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궁중음악의 수제천과 같은 불규칙 장단, 그리고 무장단으로 불러 나가는 송서ㆍ 율창에서의 숨자리와 교감(交感)에 관한 이야기를 하였다. 교감이란 이심전심(以心傳心)의 세계로 오랜 경험을 축적해 온 연주자들의 감각이 아니고는 이러한 연주나 제창은 불가능에 가깝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제까지 수차에 걸쳐 송서나 시창이 어떤 장르의 성악이고, 어떤 특징을 지니고 있는 소리인가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간단하게 정리해 보면 우선, 느린 박자로 부르는 무장단의 소리라는 점, 하나의 악구가 숨의 단위가 되어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소리라는 점, 창법은 깊은 소리를 내는 육성(肉聲)과 고음의 가성(假聲)창법이 혼재되어 있다는 점, 선율 형태는 장인굴곡의 가락과 다양한 시김새를 구사하고 있는 점 등이다. 이러한 점에서 시조창의 형태와 유사한 노래임으로 단순히 타인의 소리를 듣고 따라 부르기만 되는 노래가 아니라, 정가의 창법이나 호흡법을 익혀야 한다는 점이다. 특히, 시창은 한문으로 지은 시(詩)를 노래하는 것으로 그 속에 담겨있는 뜻이나 의미를 이해하고 난 뒤에 불러야 하기에 누구나의 접근이 용이치 않았던 지식인 계층의 가락이었던 것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박자가 아닌, 또 다른 시간의 단위로 <숨>이라는 이야기를 하였다. 호흡은 비단, 정가나 민요, 송서ㆍ율창, 등 일부 성악에서만 강조되는 음악적 조건은 아니라는 점, 기악합주곡에도 해당되며 특히 <수제천>과 같은 불규칙 장단으로 이어가는 연주에서는 매우 중요한 음악적 요소라는 점, 송서나 율창도 박자와 장단이 불규칙적이어서 『숨자리』, 곧 호흡의 약속은 창자들 사이에 매우 중요한 요소라는 이야기를 하였다. 앞에서 예를 든 수제천과 같은 불규칙적인 장단구조를 지닌 악곡들이나 또는 송서ㆍ율창과 같이 무(無)장단으로 이어지는 성악이나, 또는 춤에 있어서 숨을 쉬는 위치는 매우 중요하다. 숨자리가 하나의 악구를 나타내는 기준이 되기 때문이다. 수제천 한 장단의 소요시간을 예로 들면, 가장 빠르게 연주되는 장단은 약 40초, 제일 느리게 연주되는 장단은 49초 정도로 <쌍-편>, <편-고>, <고-요>, <요-쌍> 간의 시간이 매 장단 다르다. 이처럼 일정한 박자에 매이지 않고, 자연스럽게 선율을 시작하고 맺을 수 있는 것은 호흡, 곧 한 장단을 몇 숨에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송서나 시창의 음악적 분위기는 정가와 유사하나, 가성(假聲-falsetto)창법을 허용하는 점에서 보면 시조나 가사창과 가깝다는 점, 가성창법이란 속소리를 쓰는 변칙의 창법으로 남창가곡에서는 금기시 된 창법이란 점, 발음법에서도 하노라, 하여라, 하느니, 등은 모두 허노라, 허여라, 허느니, 등의 음성모음으로 바꾸어 장중미를 강조한다는 점, 송서나 시창의 불규칙 장단과 악구(樂句)의 단락을 정하는 중요한 기준은 호흡, 즉 <숨자리>라는 점, 등을 이야기를 하였다. 호흡은 비단 정가나 민요, 송서, 율창, 등 일부 성악에서만 강조되는 음악적 조건은 아니다. 성악 전반은 물론이고, 기악합주곡에서도 매우 중요한 음악적 요소이다. 특히 장단의 흐름이 일정치 않은 음악에서의 호흡은 그 중요성이 배가된다고 하겠다. 한국의 대표적인 악곡으로 널리 알려진 <수제천>이란 궁중음악이 있는데, 이 곡이 바로 불규칙 장단으로 이어가는 대표적인 음악이다. 원래의 이름은 정읍(井邑)으로 백제의 정읍사와 관련이 있으나 조선조 후기로 내려오면서 가사는 잃고 관악합주곡으로 전해오고 있다. 이 악곡의 악기 편성은 피리와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앞에서 시창(詩唱)과 시조창(時調唱)은 박자가 느리며, 장중한 창법으로 부르는 것이 비슷하고, 각 구성음의 기능, 곧 요성(搖聲)이나 퇴성(退聲)의 자리가 동일하며, 시조창이나 12가사에 나오는 가락들이 시창에도 보이는 점에서 서로 비슷하다는 이야기를 하였다. 그러나 시창과 시조, 양자가 근본적으로 차이를 보이는 것은 노랫말인 시(詩)가 다르다는 점, 곧 시창은 7언의 한시이고, 시조는 3장 형식의 시조시란 점이다. 송서와 율창(시창)을 주전공으로 공부하면서 호흡과 소리의 기본이 튼튼해졌다는 이송미양은 한자 풀이를 통해 시의 의미를 되새기고, 발음에도 크게 도움이 되었다고 하며 특히, 발성을 통해 호흡의 안정, 공명, 역동성의 유지가 가능해 졌다는 이야기도 하였다. 이번 주에는 시창의 음악적 분위기와 악구의 단위를 결정하는 숨 자리에 관한 이야기가 되겠다. 송서나 시창의 창법을 관심있게 살펴보면 그 음악적 분위기가 흡사 가곡을 부르는 것 같기도 하고, 또는 영락없이 시조창을 부르는 듯하기도 하다. 또한 부분적으로는 12가사의 한 부분을 듣는 듯 같아서 마치 정가의 음악적 분위기와 비슷하다는 점을 느끼게 된다. 시조창이나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시창에 관한 이야기 가운데 경포대, 만경대의 앞부분 소개와 함께 촉석루에 관한 이야기를 하였다. <촉석루>라는 한시를 시창으로 옮기는 소리꾼들이 많다는 점, 시조시가 창으로 부르기 위해 지어진 것처럼, 시창의 경우도 부르기 위해 한시를 지은 것으로 보인다는 점, <촉석루>의 구성음은 黃(황, 솔)-仲(중, 도)-林(임, 레)-南(남, 미)의 4음과, 옥타브 위로 潢(황, 솔)-㳞(중, 도)-淋(임, 레)의 3음이어서 7음의 구성이란 점, 장단에 맞추지 않고 자유스럽게 숨으로 단락을 짓고 있는 점은 시조창과 구별된다는 점을 이야기 하였다. 시창과 시조창은 서로 어떻게 구별되고, 서로 다른 점은 무엇인가? 시창과 시조, 양자가 근본적으로 차이를 보이는 것은 노래말인 시(詩)가 다르다는 점이다. 곧 시창은 7언의 한시이고, 시조는 3장 형식의 시조시를 노랫말로 쓰고 있어 서로 다르다. 노랫말 이외에 음악적으로도 다른 듯 보이지만 서로 유사한 부분이 있어서 얼핏 들으면 분간이 어렵기도 한 것이 시창과 시조이다. 나는 오래전에 「시조음악의 일반적 특징」이란 논문에서 평시조 음악은 黃(E♭)-仲(A♭)-林(B♭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 회에는 7언(言) 1구(句)의 한문시는 곳곳에서 볼 수 있으나 그 의미를 알기 어렵고, 시창으로 부를 수 있는 사람들은 거의 없다는 점, <송서ㆍ율창>의 보존회원들이나 <글 읽는 나라 문화제전>에 참가하고 있는 남녀노소 경창자들이 부르고 있다는 점, 한시의 암기는 창을 통해 가능한데, 창의 효과가 바로 시창이나 율창, 송서가 탄생하게 된 배경이란 점을 얘기했다. 제3회 글 읽는 나라 문화제전에서 최고의 영예를 차지한 김형주 수상자는 깊은 내용 위에 가락을 얹어 부르면 마치, 하늘의 신선이 된 기분이라는 소감과 미래 시대의 주역인 어린이들에게 보급하는 것이 시급하며, 그 아름다운 가락은 정서적으로 차분해 져서 심신을 안정시켜주는 음악치료로도 손색이 없다는 이야기 등을 하였다. 벽파의 가창대계에 소개되어 있는 시창에는 경포대, 만경대, 촉석루, 만류무민, 영풍, 신추, 관산융마, 등이 대표적이다. 그런가 하면 서울시 예능보유자, 유창이 발매한 음반 속에는 영남루, 강능경포대, 죽서루, 효좌, 사친, 영풍, 만경대, 개천절노래 등이 담겨 있어 다양한 시창이 다양한 가락으로 전해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 이야기 한 율창과 시창은 한시(漢詩)를 율조(律調)에 올려 부르는 노래로 송서, 시창, 율창 등은 모두 소리를 내어 글을 읽는 독서성이나 낭송에서 출발하였다는 점, 판소리 춘향가에 나오는 어사가 된 이몽룡이 변사또의 잔치상에 들어가 지어 부른 -금준미주천인혈(金樽美酒千人血), 옥반가효만성고(玉盤佳肴萬姓膏), 촉루락시민루락(燭淚落時民淚落), 가성고처원성고(歌聲高處怨聲高)의 7언4구는 유명한 시창이란 점을 얘기했다. 이 시는 조선조 광해군 때 성이성이 지었다고 하는데, 이는 명나라에서 온 사신의 시를 고쳐 지은 것으로 전해진다는 점, 벽파는 <관산융마(關山戎馬)>를 서도식 율창(律唱)이라 불렀는데, 이는 높은 청으로 속소리를 내며 비애조(悲哀調)가 섞인 서도지방의 시창이기 때문에 일반 시창과 구별한 것으로 보인다는 이야기 등을 하였다. 7언(言) 1구(句)의 한문시는 우리 주변 곳곳에서 볼 수 있다. 특히 전통가옥에는 거의 예외 없이 보이고 있으며, 그밖에도 많은 사람들이 모이는 장소에서는 흔히 볼 수 있다. 그런데 그 글을 읽거나 그 의미를 파악할 수 있는 사람들은 얼마나 될까? 더욱이 그 시의 의미를 이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송서 중에서 삼설기에 관한 이야기를 하였다. 삼설기는 송서의 입문곡처럼 알려진 대표적인 소리제로 묵계월이 1930년대 중반, 이문원으로부터 배웠고, 이를 다시 유창에게 전해준 소리로 그 내용은 욕심이 지나치면 안 된다는 진리를 재미있게 묘사하고 있다는 점을 얘기했다. 또 송서의 창법은 정가와 유사하며, 느린 한배나 호흡으로 길게 끄는 가락이나, 요성의 형태, 또는 장식음 등이 정가의 음악적 분위기를 느끼게 된다는 점, 송서와 율창은 박자라든가 장단의 형태는 논하기 어려우며, 악구(樂句)의 시작과 맺음을 호흡으로 처리해야 한다는 점, 마치 궁중음악의 수제천과 같이 장단이 불규칙하지만, 오랫동안 호흡을 맞추어 온 연주자들은 능숙한 연주로 청중을 감동시키고 있다는 점 등을 말했다. 이번주에는 시창(詩唱), 혹은 율창(律唱)에 관한 이야기를 한다. 시창이나 율창은 한시(漢詩)를 긴 가락에 올려 읊는 형태를 말한다. 율창이란 말에서 율(律)은 음(音)을 뜻하는 말이라 하겠다. 곧 율려(律呂)로 음의 높고 낮은 고저를 의미한다. 또한 시창은 시(詩)를‘읊조린다’, ‘노래한다’는 의미이니, 시(詩)에 고저를 넣어 부르는 형태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세 번째 열린 <글 읽는 나라 문화제전> 관련 이야기를 하였다. 전국에서 많은 경창자들이 참가하여 성황을 이루었는데, 이 제전은 2018년 서울특별시가 지역특성을 살리는 문화사업 민간축제로 선정한 행사였다는 점, <명인부>, <일반부>, <단체부>, <학생부>, <신인부> 등으로 구분되며 단체부와 신인부 경연자들이 많아 축제의 분위기를 살렸다는 점, 명인부는 해당종목의 이수자, 일반부는 전수생들이 참가하는데, 암기수준이나 발음, 창법, 호흡처리 등이 수준급이었다는 점, 특히 초, 중학생들이 한문을 정확하게 읽고 고저를 구별해 내는 실력이 만만치 않았다는 점을 얘기했다. 타 대회와는 달리, <계자제서(戒子弟書)>를 부름으로 경연을 시작하였는데, 이는 아버지가 자식들에게 세상을 살면서 삼가고 경계해야 될 내용들을 담고 있는 글이라는 점, 경연마당의 출전자들은 주로 삼설기(三說記), 계자제서(戒子弟書), 명심보감(明心寶鑑), 권학문(勸學文) 주자훈(朱子訓), 촉석루(矗石樓), 등왕각시(滕王閣詩), 매일생한불매향(梅一生寒不賣香) 등을 불렀으며, 어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책읽기의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알려진 송서ㆍ율창에 관한 이야기를 하였다. 소리를 내어 음악적으로 읽는 방법이야말로 오래 읽는다 해도 지루함을 느끼지 않을뿐더러 암기에도 효과적이란 점, 서울시 문화재로 <송서와 율창>을 지정한 것은 훌륭한 결정이지만, 지정이 되었다고 해서 해당 종목이 저절로 보존, 계승되는 것이 아니고 관련기관의 적극적인 대책이나 해당 분야 전문가들의 열의와 노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점을 얘기했다. 그 가운데서도 송서ㆍ율창 분야는 전승자의 층이 엷어서 진승구조가 취약하다는 점, 이러한 종래의 인식을 뒤엎고, 송서ㆍ율창의 새로운 이미지를 구축하기 위해 보유자와 보존회원들은 다양한 활동을 계속해 왔다는 점, 그 대표적인 활동들이 전국국악학 학술대회를 통한 학술적 가치의 확보, 정기 비정기 공연활동을 통한 관객확보, 보다 쉽고 재미있는 새로운 음반의 제작, 보존회의 확장을 통한 전승자의 교육, 2회에 걸쳐 개최했던 송서ㆍ율창 경연대회 등이라는 이야기를 하였다. 지난주에 이어 <글 읽는 나라 문화제전> 관련 이야기들을 계속하기로 한다. 세 번째 맞이한 경연에는 전국에서 참가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