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윤지영 기자] 오는 6월 13일부터 6월 15일까지 서울 서초동 예술의전당 ‘CJ 토월극장’에서는 제15회 대한민국발레축제, 유니버설발레단의 <발레 춘향> 공연이 펼쳐진다. <발레 춘향>은 아름다운 한국 고전을 차이콥스키의 선율과 발레로 담아낸 유니버설발레단의 대표적인 창작발레다. 기획 단계부터 세계 무대를 염두에 두고 제작된 작품으로, 2007년 전막 초연 이후 2014년 개정작업을 통해 독창성과 예술성을 업그레이드시키며 <심청>에 이어 가장 한국적인 발레로 주목받고 있다. 끊임없는 정련을 통해 예술성과 작품성을 인정받은 <발레 춘향>은 2015년 오만 무스카트와 2018년 콜롬비아 보고타에 공식 초청되어 K-발레의 위상을 드높였으며, (재)전문무용수지원센터 ‘올해를 빛낸 안무가상’(2018), 이데일리 문화대상 ‘최우수상’(2019, 무용부문)을 받는 등 나라 안팎 관객과 평단의 사랑을 한 몸에 받고 있다. <발레 춘향>의 매력은 ‘동서양 문화예술의 아름다운 조화’다. 튜튜 대신 도포 자락을 휘날리며 펼쳐지는 견고한 안무, 입체감을 살린 연출과 극적인 전개로 한국 고유의 미를 섬세하면서도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여름의 무더위를 식혀줄 '제9회 하동섬진강문화재첩축제'가 오는 6월 20일부터 22일까지 사흘 동안 하동 송림공원과 섬진강 일원에서 화려하게 펼쳐진다. 올해 축제는 '별천지 하동! 섬진강 재첩과 치유'이라는 주제 아래, 자연 속에서 쉼과 재미를 동시에 누릴 수 있는 다채로운 프로그램들로 꾸며질 예정이다. 축제의 포문은 하동예술단과 합창단, 가야금 연주가 열고, 초청 가수 천록담(이정)과 정미애의 무대가 분위기를 한껏 달군다. 이어지는 섬진강 치맥 페스티벌, 그룹댄스 경연, 치유 거리공연, 마칭밴드 행진 등은 남녀노소가 즐길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하며 방문객을 사로잡을 예정이다. 또한, 이번 축제에서는 모두 15개의 체험 프로그램이 준비돼 있어 가족 단위 방문객에게 큰 인기를 끌 것으로 보인다. 재첩 축제 대표 프로그램인 '찾아라! 황금재첩'을 비롯해 ▲거랭이 재첩잡이 체험(세계중요농업유산) ▲섬진강 은어잡이장 ▲섬진강 그림그리기 ▲숲속 도서관 ▲주민화합 윷놀이 ▲섬진강 두꺼비는 어디에?(보물찾기) ▲하동 인생컷 ▲섬진강 5종 스포츠 ▲재첩 OX퀴즈 ▲섬진강물대첩(물총싸움) 등이 준비돼 있다. 축제추진위원회는 '찾아라! 황금재첩'을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지리산국립공원경남사무소(소장 김종식)는 지난 5월, 산골마을 낡은 집의 주거환경 개선과 에너지 효율 향상을 위해 산청군 삼장면 유평 삼거리마을 4가구에 고효율 단열창호를 지원하는 사업을 끝냈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삼거리마을에 연중 사는 모든 가구를 대상으로, 낡은 창호를 철거하고 가구당 최대 500만 원 상당의 고효율 단열창호로 바꿔줌으로써 에너지 손실을 줄이고 보다 쾌적한 주거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지리산국립공원 공원마을지구에 속한 이 산간마을의 주택들은 대부분 창호를 설치한 뒤 15년 이상이 자너 단열 성능이 크게 낮아진 상태로, 겨울철에 이슬이 맺히고, 곰팡이가 슬며 난방 에너지 손실 문제가 심각한 상황이었다. 실제로 2024년 지리산 국립공원 지역에서 한 주민 설문조사에서도, 응답자의 27%가 ‘창호 단열 개선이 필요하다’라고 응답한 바 있다. 특히, 지리산 대원사계곡을 품고 있는 삼거리마을에는 고령의 주민들이 많아 난방비 부담이 크고 동절기 실내 생활 여건도 열악해 주거복지 개선이 절실한 실정이었다. 창호 교체를 마친 주민 예순자(68세) 씨는 “겨울이면 창문 사이로 매서운 바람이 들어와 아주 힘들었는데,
[우리문화신문=정운복 칼럼니스트] 가을이 되면 많은 식물이 열매를 맺습니다. 식물들은 씨앗을 보냄에 있어 때론 바람에 의하여, 때론 동물에 의지하여, 꼬투리 터짐의 힘으로 씨앗을 되도록 멀리 보내려 안간힘을 쓰지요. 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씨앗이 머무는 곳은 노력보다는 우연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니 씨앗은 땅을 잘 만나야 하고 땅은 씨앗을 잘 만나야 합니다. 자갈밭에 떨어진 씨앗은 뿌리를 내릴 수 없고 비옥한 땅에 떨어진 씨앗은 뿌리를 못 내릴 이유가 없으니까요. 인생에서도 제일 중요한 것은 만남입니다. 곧 산다는 것은 만난다는 것이지요. 어떤 이는 이렇게 이야기합니다. "살아보니 그놈이 다 그놈이더라." 그렇지 않습니다. 사람보다 중요한 것은 없으니까요. 인생에서 만남은 모든 것을 결정합니다. 우연한 만남이든 섭리적(攝理的) 만남이든 만남은 중요합니다. 인생의 변화는 만남을 통해 시작되기 때문입니다. 새로운 사람을 만나면 우리는 몰랐던 세상을 배우고, 또 다른 시각으로 세상을 바라볼 수 있습니다. 때로는 힘든 시기에 따뜻한 위로를 건네주는 소중한 사람을 만나기도 하고, 뜻밖의 경쟁 상대를 만나기도 합니다. 이러한 만남은 우리의 삶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고,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오는 6월 14일부터 15일까지 저녁 4시 경기 수원시 팔달구 정조로 ‘정조테마공연장’에서는 <오버더떼창: 문전본풀이> 공연이 열린다. "집에도 신이 있대요. 아주 옛날부터 그렇대요." <오버더떼창: 문전본풀이>는 판소리 합창을 통해 들려주는 제주도 신화로, 가택신의 내력을 담고 있다. 가족으로 인해 가정에 위기가 찾아오고 이를 다시 가족의 힘으로 이겨내는 이야기로, 가족에게 어쩌면 가장 중요한 '집'이라는 공간을 지키는 가택신들의 탄생 이야기를 풀어낸다. <오버더떼창: 문전본풀이>는 가난 외에 겉으로 큰 문제가 없어 보이는 가족의 이야기로 시작한다. 그러나 점차 '속 나누고 살고 싶다'라는 가족 구성원들의 동일한 바람이 드러나고, 이들이 가족 해체의 순간을 마주하는 과정을 통해 '가족 소통의 부재'라는 작품의 주제 의식이 수면 위로 오르게 된다. 또한, 관념에 사로잡힌 아버지 남선비와 순종적인 어머니 여산부인의 변화 과정을 통해 가족 구성원의 역할을 돌아본다. 원작은 제주 무속신화 '문전본풀이‘며, 출연진은 소리꾼 박인혜ㆍ이예린ㆍ황지영ㆍ이해원ㆍ채정원ㆍ박두리가 무대에 오른다. 타악에 조봉국, 가야금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오늘은 24절기 가운데 아홉째인 “망종(芒種)”입니다. 망종이란 벼, 보리 같이 수염이 있는 까끄라기 곡식의 씨앗을 뿌려야 할 적당한 때라는 뜻이지요. 이때는 모내기와 보리 베기에 바쁜 때로 “발등에 오줌 싼다.”라는 속담이 있을 정도입니다. 이때 우리나라에는 비가 오지 않아 논과 밭 모두 바싹바싹 타들어 가기도 하는데 그 탓에 백성들은 많은 고생을 했고 임금까지 나서서 기우제를 지내야 했습니다. 《조선왕조실록》에는 “기우제”가 무려 3,122건이나 나올 정도입니다. 기우제를 지내는 것은 먼저 산 위에 장작을 쌓아놓고 불을 놓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는 산에서 불을 놓으면 타는 소리가 천둥 치는 소리같이 난다는 데서 비롯된 것이며, 연기를 통해 하늘에 간절함을 전한다고 합니다. 또 신을 모독하거나 화나게 하여 강압적으로 비를 오게 하기도 합니다. 이때 쓰는 부정물은 개, 돼지의 피나 똥오줌이 주로 쓰이지요. 전라도 지방에서는 마을 여인네들이 모두 산에 올라가 일제히 오줌을 누면서 비를 빌기도 합니다. 아이들이 짚으로 용의 모양을 만들어 두들기거나 끌고 다니면서 비구름을 토하라고 하기도 하고요. 또 다른 방법으로는 여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구름 하나 없이 파란 하늘이 참 시원하게 느껴지는 아침입니다. 이렇게 바로 햇볕이 내리 쬐면 한낮에는 많이 덥겠지만 말입니다. 아침부터 걷는 사람, 뛰는 사람을 보며 일터로 옵니다. 다른 사람들이 일을 하러 갈 때 저렇게 걷고 달리는 사람들을 보면 부럽기도 하지요. 요즘은 맨발로 걷는 사람들도 많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맨발로 걷는 분들은 발바닥으로 땅숨을 잘 받으신다고 합니다. 그래서 그런지 아픈 곳이 나으셨다는 분도 많다고 들었습니다. 맨발걷기든 달리기든 뫼오르기든 몸을 튼튼하게 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은 무엇이든 하나는 꼭 하며 살아야겠습니다.^^ '땅숨'은 한자말 '지기(地氣)'를 갈음해 쓸 수 있는 토박이말입니다. 옛날에는 말할 것도 없고 요즘도 김치를 독에 넣어 땅에 묻어 두었다가 먹곤 하는데, 그 김치에는 땅숨이 잘 스며서 더 맛이 있는 거라고 생각합니다. '땅기운'보다 '땅숨'이라는 말에서 땅에서 나오는 힘이 더 느껴지지 않으시나요?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청장 최응천)은 경상북도 안동시 예안면에 있는 「안동 전주류씨 삼산고택」을 국가민속문화유산으로 지정 예고하였다. 「안동 전주류씨 삼산고택」은 삼산(三山) 류정원(柳正源, 1702~1761)의 향불천위를 모시는 고택으로, 류정원의 아버지 참판공 류석구가 계유년(1693)에 건립한 것으로 추정되며, 현재까지 330여 년 동안의 역사를 잘 간직하고 있다. * 향불천위: 유학 발전에 큰 업적을 남기거나 덕망이 높은 인물을 지역유림이 발의하여 영원히 사당에 모시도록 한 신위 택호(宅號)인 ‘삼산’은 류정원이 고택의 안마루에서 남쪽을 바라보니 앞산의 산봉우리 셋이 나란히 보이는 것을 보고 자신의 호를 삼산(三山)으로 정한 데서 유래한 것으로, 이후 고택이 있는 마을의 이름으로도 불리게 되었다. * 택호(宅號): 집주인의 관직명이나 호(號), 출신 지명 등을 사용하여 그 집을 부르는 명칭 고택은 안채, 사랑채, 사당, 외양간채, 대문채 등 모두 5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경북 북부지방의 전형적 ㅁ자형 뜰집 형태이면서도, 안채와 사랑채가 별동으로 건립되어 내ㆍ외 공간 구분이 명확한 편이다. 건물에서 확인되는 다양한 수장재(문, 창호,
[우리문화신문=정석현 기자] 제1회 국악의 날·국악주간, 누구나 함께하는 여민락 대축제, 세대를 잇는 국악의 힘 국립국악원(원장 직무대리 강대금)은 제1회 국악의 날을 맞아, 국민이 모두 함께 국악으로 즐기고 소통하는 잔치마당을 마련하고 전통과 현대, 세대와 세대를 잇는 국악의 사회적 역할과 미래 값어치를 조명한다. 국립국악원은 6월 5일 ‘국악의 날’ 개막을 알리는 길놀이 행진을 시작으로, 15일까지 ‘국악주간’으로 정해 공연, 체험, 명상, 전시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마련한다. 국립국악원은 이번 국악의 날과 국악주간을 계기로 국민과 함께 국악을 널리 나누고 국악의 세계화와 대중화에 더욱 앞장설 계획이다. 국악의 날 기념 길놀이: 오천만의 국악, 하나 되는 울림(6.5) 국악의 날 당일인 6월 5일 낮 2시 광화문 광장 놀이마당에서는 국방부 군악대대 전통악대와 국가지정 농악보존회, 북청사자놀음보존회, 강령탈춤, 봉산탈춤 보존회 및 줄타기(어름사니: 남창동) 회원들이 함께하는 <여민락 대축제>를 시작으로 국악의 날, 국악주간의 서막을 연다. 국악주간①: 모두가 국악으로 함께하는 ‘여민락’ - 국악 공연(6.6. ~ 6.15.) 6월 6일(금) 현
[우리문화신문=윤지영 기자] 국립민속박물관(관장 장상훈)은 6월 4일(수), 어린이날 축제를 함께 했던 13개 나라의 주한 해외 문화원ㆍ대사관 관계자와 함께 성과보고회를 열었다. 5월 4일(일)~5일(월), 이틀 종안 진행된 어린이날 행사에는 총 28,341명이 참여했다. 지난 어린이날은 2025년 국립민속박물관의 새로운 미래상인 ‘세계로 열린 창’ 시범사업으로 13개 나라의 주한 나라밖 문화원ㆍ대사관과 손을 잡고 ‘세계의 놀이 축제’를 주제로 공연, 놀이, 문화체험 등 35개의 프로그램을 한자리에 마련하였다. 어린이들은 13개국에서 준비한 공연, 놀이, 문화체험 등 35개의 풍성한 세계문화 프로그램을 한자리에서 즐길 수 있었다. 어린이날 성과보고회는 13개국 기관 관계자들과 함께 행사의 성과를 공유하고, 향후‘세계로 열린 창’이라는 세계문화 플랫폼으로서 박물관의 방향성과 협력 방안를 모색하는 자리가 되었다. 이번 보고회는 국립민속박물관 어린이박물관의 성과보고를 시작으로 미켈라 린다 마그리(Michela Linda Magri) 원장이 이탈리아 어린이 놀이문화 및 전통의상을 소개하면서 이탈리아와 한국의 두 나라 사이 어린이 문화콘텐츠 교류에 대한 방향성을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