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이번에 발표되는 드로잉은 풍경 드로잉으로 국내 편이다. 전국8도(도서포함)를 여행하면서 대부분 즉석에서 그린 것들이다. 사실 내가 드로잉을 하는 첫 번째 이유는 손의 감각을 지속해서 유지하기 위함이다. 자동차도 오래 세워두면 녹이 나듯이 손도 머리도 안 쓰면 퇴보되는 것이다.” ‘손도 머리도 안 쓰면 퇴보되는 것이다’ 라는 말에 정수리 한 대를 맞은 듯, 정신이 번쩍 든다. 이어 김명식 작가의 말은 이어진다. “두 번째 이유는 드로잉 자체만으로 한 예술의 장르다. 따라서 작가만의 독특한 개성이 강조된다. 내 경우 대상을 한번 보고 꼭 필요한 부분만 선택하되 빠른 필치로 그려나간다. 이때 현장의 느낌을 최대한 살리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면서 뭔가 망설여지면 이미 그것은 작품으로서 가치는 실종된 것이다.” ‘그리면서 원가 망설여지면 이미 그것은 작품으로서 가치는 실종된 것이다.’ 다시 한번, 얻어맞은 기분이다. ‘시인’이라는 허울 속의 나를 두고 하는 말 같아, 전시장 입구에서부터 ‘자기반성’의 마음으로 작품들을 살펴보았다. 전시장 안에는 초록빛으로 가득하다. 시골 논밭은 여름에서 가을로 들어선 듯 군데군데 노란빛도 어우러져 화사하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춘원 이광수(李光洙)의 궁정의 악공(樂工)과 민간의 광대(廣大)들이야말로 민족음악이란 유산을 전해 온 공로자들이라는 이야기, 사회는 광대 예술의 진가를 모르고, 또 광대는 자기의 품격을 보전하려는 자각과 수양이 부족하다는 《조선창극사》의 저자, 상곡의 이야기, 그들의 한마디, 한마디가 오늘을 미루어 100년 전 상황을 되돌려 보는 듯하여 더욱 안타깝다는 이야기했다. 금주에는 ‘파농(跛聾)’을 쓴 김명식(金明植)의 이야기다. 그는 일본 와세다 대학을 졸업한 사람으로 유학 기간에, 아시아 지역의 피압박 국가 청년들로 구성된 국제적 반일단체인 <신아 동맹단>에서 활동하다가 귀국하였다. 그는 동아일보에서 기자 생활을 하던 중, 필화(筆禍)사건에 연루되어 함흥형무소에서 복역하였는데, 이때 얻은 휴유증으로 인해 평생 장애를 안고 산 사람으로 알려져 있다. 그가 쓴 《조선창극사》 서문(序文) 가운데 한 구절이다. “이러한 현실에 있어서 음률이 파괴되고, 악사(樂士)가 자취를 감춘 것은 필연이다. 그리고 가(歌)와 시(詩)가 분리되어 시인과 가인(歌人) 간에 아무런 교통이 없게 되어 시인이 전성할 시대에 있어서도
[우리문화신문= 이윤옥 기자] "작업실로 가셔서 차 한잔 나누며 이야기를 하시지요. 이 매실차는 제가 집 텃밭에 심어 가꾼 매실로 담근 차입니다.” 은은한 노란빛 매실차를 손수 찻잔에 따라 준 이는 서양화가 김명식 화백이다. 작업실 큰 유리창이 액자처럼 보이는 5월의 정원이 아름답다. 김명식 화백은 용인시 처인구에 작업실과 아담한 미술관인 ‘김명식 아트센터’ (관장 김희종)를 마련하여 왕성한 작업을 하고 있는 칠순의 현역 작가다. 사흘 전 (4일, 토요일) 낮 1시, ‘김명식 아트센터’를 함께 찾은 이는 미국 LA에서 잠시 고국을 방문 중인 대한인국민회 전 이사장을 지낸 배국희 (81) 씨였다. “이 선생님, 사실 꼭 가보고 싶은 곳이 있는데 함께 가 주실 수 있는지요? 숙소에서 좀 먼 곳입니다만...” 사실 서울에서 용인은 그렇게 먼 곳이 아닌데도 이날은 어린이날 연휴를 앞둔 주말이라 길이 막혀 아침 10시, 인사동 호텔을 출발한 지 무려 3시간 이상을 승용차로 달려 ‘김명식 아트센터’에 도착했다. “김명식 화백의 그림 가운데 저는 ‘집 시리즈’를 좋아합니다. 김 화백의 ‘집 시리즈’들은 무어라 할까? 그림을 바라다보고 있으면 마음이 그렇게 평온할 수가 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