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국가유산청(청장 최응천)과 국가유산진흥원(원장 이귀영)은 <2025년 국가무형유산 기능보유자 합동공개행사 - ‘손으로 빚은 시간’>을 국가무형유산전수교육관 별관 3층 전시장 ‘올’에서 연다. 행사는 6월 26일부터 7월 12일까지 매주 목~토요일에 열린다. ‘국가무형유산 공개행사’는 무형유산을 널리 알리고, 보전과 전승을 활성화하기 위해 국가무형유산 보유자들이 기량을 선보이는 자리이다. 이번 공개행사는 한자리에 모이기 어려운 국가무형유산 10개 종목*의 보유자 13명이 함께 참여하는 특별한 합동공개행사로 주목된다. * 합동공개행사 참여 10개 종목: 갓일, 망건장, 탕건장, 궁시장, 매듭장, 침선장, 불화장, 완초장, 소목장, 목조각장 이번 행사는 국가무형유산 보유자들의 작품을 관람하는 것뿐만 아니라, 공예품 제작 과정을 직접 볼 수 있는 소중한 기회가 될 것이다. 평소 접하기 어려운 말총 공예, 완초 공예 등의 전통 공예 기술을 관람객이 직접 체험해볼 수 있다. ▲ 첫째 주(6.26(목)~6.28(토))에는 갓일 강순자 보유자, 망건장 강전향ㆍ전영인 보유자, 탕건장 김혜정 보유자, 궁시장 김윤경 보유자의 시연을 볼 수
[우리문화신문=금나래 기자]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인촌, 이하 문체부)는 국립국악원, 한식진흥원,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지방자치단체, 현지 문화예술기관 등과 협력해 25개국 26개 재외 한국문화원을 중심으로 한복, 공예, 전통공연, 한식 등 다양한 한국 전통문화 행사를 연중 개최한다. 유럽에서는 한복, 전통공연, 한지, 아시아에서는 공예, 국악, 진주 비단, 미주에서는 씨름, 나전칠기, 한식 등 다양한 전통문화 콘텐츠 선보여 먼저 유럽의 중심에 있는 주벨기에유럽연합한국문화원에서는 3월부터 5월까지 ‘한복 온 더 로드’ 사진전을 개최한다. 브뤼셀, 앤트워프, 디낭 3개 도시의 주요 명소를 배경으로 한복을 입은 현지인들의 모습을 담은 작품 21점을 통해 한복의 아름다움을 유럽에 알린다. 독일에서는 8월, ‘탈&춤–가무의 나라, 대한민국 그 흥과 신명의 디엔에이(DNA)’ 공연을 열어 전통 탈춤, 태평무, 가야금 연주 등 다채로운 무대를 선보인다. 카자흐스탄에서는 11월에 ‘한국의 악가무’ 행사를 통해 현지인들에게 피리, 대금, 해금 등 한국 전통공연을 접할 기회를 제공한다. 복원재로서의 한지의 우수성을 알리는 행사도 진행한다. 이탈리아에서는 6월에 국립
[우리문화신문=윤지영 기자]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원장 장동광, 아래 공진원)은 1월 15일(수)부터 2월 11일(화)까지 문화역서울284 1층에서 《공예행: 골골샅샅, 면면촌촌(Craft Journey, all over the place, everywhere)》을 연다. 《공예행: 골골샅샅, 면면촌촌》은 우리나라 곳곳의 공예를 여행에 빗대어 풀어낸 전시다. 공예가의 손을 거쳐 지역성이 담긴 전통공예의 값어치와 오늘날 새롭게 이어지는 변화에 따른 공예의 재해석을 조망한다. 전통과 현대의 만남을 주제로 공예가 29명의 모두 68점을 소개한다. 1층 전시장은 전통공예의 지역성을 담은 7개의 공간으로 구성된다. 전시의 시작을 알리는 문화역서울284의 중앙홀을 기점으로 우리나라 전국을 거쳐 여행의 마지막 묘미인 특별장터가 종점이 되어 다시 중앙홀로 돌아오게 된다. 출발했던 곳으로 결국 다시 돌아온다는 여행의 속성처럼, 일상에서 시작했던 공예의 다양한 변주를 발견하고, 다시 공예의 본질인 쓰임으로 돌아오는 일련의 과정을 내포하고 있다. 전시의 부제인 ‘골골샅샅 면면촌촌’은 전국 방방곡곡을 의미하며, 문화역서울284라는 옛 서울역에서 떠나는 공예여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