 시민강좌 등 다채로운 행사 7건을 연다. 먼저 학술행사로는, ▲ 선사유적부터 고구려ㆍ낙랑ㆍ백제ㆍ신라ㆍ가야유적 조사 현황을 살펴보고 고고학적 의미를 재조명하는 「일제강점기 한국 주요유적 발굴조사」 학술대회(9.11.(목), 국립고궁박물관 강당)와 ▲ 궁궐ㆍ관아ㆍ주거ㆍ고대건축ㆍ근대건축ㆍ역사문화경관ㆍ건축기술 등 7개의 주제와 토론을 통해 건축사학적 관점에서 광복 이후 건축유산 보존사의 흐름을 정리해보는 「광복 이후 한국 건축유산 보존의 흐름과 과제」(9.23.(화), 국립고궁박물관 강당 / (사)한국건축역사학회 공동개최) 학술대회가 진행된다. 특별 전시와 체험 행사도 진행된다. 9월 16일(화)부터 9월 21일(일)까지 덕수궁 덕홍전(서울 중구)에서는 ▲「광복군가집」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건국강령 초안」 등 독립운동 관련 근현대 문화유산의 보존처리 과정을 영상과 사진 등을 통해 상세히 전시하며, ▲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 국립해양유산연구소(소장 이은석)는 오는 9월 27일부터 30일까지 일반 국민이 수중유산 조사를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는 「고려난파선 수중발굴 캠프」를 운영한다. 지금까지는 수중발굴 전문가들만 경험해 볼 수 있었던 신비롭고도 역사적인 바다가 이제는 국민에게 활짝 열린다. 「고려난파선 수중발굴 캠프」는 국립해양유산연구소에서 처음으로 시도하는 바닷속 수중발굴 체험 프로그램으로, 고려·조선시대의 난파선 네 척이 잇따라 발견되어 ‘수중유산의 보고(寶庫)’라 불리는 태안 마도해역에 조성된 체험장에서 진행된다. 체험장에는 고려청자 운반선 ‘온누비호(19*6m, 재현선)’와 2천여 점의 청자, 각종 곡물, 공예품 등을 침몰 당시의 모습으로 재현해 놓아 생생한 현장감을 더할 예정이다. 캠프 참가자는 스쿠버다이빙을 10회 이상 경험해 본 국민을 대상으로 하며, 참가 희망자는 9월 2일 아침 10시부터 11일 저녁 6시까지 네이버 폼(https://naver.me/Fc5u8JJO)에 접속하거나, 홍보물 속 정보 무늬(QR코드)를 촬영해 신청할 수 있으며, 뽑는 인원은 모두 32명(하루 8명씩, 4일간)이다. 참가비는 2만 원이며, 선발자(
[우리문화신문=정석현 기자] 국립국악원(원장직무대리 강대금)은 2025 국악아카이브 학술세미나를 연다. <문화예술과 인공지능>이라는 주제로 오는 9월 12일(금) 낮 1시 30분, 국립국악원 예인마루 1층 세미나실에서 열린다. 국악아카이브 학술세미나는 국립국악원 주최로 2007년부터 공연예술 아카이브의 역할, 저작권의 쟁점, 소장자료 연구 등 다양한 주제로 진행되었다. 올해는 열 번째 세미나로 주제발표인 1부에서는 국가정책에 맞춘 문화예술 분야 인공지능(AI) 활용 사례를 공유하고, 인공지능 산출물에 대한 저작권 관련 쟁점을 검토한다. 발표에는 여운승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박진호 고려대학교 연구교수, 양효걸 DOST11 대표, 이철남 충남대학교 교수가 함께할 예정이다. 2부는 자유토론으로 발표자들과 함께 문화예술 현장과 인공지능에 대한 다양한 주제에 대해 논의하고, 미래를 대비하려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국립국악원 아카이브 담당자는 “이번 세미나를 통해 문화예술과 인공지능의 미래를 고민하는 자리가 될 것으로 기대하며, 국악아카이브도 세미나에서 논의된 내용을 반영하고자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이번 학술세미나는 누구나 참가할 수 있으며, 참가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