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 교수] 지난주에는 <현악(絃樂)영산회상>이야기를 하였다. 거문고, 가야금, 양금이 중심을 이루며 아명(雅名)은 <중광지곡(重光之曲>이고, 이를 민간 음악계에서는 줄(絃)악기 중심이란 뜻에서 <줄풍류>로 부른다는 점, 영산회상과 줄풍류는 가락이나, 장단, 표현법 등에 차이를 보이고 있어 분위기가 다르다는 점, 영산회상은 원래 상령산이었다는 점, 조선 후기로 내려오면서 중령산 이하의 9곡의 모음곡으로 확대 발전되어 왔다는 점을 이야기 하였다. 현악영산회상이 되었든, 민간의 줄풍류가 되었든 영산회상은 전문가 뿐 아니라, 글공부하는 선비나 고관대작, 지체가 높은 양반들이 교양과 취미로 즐겨 왔던 음악이다. 이번주에는 현악영산회상과 대비를 이루는 <관악영산회상>에 관한 이야기를 해 보기로 한다. 관악이란 관악기(管樂器), 곧 입으로 불어서 소리를 내는 악기들의 합주를 뜻한다. 원래 <관(管)>이란 대나무와 같이 속이 비어 있으면서 동그란 형태여서 이것을 입으로 불어 소리내는 악기의 총칭이란 의미이다. 대표적인 악기들로는 대금이나 피리, 소금, 단소, 퉁소와 같은 악기들인데, 관악영산회상은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 지난 주에 영산회상(靈山會相)이란 말은 넓은 의미로 석가의 교설(敎說)이지만,『악학궤범(樂學軌範)』이나『대악후보(大樂後譜)』등에는 음악의 악곡 이름으로도 나타나고 있다는 점, 조선조 후기에는 점차 세속화되면서 가사를 잃고, 기악곡화 되어 현재는 9곡의 모음곡(組曲)이 되었다는 점, 현재는 국악연주회나 개인발표회에서 가장 빈번하게 또한 가장 널리 연주되고 있는 음악이라는 이야기를 하였다. 영산회상은 세 갈래의 음악으로 구분된다. 이 음악은 조선조 후기로 내려오면서 현악기 중심으로 연주되는 형태와, 관악기 중심으로 연주되는 형태, 그리고 관현악 편성으로 연주되는 형태가 있는 등, 악기 편성이 각각 다르게 연주되고 있는 음악으로 확대 발전되었다. 현악기가 중심을 이루는 악곡의 이름이 바로 <현악(絃樂)영산회상>이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관악기들이 중심이 되는 음악은 <관악(管樂)영산회상>이다. 또한 현악영산회상은 웃조로 되어 있는 음악인데, 이를 조금 낮추어 평조로 만들고, 관악기와 현악기들이 함께 연주할 수 있도록 만든 <평조(平調)회상>이 있다. 먼저, 현악영산회상에 관한 이야기부터 시작한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시조창은 <시절가>, <단가>, 또는 <시절 단가>라고도 했는데, 영조 때 이세춘이 처음으로 장단을 배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평시조라는 명칭에서 <평(平)>은 가곡 <평거(平擧)>와 같이 보통의 높이로, 중허리시조는 <중거(中擧)>와 같이 중간부분을 들어내는 곡조, 지름시조는 <두거(頭擧)>와 같이 머리 부분을 높이 내는 곡조, 사설시조는 농(弄)시조, 또는 엇시조로, <언롱(言弄)>의 형태와 유사하다는 이야기를 하였다. 『시조창보(時調唱譜)』를 펴낸 이양교(李良敎)는 김진홍(金眞紅), 장사훈, 김태영, 한창환 등을 통해 추교신, 임기준, 최상욱 등의 시조가락을 이어왔다는 점에서 전통성이 인정된다는 이야기도 하였다. 이번주에는 기악합주곡으로 널리 알려진 <영산회상(靈山會相)>과 관련된 이야기이다. <영산회상>은 넓은 의미로 석가의 교설(敎說)이다. 홍윤식은『한국불화의 연구』에서 이 말은 불교자체를 의미할 뿐 아니라, 불교의 상징적인 표상으로서의 뜻을 지닌 말이라고 했다. 의미를 좁혀 영축산에서 석가의 법화경(法華經)을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시조의 학습을 위해서는 쉬운 악보의 제작, 지도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이야기를 하였다. 내포제 시조의 확산을 위해서는 도내(道內)공직자들과 교사들을 동호인으로 안내해야 하며, 국내외 방문객들을 위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이야기, 그러면서 동 보존회는 이제까지 추진해 온 발표회, 경연대회, 강습회 등을 꾸준히 지속시켜 나가야 한다는 당부의 이야기도 하였다. 이번주에는 시조음악에 관한 일반 상식 몇 가지를 소개하고자 한다. 본래 시조, 또는 시조창은 <시절가>, <단가>, <시절단가>라는 명칭으로 불러온 노래였다. 시조는 조선조 영조 무렵, 신광수(申光洙)의 《석북집(石北集)》 관서악부에 보이는 시구(詩句, 곧 “ 일반 시조에 장단을 배열한 것은 장안에서 온 이세춘(李世春)으로부터 비롯한다”는 내용으로 알려져 있으나, 정작 그 악보는 순조 때, 서유구의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유예지(遊藝志)편에 전하는 시조 악보라는 점에서 200여년을 헤아린다. 이 악보를 해독하여 세상에 알린 장사훈 교수는 이 시조가 현행 경제(京制)의 평시조라는 점을 밝혔으며, 그 이후 평시조는 가곡의 다양한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시조창의 확산화 운동은 젊은 층, 그 가운데서도 초, 중등학교 학생들을 애호가층으로 확보해 나가야 한다는 이야기, 어린 학생들은 시조를 통해 느림의 철학을 배울 수 있다는 이야기, 그러기 위해서는 교재의 제작이 중요하다는 이야기, 현재의 시조창 교재들은 정간, 오선, 그림 악보 등 다양하나, 음높이와 박자, 노랫말 등의 구분이 불분명함으로 더욱 정확한 기보방법을 통해 악보의 체계를 갖추어야 한다는 이야기를 하였다. 학습자의 음악수준이나 단계별 난이도를 고려해서 새로운 시조창 악보를 제작하는 작업은 절대적으로 필요한 작업이 아닐 수 없다. 우선 대부분 애호가들은 악보를 익히는데 너무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점을 하소연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노랫말의 표기 위치와 음고(音高) 표시와 박자의 한배 표기가 불분명하여서 더욱 정확하고 분명한 기보체계를 마련해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그런 다음 표현방법으로 요성(搖聲), 곧 떠는 소리, 흘려내리는 퇴성(退聲), 밀어 올리는 추성(推聲) 등 다양한 표현법이 첨가되어야 한다. 악보의 제작은 신중하게 여러 가지 요건들을 고려해서 제작되어야 한다. 이 문제에 대한 구체적인 제안은 별도의 기회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내포제시조 보존회>가 70여 년 역사를 자랑하는 단체라는 점, 부여읍에 한옥 건물의 회관을 소유하고 있으며 내포제시조의 전승활동, 강습 및 발표회, 전국규모의 경창대회를 개최해 오고 있다는 점, 앞으로의 발전방향으로는 첫째, 내포제 시조의 문화재적 가치를 인식시켜서 지역민들에게 자긍심을 심어야 한다는 점 등을 이야기하였다. 보존회에 기대하는 발전방향의 제안은 하나둘이 아니다. 지역민들에게 시조의 값어치를 인식시켜 자긍심을 심는 일, 그다음 주문은 젊은이들을 애호가층으로 확보해 나가야 한다는 점이다. ‘시대가 변해서인가?’, ‘느린 형태의 노래를 꺼려서인가?’ 가곡이나 가사, 시조창과 같은 전통의 노래들은 재미없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특히 젊은 층이 그러해서 이들을 시조나 가곡의 애호가로 만들기는 매우 어려운 일이 되어 버렸다. 어린이들은 더욱 어렵다. 그래서 어린이들에게 시조를 지도하는 일은 정책적으로 접근해야만 가능할 정도이다. 누구는 “어린이들에게 빠르고 발랄한 노래를 지도해야지, 왜 노인층이 즐기는 가곡이나 시조를 지도해야 하는가?”라고 그럴듯한 항변을 내놓기도 한다. 어린이들에게 시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내포제시조 보존회> 발표회에서 부른 ‘사자강’과 사설시조, ‘부소산 저문 비’를 소개하였다. 시어(詩語)들의 해석과 함께 부소산 저문비의 부여 8경도 소개하였다. 부소산의 모우(暮雨), 낙화암의 영혼, 백마강에 잠긴 달, 고란사의 새벽 종소리, 수북정의 푸른 아지랑이, 규암진의 돛단배, 구룡포에 내려 앉는 기러기, 백제탑에 비추는 석조의 모습 등이란 이야기를 하였다. 내포제시조를 지켜 온 동 <보존회>는 70여 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단체다. 연혁을 보면 1954년 3월, <시우단체 총연합회 부여지부>로 창립을 하였으며 현재 충남 부여군 부여읍 관북리 128-1 소재의 시조회관을 소유하고 있다. 이 회관은 1970년에 건립, 2000년에 개축되었는데, 무대와 300여 명의 객석을 확보하고 있는 발표회장과 회의실, 연습실 등이 마련된 한옥 건물이다. 이 회관의 개축은 내포제시조 보존회원들과 부여 시우회원들, 애호가들, 그리고 충청남도와 부여군 등의 민(民), 관(官) 합작품이어서 그 의의가 더욱 크다. 이 전수관의 건립으로 말미암아 지방문화재로 지정된 내포제시조의 전승활동은 물론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내포제시조 보존회> 회원들의 정례발표회에서는 김윤희의 창이 돋보였다고 이야기하였다. 그는 초등학교 3학년 때부터 가야금 병창을 배우기 시작하면서 소동규의 시조창도 접할 수 있었고, <국악중고교>와 <한양대 국악과>에서 전문가 수업을 받았다는 이야기도 하였다. 현재는 고향(부여)에 살면서 <충남국악단> 단원으로 재직하며 내포제시조 이수자로 활동하고 있고, 원효대사가 백성들을 위해 노래로 부처님의 말씀을 전파하듯, 시조를 어렵게 생각하는 일반 대중에게 다가가 들려주고, 알려주고 있다고 이야기하였다. 특히 보존회의 발표 중, 부여지방과 관련이 깊은 시조창을 듣고 있으면 마치 역사의 흐름 한가운데 앉아 있다고 느끼게 한다. 그 대표적인 시조창이 평시조로 부르는 <사자강>과 사설시조로 부르는 <부소산 저문비>다. 이들 시조는 백제시대를 회고하는 내용이어서 더욱 이 지역의 시조인들에게 정겨운 대상이 되고 있다. 먼저 평시조로 부르는 <사자강>의 노랫말을 감상해 보도록 한다. (초장) 사자강 배를 타고, 고란사로 돌아드니 (중장) 낙화암에 두견 울고 반월성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지금 서한범의 우리음악 이야기는 내포제시조에 관한 이야기를 하고 있다. 경제와 견주는 창법으로 내포제는 세청을 쓰지 않는다는 점, 남창 가곡도 세청의 창법을 금하고 있는 점에서 보면, 내포제 시조가 가곡의 창법과 유사하다는 점, 발음법에서도 경제에서는 중모음을 풀어서 발음하나, 내포제는 그렇지 않다는 점, 종지(終止)박의 위치가 다른 이유는 반주악기들의 참여 여부와 관계가 있다는 점, 시조와 같은 옥내의 반주음악은 음량을 최소화해야 해서 세피리를 쓰고, 대금의 저음역을 활용하며, 장고는 변죽(가장자리)을 쳐서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는 이야기 등을 하였다. 이번 주에는 <내포제시조 보존회>의 활동 중, 회원들의 정례발표회 이야기를 해 보기로 한다. 이번 제33회 정례발표회는 지난 6월 21일 내포제 시조 전수관에서 열렸는데, 전국적으로 알려진 강습회를 시작하기 전, 회원들이 준비한 종목들을 공개적으로 발표하는 행사였다. 이 자리에는 부여 군수를 비롯한 지역의 유지들과 전국 각지에서 참여한 전문가, 시조인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조촐하게 진행되었다. 글쓴이는 발표회가 시작되기 전, 다음과 같은 격려의 말씀을 했다. “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시조의 세청(細淸)창법에 관한 이야기를 하였다. 경제 평시조에는 중장과 종장 첫 부분에 고음(高音)이 나오기 때문에 이를 세청(또는 가성(假聲)이라고도 함)창법으로 부른다는 점, 이것은 곧 속소리 창법으로 일종의 변통창법이란 점, 그러나 내포제 평시조에는 고음(高音)이 출현하지 않아 이러한 창법이 쓰이지 않는다는 이야기를 하였다. 고음이 나오지 않기 때문에 가성창법을 쓸 필요가 없다는 말을 뒤집어 보면, 세청창법을 쓰지 않기 위해 고음을 기피했을지도 모른다는 말이 된다. 정가의 대표적인 장르, 남창가곡도 세청의 창법은 금지하고 있는 창법이다. 평시조에서는 고음이 청황종(潢)이지만, 가곡에서는 황(潢)보다 훨씬 높은 청중(㳞)이나 청임(淋)의 소리도 절대 가성으로 처리하지 않고, 육성으로 내야 한다. 내포제 평시조에서 세청 창법을 불허하는 점에서 보면, 창법에 있어서는 내포제시조가 오히려 가곡의 창법과 유사하다는 점을 느끼게 한다. 그러나 발음법에 있어서는 가곡의 예와 다르다. 가령, 경제시조에서는 소치는 <아희 놈>이나 <재 넘어 사래 긴 밭>과 같은 노랫말을 옮길 때, <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