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전라남도가 2월 근세부터 근대의 역사를 체험할 여행지로 목포근대역사관과 동본원사, 강진 다산초당과 영랑생가, 해남 대흥사와 해남윤씨 녹우당 일원, 영암 도갑사와 구림마을을 추천했다. 전남은 올해부터 145만 구독자를 보유한 국내 최대 여행 커뮤니티 '여행에미치다' 채널을 통해 꼭 가봐야 할 여행지 4곳을 달마다 꼽아 홍보한다. 이번에 꼽힌 목포는 개항 이후부터 당시 흔적이 있는 역사적 명소가 가득하다. 1897개항문화거리에 근대식 가옥, 상점 등 건축물이 남아 있다. 목포근대역사관은 목포의 시작부터 근대역사까지 살펴볼 역사전시관이다. 동본원사는 1930년대 지어진 일본 불교 절이다. 일본 목조 불당 건축양식의 건물이다. 2010년 오거리 문화센터로 개관해 현재 문화행사, 전시공간으로 운영되고 있다. 강진에선 조선시대 실학과 문학적 감성을 느낄 수 있다. 다산초당은 조선 후기 실학자 정약용이 유배 생활을 하며 '목민심서'를 집필한 장소로 다산의 철학과 조선시대 사색문화를 경험할 수 있다. 영랑생가는 한국 서정시의 거장 김영랑이 어린 시절을 보낸 곳이다. 이곳에는 시의 소재가 됐던 샘, 감나무, 장독대 등이 남아 있다. 고려청자박물관
[우리문화신문=최우성 기자] 녹우당(綠雨堂)은 해남에 있는 고산 윤선도(1587 ~ 1671)가 살던 고택이다. 녹우당을 처음 지은 사람은 윤선도의 4대 조부인 효정(1476~1548)으로 이 집은 16세기에 지어진 남도지방의 양반가옥이다. 당시 집들은 남자들이 주로 쓰는 공간으로 사랑채가 앞에 있고, 여자들이 주로 쓰는 공간 안채는 사랑채 뒷편에 있으며, 집안 옛 조상들의 신위를 모시는 사당은 집 맨 뒷편에 지었다. 녹우당의 현재모습은 효종의 스승이기도 하였던 윤선도에게 효종이 내려준 수원 집을 이곳으로 옮겨 지은 것이다. 집을 옮겨지은 때는 현종 9년(1666)으로 수원에 있던 집을 해체하여 목재를 뗏목에 싣고 서해바다를 돌고 돌아서 이곳에 왔다고 하니, 그 일 또한 쉽지 않은 일이었을 것이다. 이렇게 지은 것이 녹우당 사랑채다. 녹우당 사랑채는 "ㅡ"(일자형)으로 "ㄷ" 자 형 안채 앞에 지음으로써 이 집은 :ㅁ"자형 집이 되었다. 녹우당 출입은 남자들은 주로 사랑채 마당 정면에서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맨 바깥 행랑채 옆에 낸 동쪽 솟을 대문으로 들어가는데, 대문을 들어서서 사랑마당에서 오른쪽으로 돌아 보면 "ㅡ"자로 길게 펼쳐진 사랑채가 있는 것이다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석양이 좋다마는 / 황혼이 가까웠다 / 배 세워라 배 세워라 / 바위 위에 굽은 길이 / 솔 아래 비껴있다 / 지국총 지국총 어사와 / 푸른 나무숲 꾀꼬리 소리 / 곳곳에 들리는구나 - 윤선도의 <어부사시사> 가운데 여름 노래 - 늦여름의 매미소리가 고즈넉한 윤선도 고택에 낮게 깔린다. 윤선도 고택의 백미인 녹우당(綠雨堂, 국보)이란 이름은 “빗소리인 줄 알고 잠에서 깨어보니 빗소리가 아니고 떨어지는 나뭇잎 소리인 것을 알고 '푸른비가 내린다’라는 뜻으로 윤선도의 증손, 공재 윤두서의 절친인 옥동 이서가 이곳에 머물면서 당호(堂號)를 지어주고 현판을 써준 것”으로 오우가, 어부사시사 등 뛰어난 작품을 남긴 조선시대 문장가 고산 윤선도(尹善道, 1587~1671)가 살던 고택의 사랑채 이름이다. ‘윤선도 고택’이라고 하면 ‘녹우당’을 떠올리는 사람들이 많은데, 아쉽게도 현재 ‘녹우당’은 일반인 출입이 어렵다. 종택을 지키던 어르신께서 병환으로 서울에서 요양중이라 살림집(녹우당은 안채와 붙어 있어 종손의 살림집으로 사용) 관리차원에서 그러한 조처를 한 듯하다. 그러나 운 좋게(?) 기자는 어제(5일), 녹우당에 들어가 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