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순흥 교수] <국가>라는 이름으로 만들어진. <비상계엄>이라는 어처구니없는 폭력이 해를 넘겨 넉 달을 지나 겨우 헌법재판소의 심판을 받았다. 이승만, 박정희, 전두환 등의 <비상계엄>뿐만 아니라 그동안, 이 땅에서 일어났던 수많은 <국가폭력>이 제대로 단죄받거나 역사적으로 정리되지 못한 까닭에 아직도 이 땅을 어지럽게 하고 있다. <12.3 비상계엄>이라는 어처구니없는 국가폭력에 수많은 시민이 거리에 나섰다. 그중에도 ‘응원봉’을 들고 나온 젊은 세대, 특히 10~30대 소녀들. 기성세대들이 걱정을 많이 하던 <젊은 세대>들이 광장을 차지했다. 영하 수십 도의 강추위에서도 <키세스 탄핵>이라는 문화를 만들어 낼 정도로 이들을 저항에 앞장서게 한 힘은 무엇인가? 1,300만의 관객을 모았던 <서울의 봄>을 통해 글로만 읽고, 말로만 듣던 비상계엄과 쿠데타, 군사독재라는 국가폭력을 비록 영화지만 ‘눈으로 보았고’ 노벨상을 받은 한강 작가의 《소년이 온다》를 통해 국가폭력의 무서움에 ‘가슴으로 공감’을 했기 때문이다. 영화와 소설이라는 <예술 작품>을
[우리문화신문=김순흥 교수] 남북분단으로 섬처럼 고립되어 육지이면서도 비행기나 배가 아니면 나라 밖으로 나갈 수 없는 현실. 하늘길이나 바닷길이 아닌 땅길로 시베리아를 지나, 유럽으로, 아프리카 땅끝까지 가보고 싶은 마음을 담은 노래 김순흥 작사, 주하주 작곡 <땅으로 가자>를 소개한다. 땅으로 가자 놀~부 김순흥 우리가 섬이냐 땅으로 가자 헤엄치지 말고 걸어서 가자 배타지 말고 버스로 가자 비행기 말고 기차로 가자 오늘 못 가면 내일 가자 이달에 못 가면 다음 달에 가자 올해 못 가면 내년에 다시 가자 하지만 끝까지 가자 서두르지 말고 가자 싸목싸목 가자 우리가 섬이냐 땅으로 가자 평양을 거쳐 가자 두만강을 건너가자 시베리아를 질러가자 땅으로 가자 베를린을 가보자 암스테르담도 가보자 안달루치아를 지나 땅끝 희망봉까지 땅으로 가보자 ▲ 김순흥 작사, 주하주 작곡 <땅으로가자> - 아쿠스틱 버전
[우리문화신문=김순흥 교수] <의병 연구가 김남철 선생>이 힘들여 쓴 《남도 한말의병의 기억을 걷다》가 2024년 <세종우수도서>에 뽑혔습니다. 작금의 국가변란 시국에, 혹한에도 불구하고 응원봉을 들고 나와 길에서 밤을 새우는 20, 30대 소녀 의병들을 보면서, 새삼 우리의 의병 핏줄을 뼛속 깊이 느낍니다. 오늘의 젊은 의병들의 기록도 글로, 사진으로 남아 후세에 전해질 것입니다. (글쓴이) 우리가 5천 년의 역사를 이어온 데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 세계사에서 어느 민족도, 어느 나라도 이만큼 긴 세월을 동질성을 지키면서 꿋꿋이 버텨온 사례가 없다. 그 밑바닥에는 저항의 역사와 함께 기록이 있다. 끊임없이 저항하고 이를 모두 기록하면서 반성했기 때문에 드물게 5천 년을 이어오는 민족이 될 수 있었다. 사람이 동물과 다른 것은 시간과 공간을 넘어 소통할 수 있는 언어라는 수단(문화)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낯선 사람이 마을에 들어오면 온 동네 개들이 떼창으로 짖어댈 수는 있지만, 우리 마을에 무슨 일이 있는지 다른 마을에 알릴 수 없고, 어제 우리 마을에 낯선 사람이 왔었다고 전할 수도 없다. 기록은 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