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 금나래 기자] 국립중앙도서관(관장 서혜란)은 12월 17일(목) 「동아시아 디지털도서관(East Asia Digital Library, EADL)」누리집(https://eadl.asia) 시범서비스를 시작한다. 「동아시아 디지털도서관」은 동아시아의 지식문화유산을 큐레이션하여 누구나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아카이브로서, 국립중앙도서관이 운영을 맡고 동아시아 관련 자원을 보유한 기관들이 참여하는 국제협력형 디지털도서관이다. 첫 참여기관은 일본 국립국회도서관으로, 양 기관은 지난 3월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동아시아 디지털도서관」을 통해 각 기관의 디지털화 자원을 공유하기 위해 협력해 왔다. 이번에 시범서비스로 공개되는 「동아시아 디지털도서관」에서는 우선 국립중앙도서관과 일본 국립국회도서관이 소장한 고문헌 총 8,110종의 원문과 서지데이터를 제공한다. 여기에는 한국의 고려 및 조선 시대 자료와 일본의 무로마치 및 에도시대 자료들이 포함된다. 특히, 구조화된 데이터셋을 생성할 수 있는 연결형 데이터(Linked Data)로도 제공하여 활용성을 높였다. 국립중앙도서관 서혜란 관장은 “동아시아 디지털도서관은 한국과 일본의 자료로 서비스를
[우리문화신문=윤지영 기자] 토마스 안커 크리스텐센(Tomas Anker Christensen) 덴마크 기후 대사는 “한국은 몇 년 안에 아시아 시장을 선도하는 녹색에너지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는 결정적인 기로에 있다.”라고 밝혔다. 크리스텐센 대사는 12월 14일(월) 정부 대표 다국어포털 ‘코리아넷*(www.korea.net)’에 게재된 서면 인터뷰를 통해 “한국은 ‘그린뉴딜’, ‘탄소중립 선언’으로 정치적인 용기를 냈다.”라며 위와 같이 말했다. *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양우, 이하 문체부) 해외문화홍보원(원장 박정렬)이 운영하는 정부 대표 해외홍보 매체. 9개 언어(영어, 중국어, 일본어, 스페인어, 아랍어, 불어, 독어, 러시아어, 베트남어)로 한국 관련 뉴스 등을 제공해 전 세계에 한국을 알리고 있다. 크리스텐센 대사는 “덴마크도 과거에 화석 연료에 의존하다 한국의 ‘그린뉴딜’과 유사한 ‘녹색에너지’ 정책을 채택하고 풍력 분야의 선도국이 되기로 했다.”라며 “풍력 중심 에너지 정책을 세운 뒤 재생에너지와 조선 업계 간 이해 충돌 과정을 겪었지만 재생에너지에서 많은 일자리와 경제 효과를 창출했다.”라고 소개했다. 아울러 한국 정부가 역점을 두고 추진
[우리문화신문=이나미 기자] 고치현 한국사무소는 밤하늘의 별을 볼 수 있는 아시즈리 곶을 소개한다고 16일 밝혔다. 시코쿠 최남단에 있는 ‘아시즈리 곶’은 태평양에서 솟아오른 듯한 모양의 아시즈리 반도 끝자락에 위치해 있다. 아시즈리 곶은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가로등과 같은 빛이 드물어 사계절 내내 별을 볼 수 있는 최적의 장소다. 특히 겨울에는 공기가 맑아 별이 쏟아지는 듯한 느낌을 받을 수 있으며, 운이 좋으면 은하수를 볼 가능성도 높다. 전망대 관람은 무료지만, 개인으로 가기보다는 관광 프로그램으로 해설을 진행하고 있는 아시즈리 국제호텔 및 아시즈리 퍼시픽호텔에 숙박 후 투어에 참가하는 것을 권장한다. 참여는 각 시설 프론트에 문의 뒤 안내 받을 수 있다. 밤에는 별천지인 하늘을 만끽할 수 있고, 낮에는 아시즈리의 청록색 바다 끝에 위치한 수평선 또한 감상할 수 있어 지구의 둥근 모습을 눈으로 볼 수 있는 관광지로 사랑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