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 서울시 중구 남산골한옥마을(중구 퇴계로34길 28)에서 오는 10월5일(일)부터 10일(금)까지, 한가위 연휴를 맞아 전통놀이와 공연, 공예체험이 어우러진 2025 남산골 한가위 잔치 <한가위 놀이터>, <지구촌판소리페스티벌>, <이북5도 무형유산 대축제>가 열린다. □ 10월 5일(일)~7일(화) 낮 11시부터 저녁 5시까지 열리는 명절축제 <한가위 놀이터>는 한가위의 전통적 의미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남산골한옥마을의 대표 가을 잔치로, 놀이ㆍ공연ㆍ공예 체험이 어우러진 사흘 동안의 한마당이다. 이번 <한가위 놀이터>는 온 가족이 함께 즐기는 전통 놀이 ‘놀이체전’, 다양한 전통 공연이 준비된 ‘공연체전’, 남산골한옥마을의 대표 체험 프로그램으로 구성된 ‘체험체전’을 통해 시민과 관광객들에게 색다른 한가위 경험을 선사한다. □ ‘놀이체전’은 천우각 마당을 중심으로 청팀과 백팀으로 나뉘어 진행된다. △전통 5종 놀이체험, <추석놀이터>의 정점 △박터뜨리기, 한가위 맞이 △퀴즈체전 등이 진행된다. 이승업가옥에서는 가족과 특별한 사진을 남길 수 있는 △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 경복궁관리소(소장 길태현)는 오는 10월 15일부터 10월 31일까지 매주 수~금요일 경복궁(서울 종로구)에서 평소 내부 관람이 제한된 건청궁과 향원정을 특별 관람할 수 있는 프로그램 「조선의 빛과 그림자: 건청궁과 향원정에서의 특별한 산책」을 운영한다. * 관람 시간: 10시, 14시(1일 2회 운영, 약 60분 내외) ‘건청궁’은 고종과 명성황후가 머물던 생활공간으로, 임금의 공간인 ‘장안당’과 왕비의 공간인 ‘곤녕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왕실의 주요 생활상을 확인할 수 있는 현장일 뿐만 아니라, 명성황후가 시해된 안타까운 장소며, 우리나라에서 처음 전등이 밝혀진 전기의 발상지라는 점에서도 역사적 의미가 크다. 국가유산 보물로 지정된 ‘향원정’은 ‘향기가 멀리 퍼진다’는 뜻을 지닌 육각형의 정자로, 건청궁 앞 연못(향원지) 가운데 세워져 임금과 그 가족들이 휴식을 취하던 경복궁의 대표 후원 공간이다. 평소 문화유산의 보존관리를 위해 건청궁과 향원정의 내부 관람이 제한되었으나, 이번 특별관람 프로그램에서는 국가유산 해설사의 전문적인 해설과 함께, 쉽게 볼 수 없는 건청궁과 향원정의 내부 전각을 둘러보며 조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본부장 이재필)는 국가유산진흥원(원장 이귀영)과 함께 오는 10월 17일 저녁 7시 30분 선릉ㆍ정릉(서울 강남구)에서의 개막제를 시작으로, 10월 18일부터 26일까지 조선왕릉 9곳(선릉ㆍ정릉, 태릉ㆍ강릉, 의릉, 동구릉, 홍릉ㆍ유릉, 서오릉, 융릉ㆍ건릉, 김포장릉, 영릉ㆍ영릉)에서 「2025년 세계유산 조선왕릉축전」을 연다. * 10.20.(월)은 휴릉일로, 조선왕릉축전 미운영 올해로 6회째를 맞는 「세계유산 조선왕릉축전」(이하 ‘축전’)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오른 조선왕릉을 널리 알리기 위해 기획된 왕릉 활용 행사다. 올해는 ‘조선왕릉, 500년의 영화(榮華:映畫)를 보다’를 주제로, 공연ㆍ답사(투어)ㆍ전시ㆍ체험 프로그램을 새롭게 선보인다. ▲ 공연 프로그램으로는 조선의 성군, 성종이 꿈꾸었던 미래와 현대를 다룬 역사 음악극 ‘성종, 빛을 심다’(10.18.~10.19. 19:30 / 선릉·정릉)가 펼쳐진다. 빛과 소리, 전통과 현재의 조화를 다루어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할 예정이다. 공연은 사전 예약과 현장접수로 진행되며, 참가비는 없다. 조선시대에 임금이 왕릉에 행차하는 능행(陵幸)의 역사성을 전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