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오는 11월 8일 저녁 4시 인천 계양구 계양산로 35번길 11. 계양문화회관 대공연장에서는 인천남사당놀리보존회 주최ㆍ주관, 인천광역시ㆍ인천문화재단ㆍ경인일보 후원으로 남사당놀이의 맥 지운하 명인의 <구름에 달 가듯 유랑인생 70년 지운하> 공연이 펼쳐진다. 올해로 예인의 삶 70돌을 맞은 지운하 명인은 전통연희 남사당놀이의 꼭두쇠로 평생을 예인의 길을 걸어왔다. 이번 공연은 4장으로 펼쳐진다. 제1장 <예인의 꿈>에서는 먼저 판열음 문굿과 남기문 명인의 축원덕담 비나리로 문을 연다. 그리고 최병진ㆍ한건ㆍ이규석의 ‘회상’이 공연된다. 이어서 제2장 <유랑의 길>에서는 지운하ㆍ진명환ㆍ남기문 명인의 이야기 무대가 펼쳐지고, 최경만 명인의 ‘피리 독주’, 박규희 명인의 ‘어디로 갈거나’, 김철수 명인의 ‘거문고 산조춤’가 무대에 오른다. 또 제3장 <남사당 꼭두쇠>에서는 ‘남사당 인연’ 그리고 김영임 명창의 소리판‘이 열린다. 마지막 제4장 <인연의 판굿>에서는 먼저 판굿 출연진의 풍물판굿과 지운하 명인과 제자들의 ’지운하류 쇠놀이‘가 펼쳐지는데 버나ㆍ살판ㆍ무동놀이ㆍ공
[우리문화신문=정석현 기자] 오는 11월 8일 낮 3시 서울 구로구 경인로20가길 38. ‘오류아트홀’에서는 아트밸리 가노예술단의 마당극 <우리를 살게 한 소리, 가노>가 열린다. 이 공연은 문화체육관광부와 예술경영지원센터 후원이다. 300년 전통 가노농악을 지켜낸 송경남 어르신의 감동적인 실화를 바탕으로 한 창작 마당극이다. 전쟁으로 잿더미가 된 포천 마을에서 “이 난리통에 무슨 풍악질이냐”는 차가운 시선을 받으면서도 가노농악으로 희망을 전하던 송경남. 가족을 위해 채석장에서 “거대한 돌산을 부수며" 구슬땀을 흘리면서도 꿈을 포기하지 않았고, 새마을 농민대회에서 우승하며 전통의 가치를 인정받은 후 마침내 88올림픽 축하공연 무대에 서기까지의 감동적인 여정을 그린다. 마지막 장면에서는 "죽어도 한번 잘 살아보라고" 외치는 가노농악의 힘찬 울림과 함께 우리 모두의 이야기로 다가온다. 포천 근현대사 70년과 함께해 온 가노농악의 이야기를 통해 꺾이지 않는 희망과 전통문화 전승의 소중함을 느낄 수 있는 특별한 공연이다. 6·25 이후부터 88올림픽까지 30년 동안 포천 근현대사와 함께한 300년 전통 가노농악의 여정을 통해 변하지 않는 것을 지키는 값어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40년 전 필름에서 되살린 이미지를 보다 보면 그때는 너무나 흔했던 풍경들이 돌이켜보면 지금은 되살릴수 없는 순간들이었음을 느끼게 한다. 한 장의 사진이 주는 시대의 풍경은 그런 뜻에서 매력을 넘어 그 시대를 재해석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카메라 셔터를 누른 작가나 그 작품을 감상하는 사람 모두에게 '진부함이 아니라 신선함' 으로 다가온다. 이번에 인천관동갤러리에서 10월 31일부터 전시하는 사진가 류은규 씨의 <[장날-소래와 담양> 전은 그가 40년 전에 찍은 필름을 스캔, 보정 작업을 통해 되살린 이미지를 정리한 것이다. 그 당시엔 너무나 흔했던 풍경인데, 이제 찾을 수 없는 순간들이 포착되어 있다. 눈부신 경제성장으로 인해 한국 사회가 급속히 달라진 시기가 바로 86년, 88년 때였다. 모두가 새로운 것을 구하느라 열심이었고, 낡은 것을 가지고 있으면 마치 죄가 될까 봐 버리기에 바빴고, 짧은 시간 내에 우리 생활이 너무나 많이 변해버렸다. 사진은 기억을 기록하는 도구인데, 필름이나 데이터를 버리거나 지워버리면 그 기록은 영원히 찾아낼 수 없게 된다. 오래된 필름을 습기나 먼지를 피해 잘 보관하고, 때가 되면 되살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