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선흥 작가] 1898년 11월 5일부터 12월 23일까지 근 50일 동안 사람들은 거리로 나와 시위했다. 더러는 밤샘 시위를 했는데 이를 ‘풍찬노숙(風餐露宿)’이라 불렀다. 찬 바람 맞으며 언 밥 먹고 한 데서 자는 것이다. 그들은 무언가를 뜨겁게 외친다. 임시장터를 열고 장국밥을 제공한다. 자치경찰격인 ‘규찰대’를 조직하여 불순분자들을 단속하고 질서를 유지한다. 땔나무꾼은 지게로 나무를 실어온다. 그 나무는 밤샘 시위자들의 장작불이 될 것이다. 콩나물 파는 할머니뿐 아니라 순검(巡檢)들도 푼돈을 털어 시위 군중을 응원한다. 부인들은 부인회를 학생들은 학생회를 만들어 활동한다. 아이들의 활약이 눈부시고 눈물겹다. 남대문 밖 이문골애 사는 김광태를 비롯한 아이들은 ‘자동의사회(子童義士會)를 만들어 거리에서 외치고 연단에 올라가 꼬막 같은 주먹을 흔들며 연설하기도 한다. 열 살도 못 된 아이들이다. 그들은 왜 그렇게 목놓아 외치는가? 왜 장작불을 지피며 거리에서 밤을 새는가? 묻지 말자. 오늘 우리가 그렇게 하고 있지 않는가. 단지 장작불이 촛불로 촛불이 빛의 응원봉으로 바뀌었을 뿐이다. 또 하나 다른 것이 있는 듯하다. 그때는 총칼로 해산당했고
[우리문화신문=김선흥 작가] 50여 년 전의 책이 지금까지 집에 남아 있는 경우는 거의 없다. 평생 떠돌이 생활을 했는데 이사 다닐 때마다 책이 무더기로 버려진다. 반백 년이 지난 책으로 지금껏 남아 있는 것은 기껏 두엇에 불과하다. 그 가운데 하나가 오지영의《동학사》. 1973년 출판본이 주인을 몇 번 바꾸어 내게 온 것은 그 이듬해 봄이었다. 이 책은 원래 일제강점기 말인 1940년에 출판되었다고 한다. ‘왜(倭)’를 일부러 ‘복(伏)’이라 적고 있는데 일제의 검열을 의식한 것이라고 했다.(이 책의 411쪽) 이 책을 대학 2학년 어느 봄날 읽다가 좀 기이한 체험을 하게 되었다. 말로 표현할 수는 없지만, 애써 비유를 해 본다면, 나를 칭칭 얽매고 있던 촘촘한 올가미가 한순간 썩은 동아줄처럼 허물어 내리고 정신과 몸이 공중 부양하는 듯하였다. 오랫동안 유폐되었던 깜깜한 동굴에서 뛰쳐나온 듯도 하였다. 와룡생의 무협지를 처음 읽었을 때도 그랬던가? 그런 정도의 수준이 아니었을지. 무협지는 버렸지만 《동학사》는 아직 못 버리고 있다. 그런데 이상한 일이 있다. 어쩌다 한 번씩 이 책을 들춰보는데 첫눈을 맞추었던 스물두 살 때의 감동이 전혀 오지 않는 것이다.
[우리문화신문=김선흥 작가] 저번에 펄 벅 여사의 《살아 있는 갈대(Living Reed)》에 나오는 주인공 일한의 아버지를 얼핏 엿 보았다. 펄 벅은 제 나라 전통을 사랑하고 긍지를 깊히 품고 사는, 완고해 보이는 조선 선비를 잘 그려내고 있다. 조금 더 그 선비를 구경해 보기로 하자. 일한의 집안은 안동김씨 명문가다. 중전마마는 일한을 가끔 불러 대화를 나눈다. 일한과 중전은 이성으로서 끌림을 느끼고 있는지도 모른다. 일한은 중전이 부르지 않아도 중전을 찾아간다. 일한의 아내는 질투에 시달리기도 한다. 어느 맑은 날 일한이 중전을 만나고 나오자, 대궐 문에서 아버지가 아들을 기다리고 있다. 일한은 대궐에서 가까운 성안에서 살고, 부친은 대대로 살아온 성 밖의 시골집에서 살고 있다. 아버지는 가정사에 무심하지만 그렇다고 여색이나 도박에 빠지는 일은 없다. 그러나 친구 없이는 못 산다. 아버지 집에 친구들이 모이면 으레 같은 이야기를 나누지만 항상 처음 하는 이야기인 양 흐뭇해한다. 그들은 “옛날의 영광을 회상하거나 조국의 영웅에 관한 일화를 이야기하거나, 일본의 불교가 조선을 통해서 건너가 개화했다는 것을 논하거나, 일본의 여러 가지 기념비적인 예술품과 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