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예전 갓난아이에게 입히던 옷으로 배냇저고리와 두렁치마가 있었습니다. 웃옷으로 입히던 배냇저고리는 깃과 섶을 달지 않은 아기 옷으로 배내옷, 깃저고리라고도 합니다. 희고 부드러운 무명이나 명주로 만드는데, 등에 솔기를 하지 않고 배와 손을 덮을 정도로 길게 만들었지요. 그런가 하면 아랫도리로 입히던 두렁치마는 조선시대 어린아이의 배부터 아랫도리를 둘러주는 기능적인 치마로서 '두렁이', 또는 '배두렁이'라고도 하지요. 배두렁이는 뒤가 겹치지 않게 만들었는데 이는 누워있는 아기에게 뒤가 배기지 않도록 하는 것은 물론 기저귀 갈기에도 편리하게 했습니다. 요즘처럼 옷감의 종류도 많지 않았고, 요즘 입는 속옷 같은 것도 없었던 옛날에 몸이 여린 갓난아이에게 보온용으로 입혔던 것이지요. 흔히 무명이나 명주, 융 따위를 겹으로 하거나 솜을 두어 만들었으며 누비로 만든 것이 많았습니다. 최남선의 《조선상식문답》에서 보면 두 이레쯤(14일) 될 때 이 두렁치마를 입히기 시작한 듯합니다. 아기들이 기어다니기 전까지는 남아나 여아같이 입었지만, 자라면서 주로 여아들만 입었습니다. 석주선기념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두렁치마는 1900년대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국립경주문화유산연구소(소장 황인호)는 9월 23일 낮 11시 고유제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고령 지산동 고분군 5호분 발굴조사에 들어간다. * 여는 곳: 고령 대가야문화누리 야외마당(경북 고령군 대가야읍 왕릉로 30) * 고령 지산동 고분군 5호분 발굴조사: ‘24년 10월 ∼ ‘26년 12월(예정) * 고유제(告由祭): 국가나 사회에서 중대한 일을 치르기 전에 그 사유를 알리는 의례 이번에 발굴을 진행할 5호분은 지난해 9월 등재된 유네스코 세계유산 「가야고분군」의 7개 고분군 가운데 하나인 ‘고령 지산동 고분군’ 내에서 가장 규모가 큰 고분(지름 45m, 높이 11.9m)으로, 조선 시대에 펴낸 지리서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서 ‘금림왕릉(錦林王陵)’이라고 전하고 있다. 일제강점기인 1939년 아리미쓰 교이치[有光敎一], 사이토 다다시[齊蕂忠]에 의해 발굴조사가 실시되었으나, 간략한 조사내용과 조사하는 모습, 출토유물이 담긴 사진 몇 장만이 전해지고 있다. * 금림왕: 대가야의 임금으로 추정되며 역사서에는 없고, 지리지인 《신증동국여지승람》에만 등장 이번 행사는 국가유산청, 경상북도, 고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 국립무형유산원(원장 박판용, 아래 ‘무형유산원’)은 무형유산 예능 분야 전승자의 연희 역량을 강화하고 창의적 창작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운영 중인 「2024년 무형유산 예능풍류방(레지던시)」의 기획 공연 ‘첫발을 딛다’를 9월 25일과 10월 2일(전주 무형유산원 소공연장), 10월 24일(서울 한국의집 민속극장) 총 3회에 걸쳐 연다. 「무형유산 예능풍류방(레지던시)」는 2020년부터 무형유산원이 운영해 오고 있는 입주형 프로그램으로, 전승자들이 무형유산원에 모여 상호 교류와 협업을 통해 새로운 공연을 창작하는 활동이다. 올해에는 무형유산원의 전문교육 과정을 수료한 예능분야 전승자들 가운데 공모심사를 거쳐 남사당놀이, 승무, 살풀이춤, 영산재 종목의 전승자 4명을 뽑아 창작 공연을 제작하였으며, 이번 기획 공연은 그 결과물을 선보이는 자리다. 첫 번째 공연은 9월 25일 저녁 7시 30분, 무형유산원 소공연장에서 열리는 국가무형유산 살풀이춤 이수자 박영미와 영산재 이수자 여진스님(안지훈)의 ▲「관욕푸리: 하늘길에서 풀어내는 정화의 빛과 해원」이다. 이번 공연에서는 ‘풀이’와 ‘정화’를 주제로, 영혼을 정화하기 위해 수행
[우리문화신문=정석현 기자] 국립국악원(원장 직무대리 김명석)은 현장 예술인·예술 전공자에게 국악 공연창ㆍ제작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미래 전통공연예술 콘텐츠 제작에 대한 상상과 창의력을 증폭시키고자‘ 국립국악원 공연제작 연구회’을 연다. 오는 10월 14일(월)부터 15일(화)까지 2일 동안 예인마루와 풍류사랑방에서 음악극 <적로-이슬의 노래>와 무용극 <야류별곡-달의 시간으로 사는 마을>의 제작진과 함께 작품을 완성하기까지 지난했을 고민의 시간, 치열하고 뜨거웠던 창작의 순간들을 만나는 귀한 자리를 마련한다. 첫째 날인 10월 14일(월) 워크숍‘음악극 편’에서는 2017년부터 성황리에 상연 중으로 불꽃같은 삶을 살다간 박종기(朴鍾基, 1879~1947)와 김계선(金桂善, 1891~1943) 두 예술가의 이야기를 담은 <적로> 제작진(정영두(연출ㆍ안무), 김정승(예술감독), 배삼식(극작), 최우정(작곡ㆍ음악감독)을 모시고, 제작 과정에 대한 깊이 있는 이야기를 나눈다. <적로>를 모색하기 위해 ‘음악극 소재 찾기에서 기획까지’, ‘전통 소재 음악,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전통예술 소재 스토리 만들기’,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재)전문무용수지원센터(이사장 이해준, 이하 센터)는 오는 9월 28(토) 아침 10시 국립극장 달오름극장에서 <2024 무장벽 토론회>를 연다. 토론회에서는 ‘장벽없는 공연예술의 새로운 길 : 무장벽(배리어프리)의 역할과 확장 가능성’을 주제로 나라 안팎 공연예술계 배리어프리 관계자가 참여하여 다양한 의견을 나눌 예정이다. 이번 토론회를 통해 무용계의 무장벽과 음성해설을 소개하고 나아가 무용예술인의 직업전환과 일자리 창출을 기대하고 있다. 이번 토론회에는 기조발제로 영국 스코틀랜드에서 무용음성해설가로 활동 중인 엠마-제인 맥핸리(Emma-Jane McHenry)가 무용음성해설의 기본적인 내용과 무장벽 나라 밖 사례에 대해 소개할 예정이다. 국내 발제로는 장현정 오디오작가협동조합 이사장의 ‘(재)전문무용수지원센터 무용음성해설 과거ㆍ보다ㆍ미래.’, 김수정 (사)배리어프리영화위원회 대표이사의 '배리어프리 영화 사례로 본 공연예술계의 배리어프리’, 허영균 공연예술출판사 1도씨와 온도들 대표의 ‘예술 현장의 배리어프리 리얼타임’이 발제된다. 토론 마당에는 한석진(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원 이론과 조교수), 홍혜전(서원대학교 문화예
[우리문화신문=금나래 기자] 극단 ‘모시는사람들’(대표:김정숙)의 ‘아하! 강아지똥(Aha! Doggy Poo)’이 지난달 열린 에든버러 프린지 페스티벌에서 아시안아츠어워드(Asian Arts Awards)에서 최우수공연상(Outstanding Show)을 받았다. 이번 수상은 한국 연극의 우수한 수준과 가능성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아하! 강아지똥’은 한국을 대표하는 권정생 작가의 동화 ‘강아지똥’을 무대에 옮긴 작품으로, 아무짝에도 쓸모없다고 느끼던 강아지똥이 아름다운 민들레꽃으로 피어나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극단 ‘모시는사람들’의 ‘아하! 강아지똥’은 지난 7월 30일부터 8월 11일까지 에든버러 베들램 극장에서 공연했다. 공연장을 찾은 세계의 관객들은 한국적 색채와 정서를 담은 무대와 의상, 음악에 찬사를 보냈고, 감동적인 내용을 담은 사랑스러운 공연이라고 호평했다. 아시안아츠어워드는 2014년부터 에든버러 프린지 페스티벌에 참가한 아시아 예술가들의 작품을 대상으로 독창적이고 창의적인 공연을 선발하여 시상하고 있다. 스코틀랜드 아시안 아트 펀드(Asian Art Fund Scotland)의 주관으로 다수의 심사위원으로 구성된 판정단이 모든 공연
[우리문화신문=안승열 명리학도] 金 : 4음(신맛+단맛)과 9양의 매운맛으로 완성된 에너지 금기의 신맛은 인체가 음액을 흡수 수렴하도록 돕고 휘발성이 강한 매운맛은 땀의 발산과 배변을 원활하게 하는 기운이다. 매운맛을 금기에 넣어둔 까닭은 금의 장기인 폐장, 대장 등이 버려야 할 변, 땀 등의 배출 활로를 열어주는 데 매운맛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탁기를 배설해야 순백의 금기가 완성된다. 금기의 대표 식품인 과일은 신맛과 강한 단맛의 양기가 조화를 이룬 새콤달콤한 맛이다. 매운 양기만으로 과육이 될 수 없다. 수분의 증발 발산을 저지하는 4음의 신맛이 양기를 감싸고 수렴해야 비로써 과육이 완숙된다. 신맛의 과일로 음기를 보충하면 간에 수분이 공급되며 눈의 충혈이 해소된다. 금의 음기인 신맛이 체내로 유입되면 온몸으로 퍼진다. 신맛은 어느 장부로 가든 음기의 작용인 흡수가 잘 일어나도록 촉촉한 접촉면을 만들어 준다. 기침을 캥캥 해대면 기관지가 마른 것이니 음기인 신맛을 공급, 코점막이나 기관지를 촉촉하게 만들어서 폐로 들어가는 해로운 물질을 걸러내야 한다. 사주에 금기가 약해서 이를 강화해야 한다면 어떻게 접근하면 좋을까? 금기를 보충하기보다는 우선 금
[우리문화신문=우지원 기자] 역사 속 세계는 약육강식의 세계라는 생각이 들 때가 많다. 힘이 있는 자가 다스리고, 또 그 힘을 자식에게 물려주어 대대로 이어가는 것. 우리 역사도 예외는 아니었다. 권력과 경제력이 세습되면서 사회적 강자와 약자의 구분은 공고해졌다. 이렇듯 힘이 지배하는 구조에서도, 우리 역사에는 사회적 약자를 배려했던 흔적이 꽤 많이 남아있다. 가난한 사람, 신체적 장애가 있는 사람, 어린이 … 약육강식의 세계에서는 도태되기 마련인 이런 약자들이 사회에서 잘 살아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가 갖추어져 있었다. 김영주와 김은영이 쓴 이 책, 《우리 역사에 숨어 있는 인권 존중의 씨앗》은 고려의 빈민구휼 기관이었던 ‘동서대비원’부터 조선의 죄수 보호 제도까지, 우리 역사 속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나는 따뜻한 인권 존중의 모습을 담았다. 특히 굶주림을 해결하는 것은 가장 기본적인 인권 존중 방식이었다. 흉년이 잦았던 옛날에는 굶어 죽는 사람들이 정말 많았다. 조선의 4대 임금 세종은 마을 관아마다 가까운 곳에 움막을 지어 음식을 무료로 나누어 주도록 했는데, 이것이 바로 ‘진제장’이다. ‘진제장’에서는 이름과 주소를 적은 간단한 확인 서류조차 배식하
[우리문화신문=정석현 기자] 국립국악원은 9월 27일(금) 낮 1시 30분부터 국립국악원 예인마루 세미나실에서 <국악정책세미나: 창작음악의 오늘과 내일>을 연다. 국립국악원 창작악단은 전통음악의 전승을 통한 창작 국악의 개발과 현 시대의 음악적 요구를 반영한 공연을 위해 2004년 창단되었다. 이번 세미나는 국립국악원 창작악단 창단 20돌을 맞아 창작악단의 역할과 그 의미를 살펴보는 자리다. 또한 국악관현악단의 창작 현황과 의미, 나아가 창작음악의 역사와 현재, 미래를 조망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모두 3부로 구성되는 세미나 1부는 ‘국립국악원의 창작음악, 과거에서 미래로’라는 주제발표로 구성된다. 국립국악원 김명석 국악연구실장의 ‘국립국악원 창작음악의 역사와 의미’, 윤중강 평론가의‘공연 기획을 통해 보는 창작음악’, 경기시나위오케스트라 송현석 기획실장의 ‘창작악단 창단 20년 운영을 통해서 보는 성과와 전망’ 발표가 예정되어 있다. 2부에서는‘국악관현악단을 중심으로 한 창작의 주체, 매개, 활용 양상’을 고찰한다. KBS 국악관현악단 박상후 지휘자의 ‘지휘자로 보는 국악창작’에 이어 한양대학교 임혜정 교수는 ‘매체로 보는 국악창작’, 국민대학교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국립광주박물관(관장 최흥선)은 오는 9월 26일(목) 낮 1시부터 국립광주박물관 대강당에서 “광주 충효동 분청사기 재조명” 학술대회를 연다. 학술대회는 기조강연과 1부 <광주 충효동 가마터 운영과 현재>, 2부 <광주 충효동 분청사기의 특징>으로 구성된다. 먼저 충북대학교 강경숙 교수가 ▲광주 충효동 발굴의 60년 궤적을 살펴보는 기조강연을 할 예정이다. 1부는 ▲광주 충효동 가마의 운영시기 - 층위별 시기 검토(박형순, 국가유산청) ▲소비유적 출토 충효동 분청사기 일고찰(최명지, 국립광주박물관) ▲광주 충효동 요지 정책현황 및 정비과제(박영재, 광주광역시)를 주제로 발표를 진행한다. 2부는 ▲광주 충효동 출토 명문 분청사기의 특징과 의미 -공납용 명문 분청사기를 중심으로(박경자, 국가유산청) ▲15세기 충효동 분청사기와 조선 왕실과의 관계(안세진, 고려대학교) ▲광주 충효동 출토 분청사기 제기의 출토 현황과 성격(김현정, 국립중앙박물관)에 대한 주제 발표가 예정되어 있다. 주제발표를 마치면 충북대학교 강경숙 교수를 좌장으로 발표자들과 김윤희(국가유산청), 박정민(명지대학교), 권혁주(민족문화유산연구원), 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