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더워도 너무 덥다. 여름은 원래 더운 것이지만, 지구온난화인가 뭔가로 더위도 추위도 극심할뿐더러 비가 내리면 물폭탄 수준이다. 올 여름들어 한낮의 수은주는 낮과밤 가리지 않고 섭씨 40도에 육박하는 날이 연일 계속되고 있다. 들리는 말에 따르면 우리나라가 동남아보다 더 덥다고들 한다. 시원한 곳이라고 하면 에어컨이 빵빵 돌아가는 집이나 사무실이 최고겠지만, 옛 선조들은 전기도 없던 시절에 여름을 어떻게 견뎠을까 싶다. 이열치열(以熱治熱)이란 말은 말 그대로 열로써 열을 다스린다는 말이다. 이무성 화백의 위 그림을 감상해보자. 한무리의 사람들이 물가에 솥을 걸고 불을 때고 있다. 솥에 불이 꺼지지 않도록 장작을 나르는 사람도 있다. 이 사람들은 왜 이 무더위에 가마솥에 불을 때는 것일까? 고것이 바로 이열치열과 관계가 있는 것이다. 더울지라도 한솥 가득 물고기를 잡아 매운탕을 끓여 먹는다면 구슬땀을 흘리는 가운데서도 무더위쯤 날려보낼 수 있다고 옛 사람들은 믿었던 것이다. 이런 것을 천엽(철렵)이라고 들었다. 천렵(川獵)이란 내 천(川)자와 사냥할 엽(獵)자를 쓰는 낱말로, 물가에서 사냥한다는 뜻이다. '물가에서 물고기를 잡아 매운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피 맛 골 꼴보기 싫은 벼슬아치가 탄 말을 피하고자 생긴 거리 피맛골 그 거리에 발길을 하지 않으면 더러운 꼴 안보련만 국밥집, 선술집이 손짓하는 그곳을 차마 등지지는 못했으리 바야흐로 선거의 계절 백성을 위해 무슨 정책을 펴나 틀어보는 방송에서는 하루가 멀다하고 후보가 뒤바뀌는 전대미문의 해프닝이 벌어지는 요즘 피맛골 처럼 피(避) 방송 하고프다만 피하기만 해서 될일이 아닌고로 오늘도 더듬이 세우고 향(向) 방송 하는 백성들 나도 그 중 한사람. ▶ 피맛길(避馬길)은 조선 시대의 한성의 길로써 지금의 종로1가에서 종로6가까지 이어지는 비좁은 골목길이다. 조선시대 백성이 종로를 지나는 높은 벼슬아치들의 말을 피해 다니던 뒷골목인데, 당시에는 신분이 낮은 사람들은 말을 탄 고관대작을 만나면 행차가 끝날 때까지 엎드려 있어야 했다. 그때문에 갈길 급한 서민들이 번거로움을 피하려고 다니던 좁은 길인데 말을 피한다는 ‘피마(避馬)’에서 유래해 이름이 붙었다. 대한제국 말기와 일제강점기 동안 탑골공원, 화신백화점 등이 개발되면서 피맛길은 부분적으로 끊어졌으며, 1970년대 초 서울 지하철 1호선을 건설할 때 남쪽 피맛길이 사라졌다. 청진동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징분질욕(懲忿窒慾)' 강희맹, 강희안 아버지 강석덕 그의 평생 좌우명은 분을 삭이고 사욕을 억제한다는 '징분질욕(懲忿窒慾)'이었다지 사욕이 독버섯처럼 피어오르는 세상속에서 외롭게 홀로 흔들림없이 살다가 이승을 하직하는 길목에서 아들들에게 나지막히 건넨 말 큰명예는 없었지만 부끄럼없는 삶을 살았노라'던 강석덕의 굳은 신념 비바람 몰아치는 세찬 추위 속에서도 향기를 팔지 않는 매화처럼 고고하고 정갈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