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국립광주박물관(관장 최흥선)은 을사년(乙巳年) 푸른 뱀의 해 ‘설’을 맞아 시민들이 함께 즐길 수 있는 다채로운 문화행사를 마련했다. 이번 행사는 1월 28일(화), 30일(목) 이틀 동안 아침 10시부터 저녁 5시까지 국립광주박물관 전시관과 교육관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전시관을 찾은 관람객은 복주머니 임무 잔치에 참여하고 인증하면 복주머니에 담긴 식용금박(티골드)를 받을 수 있다. 또한, 특별전 <영원한 여정, 특별한 동행> 관람 후 국립광주박물관 누리소통망(SNS)를 구독(팔로우)하고 게시물을 올리면 연 꾸미기와 연날리기 체험에 참여할 수 있다. 교육관에서는 나전칠기 열쇠고리 만들기 체험(1.28.), 다식 만들기 체험(1.30.)이 각각 운영된다. 이번 체험 프로그램은 전남대학교 동아리 ‘무영’이 무형유산 후계자와 협업해 제작한 꾸러미를 활용한다. 후계자들이 현대인의 취향에 맞추어 재해석한 꾸ᄅᅺ미를 통해 전통문화의 색다른 매력을 느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프로그램별 준비된 재료 수량은 200개로 제한되어 있어 조기 마감될 수 있다. 전시관과 교육관에서 진행되는 체험 프로그램 모두 참여할 수 있으며, 모든 행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국립광주박물관(관장 최흥선)은 겨울방학을 맞이한 초등학생 동반 가족을 대상으로 특별전 연계 교육 프로그램 <토우야 반가워!>를 운영한다. 이번 교육은 특별전 <영원한 여정, 특별한 동행: 상형토기와 토우장식 토기>의 연계 교육으로 2025년 1월 7일부터 23일까지 매주 화, 목, 토요일 낮 2시부터 90분 동안 진행된다. 교육의 전반부는 다채로운 상형토기와 생생한 토우 장식들을 통해 고대인들이 먼 길을 떠나는 소중한 이에게 주는 물건과 이야기들을 살펴보는 이론 수업으로 진행된다. 이어서 천연점토를 활용해 자신에게 소중한 일상의 순간을 가족과 함께 만들어 보는 체험활동을 한 후 특별전을 자율 관람하는 것으로 마무리된다. 교육 참여 신청은 국립광주박물관 누리집(https://gwangju.museum.go.kr/)에서 사전 접수를 통해 할 수 있으며, 회당 30명씩 선착순으로 마감된다. 또한, 박물관에서는 더 많은 어린이가 특별전을 즐길 수 있도록 전시실에 특별전 연계 활동지를 비치한다. 활동지에 포함된 엽서를 작성하여 전시관 안내창구에 제출하면 선착순 600명에게 천연점토 교구를 제공한다.
[우리문화신문=윤지영 기자] 국립광주박물관(관장 최흥선)은 특별전 〈영원한 여정, 특별한 동행: 상형토기와 토우장식 토기〉를 2024년 11월 12일부터 2025년 3월 10일까지 연다. 이번 전시는 2023년 국립중앙박물관이 열었던 특별전의 두 번째 순회전시로, 신라ㆍ가야의 토기에 나타난 고대 장송의례를 소개한다. 상형토기와 토우장식 토기는 죽음 이후에도 편안한 삶이 계속되기를 바라며 죽은 이와 함께 무덤에 넣어진 의례용품들이다. 이번 특별전에서는 국보인 경주 계림로 출토 토우장식 항아리가 처음으로 광주를 찾아온다. 또 최근 발굴한 해남 읍호리 고분군 출토 부뚜막모양 토기도 새롭게 복원하여 선보이며, 고 이건희 회장이 기증한 말모양 뿔잔도 전시실에서 만날 수 있다. 전시는 크게 2개의 주제로 구성된다. 1부는 ‘영원한 삶을 위한 선물, 상형토기’다. 이 그릇은 사람, 동물, 사물을 본떠 만든 토기로 술과 같은 액체를 담거나 따를 수 있어 제의에 사용한 것으로 보고 있다. 우리에게 친숙하면서도 상서로움과 권위 등을 상징하는 다채로운 상형토기를 만나 볼 수 있다. 2부는 ‘헤어짐의 이야기, 토우장식 토기’다. 이 그릇은 작은 흙인형인 토우를 토기 겉에 부착하여
[우리문화신문=윤지영 기자] 국립광주박물관(관장 최흥선)은 11월 1일부터 상설전시관 역사문화2실에서 최근 기증받은 의재(毅齋) 허백련(許百鍊, 1891∼1977)의 <사군자도> 1건 4점과 「신여량 밀부유서」를 비롯한 조선시대 서화와 고문서 6건 9점을 새롭게 선보이고 있다. 이번 교체전시에서 공개한 허백련의 <사군자도>는 지난 8월 박물관이 기증받은 것으로, 기증자 정춘자 선생은 오랜 세월 소장하였던 스승 허백련의 작품을 영구 기증하였다. 이 작품은 1963년 서울에 살면서 전통 서화를 배우고 싶었던 기증자가 허백련이 대한민국미술전람회 심사를 위해 소전(素筌) 손재형(孫在馨, 1902~1981) 등과 함께 서울 옥인동 숙소에 머물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 서화를 배우고자 직접 찾아갔고, 그 정성에 감동한 허백련이 정춘자 여사에게 선물한 작품이다. 이렇게 맺은 인연으로 광주에 거주하는 스승은 서울의 제자에게 오랜 기간 우편으로 주고받으며 서화를 가르쳤고, 제자는 스승과 나누었던 기록과 작품들을 우편 봉투 하나 버리지 않고 50여 년간 보관하였다. 이후 제자는 지난 2023년 9월 국립광주박물관에서 열린 특별전 ‘애중, 아끼고 소중히 아낀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국립광주박물관(관장 최흥선)은 지난 8월 12일에 열린 어린이 문화유산 그리기 대회의 수상작을 전시하는 「어린이 문화유산 그리기 대회 우수작품전」을 10월 26일(토)부터 12월 8일(일)까지 전시관 2층 다목적실에서 44일 동안 열 예정이다. 이번 전시에는 창의력, 묘사력, 표현력을 기준으로 심사한 으뜸상 3명, 버금상 6명 및 솜씨상 20명, 꿈나무상 37명 등 66명의 수상 작품이 전시된다. 시상식은 10월 26일 국립광주박물관 대강당에서 진행되었다. 최고상인 으뜸상은 박서연(광주동초등학교 4학년)의 ‘당포전양승첩도의 해전 이야기’, 문가윤(치평초등학교 2학년)의 ‘찻그릇 사자 모양 연적’, 전연재(계림초등학교 1학년)의 ‘분청사기 물고기 무늬 편병’이 뽑혔다. 심사는 교수와 관련 전문가들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이 맡았으며, 심사에 참여한 위원들은 “문화유산에 대한 깊은 이해와 창의력이 돋보이는 작품들이 많았다”라며 “대회의 오랜 역사와 전통에 걸맞게 뛰어난 작품들이 출품되었다”라고 평했다. 덧붙여서 “어린이 문화유산 그리기 대회는 단순히 그림을 그리는 행사를 넘어서, 어린이들이 우리 문화유산의 값어치를 이해하고 직접 표현하는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국립광주박물관(관장 최흥선)은 오는 9월 26일(목) 낮 1시부터 국립광주박물관 대강당에서 “광주 충효동 분청사기 재조명” 학술대회를 연다. 학술대회는 기조강연과 1부 <광주 충효동 가마터 운영과 현재>, 2부 <광주 충효동 분청사기의 특징>으로 구성된다. 먼저 충북대학교 강경숙 교수가 ▲광주 충효동 발굴의 60년 궤적을 살펴보는 기조강연을 할 예정이다. 1부는 ▲광주 충효동 가마의 운영시기 - 층위별 시기 검토(박형순, 국가유산청) ▲소비유적 출토 충효동 분청사기 일고찰(최명지, 국립광주박물관) ▲광주 충효동 요지 정책현황 및 정비과제(박영재, 광주광역시)를 주제로 발표를 진행한다. 2부는 ▲광주 충효동 출토 명문 분청사기의 특징과 의미 -공납용 명문 분청사기를 중심으로(박경자, 국가유산청) ▲15세기 충효동 분청사기와 조선 왕실과의 관계(안세진, 고려대학교) ▲광주 충효동 출토 분청사기 제기의 출토 현황과 성격(김현정, 국립중앙박물관)에 대한 주제 발표가 예정되어 있다. 주제발표를 마치면 충북대학교 강경숙 교수를 좌장으로 발표자들과 김윤희(국가유산청), 박정민(명지대학교), 권혁주(민족문화유산연구원), 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