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광복회는 국방부의 《육군군가집》, 《군가수첩》은 물론 교육용 CD, 누리집 그 어디에도 ‘독립군가’가 수록되지 않았고, 오히려 친일작곡가의 군가인 ‘육군가’ ‘화랑행진곡’ ‘진짜사나이’ 등이 다수 수록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하고, 지난해(2019. 7.15), 이의 시정을 요구하는 공문을 국방부에 보냈 바 있다. 이에 국방부는 “올해 초 각 군에 ‘독립군가’ 교육을 하달하였고, 《군가수첩》과 누리집에 해당 군가를 실어 장병교육에 힘쓰고 있다’라고 추진사항을 광복회에 지난 7월 15일 통보했다. 아울러 국방부는 친일작곡가인 김동진, 이흥렬 등의 군가에 대해서도 ‘범정부 차원의 연구, 전문가 의견수렴과 충분한 국민공감대를 형성하여 종합적으로 검토하겠다’라는 생각을 밝혔다. 김원웅 광복회장은 이에 대해 “민족을 외면한 호국은 참된 호국이 아니다. 국군이 ‘민족을 지키는 군대’가 되길 바라며, 향후 ‘자주독립정신’을 중심적 가치로 하는 정훈교육이 이뤄져야 한다”라고 말했다.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복회(회장 김원웅)는 20일 낮 11시 30분 광복회관 3층 대강당에서 창단된 오케스트라 단원을 비롯하여 수도권 광복회원 7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HOKI(호키) 오케스트라’를 창단했다. 이날 창단식에서는 HOKI(척탄병) 연주, 독립군가 제창도 있었다. 창단식에서는 동양인 테너로는 처음으로 뉴욕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콩쿠르 우승을 한 테너 최승원씨가 예술감독으로, 국제구호기구 티로오케스트라 음악감독 겸 지휘자 정현구(콘코디아 대학 교수) 씨가 음악감독 겸 지휘자로, 광복군 제3지대 김학규 지대장의 장남이며 중앙대 음대 출신 성악가 김일진 광복회 감사가 사무총장으로, 바이올리니스트 민유경 성신여대교수가 악장으로 각각 위촉장을 받았다. 김원웅 회장은 "독립운동과 음악은 떼려야 뗄 수 없는 인연이 있다"라며, 젊은 독립운동가들이 공연단을 조직하고 새로운 독립군을 모으는 것은 물론, 중국인들을 깨우치고, 선무를 위해 중국의 곳곳에서 공연을 했다는 기록을 소개했다. 김 회장은 이어 “임시정부 헌장 등 몇몇 기록을 보면, 광복이라는 단어가 명사로 쓰이지 않고, ‘광복하라, 광복하자!’는 뜻의 동사로 쓰였다”라며, “이제 음악으로도 ‘광복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국가보훈처(처장 박삼득)은 조국의 광복과 민족 통일을 위해 일생을 바친 ‘몽양 여운형 선생 서거 제73주기 추모식’을 오는 19일(일) 낮 11시, 몽양 여운형 선생 묘소(서울 강북구 우이동)에서 연다. (사)몽양여운형선생기념사업회(이사장 강창일)에서 주관하는 이 날 추모식에는 이병구 국가보훈처 차장을 비롯한 각계 인사, 독립운동 관련 단체장, 기념사업회원와 유족 등 40여 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추모식은 코로나19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예년보다 규모를 축소한 가운데, 선생의 약력 소개, 식사 및 추모사, 추모공연, 헌화ㆍ분향 순으로 진행된다. 몽양 여운형 선생 주요 공적 ○ 몽양(夢陽) 여운형 선생(1885.4.24~1947.7.19)은 경기도 양평(楊平)에서 출생하여 배재학당, 흥화학교 등에서 신학문을 익혔으며, 1908년에는 기호학회 평의원으로 활동하였고, 1910년 강릉의 초당의숙에서 민족교육에 매진하였다. ○ 1차 세계대전 후 파리강화회의에 김규식을 파견하였으며,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독립문제를 크게 부각하기 위해 장덕수를 일본에 파견하여 2․8독립선언을 촉발케 하였다.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김원웅 광복회장은 15일 경기도의회를 방문, 친일잔재청산을 위한 ‘친일찬양금지법’ 국립묘지법 상훈법 개정 촉구 건의안을 국회에 제출한 경기도의회 내 '친일잔재청산특별위원회' 소속의원들을 격려했다. 아울러 김 회장은 장현국 경기도의회 의장, 김경호 친일잔재청산특별위원회 위원장, 채신덕 부위원장, 김경희 부위원장에게 '역사정의실천 정치인’ 선정패를 전달했다. 이 패에는 ‘꿋꿋한 정의’라는 꽃말을 지닌 노각나무 꽃이 새겨져 있다. 한편 광복회는 친일잔재청산에 관심을 가지고 의정활동을 펼치는 정치인을 대상으로 ‘역사정의실천 정치인’ 선정을 계속해 나갈 예정이다.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국가보훈처(처장 박삼득)는 광복회, 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강혜원(1885.11.21.~1982.5.31.) 선생을 ’2020년 7월의 독립운동가‘로 꼽았다. 선생은 1885년 11월 21일 평양에서 출생하였고, 자녀들의 교육에 관심이 많았던 어머니 황마리아를 따라 1905년 5월 하와이로 이주하였다. 그곳에서 삯바느질을 하여 학비를 벌었으며 1913년 4월 어머니와 함께 호놀룰루 대한인부인회를 조직하면서 한인부인운동을 시작했다. 1919년 3월 올케 강원신을 비롯하여 한성선, 한영숙, 한신애, 김경애 등과 함께 신한부인회(新韓婦人會)를 조직하고 총무로 뽑혔다. 신한부인회는 동포들의 자유정신 드높임, 한국 후원, 대한인국민회에 의무금을 납부하는 한인여성단체였다. 그리고 각지에 흩어져 있던 부인회를 통합하여 1919년 8월에 대한여자애국단을 창립하고 선생은 총단장으로 뽑혔으며, 1920년 2월 대한인국민회 중앙총회를 통해 군자금 500달러를 임시정부에 전달했다. 1921년 4월 28일 대한여자애국단 총부 위원들과 함께 「여자애국단 경고서」를 발표하고 단비(團費) 수납을 촉구했다. 선생은 시간당 15센트씩 벌면서도 매달 3달러씩 단비(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인천 중구(구청장 홍인성)는 26일 백범 김구 선생 서거 71주기를 맞아 청년 시절의 김구와 인천 중구의 인연을 살펴볼 수 있는 '#청년김구 #인천 #개항장 (부제: 인천에서 다시 태어나다)'기획전시를 마련한다. 이번 전시에는 김구가 두 차례 중구와 인연을 맺은 장소인 인천감리서와 인천항의 모습을 담은 사진과 자료가 전시돼 청년 김구가 두 차례의 감옥 생활을 통해 백범 김구로 다시 태어나는 과정을 살펴볼 수 있다. 또한 중구에서 중점적으로 추진 중인 '청년 김구 거리 프로젝트'에 대해 소개하고 주민들의 의견을 들을 수 있는 자리도 마련된다. '청년 김구 거리 프로젝트'는 문화강국의 힘을 강조한 백범 정신을 기리고 숭고한 역사와 문화의 힘을 기반으로 중구의 성장 동력 기틀을 마련하고자 장기 과제로 추진하고 있는 중구의 역점사업이다. 청년 김구 역사 거리 조성사업, 청년 김구의 길 탐방로 조성사업, 휴게 쉼터 조성, 청년 김구 프로젝트 자문단 조성 등 모두 6개의 사업이 추진 중이다. 특히 이번 전시에서는 백범 김구와 인천의 인연에 대한 생생한 기록인 백범일지 초판본(한국근대문학관 소장)이 전시되며 김구가 청년 시절에 수감됐던 인천감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광복회(회장 김원웅)는 일제로부터 후작 작위를 받은 친일파 이해승 후손 소유의 토지 및 제3자에게 처분한 토지를 포함하여 다른 친일파의 은닉재산 15필지(면적21,612 / 81억 원 상당)에 대해 법원에 가처분을 신청, 받아들여졌다고 밝혔다. 광복회는 지난해 7월 1일부터 숨겨놓은 친일재산을 직접 추적하여 발굴한 친일파 6명의 후손 소유 친일재산 토지 80필지(면적 167.142, 공시지가 180억 원)를 작년 9월 27일 법무부에 국가귀속 신청하였다. 그 가운데 15필지에 대해 가처분금지가 수용되었다. 이명박 정부가 친일재산 국가 환수를 중단시킨 지 11년이 되었다. 작년 6월 취임한 김원웅 회장은 새로 친일재산 찾기를 시작하면서 “숨겨놓은 마지막 친일재산을 끝까지 찾아내겠다”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에 광복회가 찾아낸 이해승의 친일재산은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재산이다.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인천 중구(구청장 홍인성)가 청년 김구 거리 프로젝트 추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중구는 지난 10일 '청년 김구 역사 거리 조성사업' 착수보고회를 열었다. 이날 착수보고회는 홍인성 구청장을 비롯한 관계 공무원이 참석했으며 지난달 제안평가를 통해 뽑힌 사업자가 사업의 기본계획 및 방향을 설명했다. '청년 김구 역사 거리 조성사업'은 백범의 정신을 기리고 숭고한 역사와 문화의 힘을 기반으로 중구의 성장 동력의 기틀을 마련하고자 중구가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청년 김구 거리 프로젝트'의 대표사업이다. ▲청년 김구의 길 탐방로 조성사업 ▲감리서 터 휴게 쉼터 조성 ▲청년 김구와 중구 기획전시 등 6개 사업이 진행 중이다. 이번 사업의 주요 내용은 백범 김구 선생님과 인연이 있는 인천감리서 터 주변을 정비하고 신포로 약 200m 구간에 인도 조성, 공공조형물 설치 등을 통해 주제 거리를 조성하는 것으로 2021년 10월 준공 예정이다. 이 사업이 끝나면 지역의 상징물로써 역사성을 재조명하고 원도심 활성화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홍인성 구청장은 "본 사업은 구와 백범 김구 선생님과의 인연을 재조명하는 의미 있는 사업으로 성공적으로
[우리문화신문=이나미 기자] 경남 하동군은 호국보훈의 달을 맞아 3·1만세운동 100돌 기림사업의 하나로 정재상 경남독립운동연구소 소장과 함께 국내 거주 하동 출신 독립유공자 후손 17명을 특별 초청해 1박 2일 동안 하동군 내 항일유적지와 명소를 탐방하고 선열들의 나라 사랑 정신과 민족애를 군민과 함께했다고 밝혔다. 하동군은 2년 동안 발굴한 하동 출신 정부포상 독립운동가 15인 중 후손 17명을 초청해 11ㆍ12일 이틀 동안 군내지역의 항일유적지와 명소를 탐방했다. 이번 일정 중 첫째 날인 11일에는 하동군청 소회의실에서 윤상기 군수의 유공자 후손 환영식이 있었다. 환영식은 김재영 복지기획담당의 사회로, 윤 군수의 꽃다발 증정, 유족대표와 정재상 소장의 인사, 선물 증정, 조문환 주민 공정여행 놀루와 대표의 일정 소개 순으로 진행됐다. 이어 오찬장으로 이동해 식사를 마친 뒤 지리산 일대에서 일본군과 맞서 싸우다 전사한 박매지 의병장과 하동 3·1만세운동 지도자 박치화 선생 등 지역 독립운동가를 기념하기 위해 세운 하동읍 소재 '하동독립공원'에 헌화 참배했다. 그리고 박경리 대하소설 '토지'의 무대 악양면 평사리 최참판댁과 영호남 주민이 함께 독립 만세운동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국가보훈처(처장 박삼득)는 광복회, 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임병극(1885~미상) 선생을 2020년 6월의 독립운동가로 꼽았다. 선생은 1885년 평안도에서 출생하였으며 1917년 고향을 떠나 북간도(北間島)로 망명하여 대한국민회(大韓國民會) 일원으로 북간도에서 독립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으며, 대한국민회가 만든 항일무장활동 기관인 국민회군의 제2중대장에 임명되어 독립전쟁의 맨 앞에서 활동했다. 국민회군과 함께 북간도에 근거지를 구축하고 항일무장활동을 펼치던 독립군단들은 효과적인 항일전을 위해 1920년 5월 22일 북간도 독립군 연합체인 대한북로독군부(大韓北路督軍府)를 탄생시켰으며, 북간도의 여러 독립군단 소속의 독립군 유격대는 수시로 국내진입 전쟁을 펼쳐 일제 침략자들을 응징했다. 1920년 6월 4일 독립군 유격대는 국내로 진입하여 일본군 헌병 순찰대를 격파하는 큰 전공을 세운 뒤, 6월 6일 대한북로독군부 주력부대가 주둔해 있는 왕청현(汪淸縣) 봉오동(鳳梧洞)으로 향했다. 봉오동은 마치 삿갓을 뒤집어 놓은 모양의 지형으로 들어올 수 있는 입구가 하나였고, 나머지는 산으로 둘러싸여 있어서 외부의 공격을 방어하기에는 최적의 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