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단국대 국악과에서 1980년대 초, 타악(打樂) 전공과 경서도 민요 전공을 신설하게 된 배경 이야기를 하였다. 일반적으로 대학 국악과의 전공과목은 기악(器樂)이 중심이었다. 이에 견줘 성악 분야는 그 뒤에 가곡(歌曲)과 판소리, 경서도창(京西道唱) 전공들이 신설되면서 해당 분야가 확대되었고, 이어 타악(打樂)이나 국악이론, 국악작곡 등도 전공 교과목으로 개설되었다. 특히, 타악 전공의 중요성은 벌써부터 인지되고 있었으나, 정작 전공분야로는 매우 늦게 선정이 된 셈이다. 서양음악의 지휘 형태와는 달리, 정악(正樂)과 민속악(民俗樂)합주에 있어서 지휘자의 역할은 바로 장고나 북 중심인데도, 타악기가 전공분야로 자리 잡지 못한 상황은 어떻게 해석해야 좋을지 모를 일이다. 뒤늦게 타악 전공을 포함하게 된 것은 어쩌면 시대의 요청이 아닌가 한다. 현재, 각 대학에서의 세부 전공 분야는 조금씩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대체로 기악분야로는 피리, 대금, 해금, 거문고, 가야금 외에 소금과 단소, 아쟁, 타악(장고ㆍ꽹과리)등의 기악 분야 전공과 성악분야의 정가, 판소리, 경서도창, 그리고 국악이론과 작곡 분야가 전공 교과목으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2011년 4월 1일 시작한 [서한범 교수의 우리음악 이야기]가 오늘(10월 8일)로 700회가 되었습니다. 그동안 <우리문화신문> 독자에게 쉬운 국악속풀이를 해주신 서한범 교수님께 <우리문화신문>은 독자 여러분과 함께 엎드려 고맙다는 말씀을 드립니다.(편집자 말) 『서한범의 우리음악 이야기』가 이번 주로 700회를 맞는다. 그동안 우리음악 이야기에 관심을 보내주시고, 댓글도 달아 주신 <우리문화신문> 독자 제위께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글쓴이가 지난 2년여, 601회~699회까지 소개한 이야기들은 대략 다음과 같은 내용들이었다. 지운하와 인천 남사당패 관련 이야기, 임방울 국악제와 2022년 대상을 받은 최잔디의 판소리 심청가 이야기, 고 백인영의 제자들이 올리는 10주기 추모제 관련 이야기, <춘천시립국악단>의 창단공연과 앞으로의 활동방향 이야기, 경기소리 과천대회 이야기, 경기 12잡가 중 어려운 노래, ‘적벽가’로 장원한 장은숙의 이야기, 고 성창순의 제자 어윤경이 스승을 기리며 부르는 ‘심청가’ 이야기, 조선 춤 방에서 만난 민천식의 ‘화관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어제 9월 6일 저녁 7시 경기 용인시 수지구 죽전로 152. 단국대학교 난파음악관 콘서트홀에서는 창설 40돌 기림 단국대학교 국악과 동문연주회가 열렸다. 무려 40성상. 대학교 국악과가 창설한 지 40년이 된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특히 단국대학교 졸업생 및 재학생들로 이루어진 ‘천웅국악관현악단’은 1994년 초대 이상룡 지휘자와 40여 명의 단원으로 창단되어 30년 세월을 캐나다 퀘백 드럼 몬드빌축제, 프랑스 이태리 초청 국제 민속축제, 금산세계인삼엑스포 초청연주 등 나라 안팎 공연을 꾸준히 해온 국악관현악단으로 세계인의 음악으로 도약하기 위해 정진하고 있는 악단으로 이번 공연의 중심이 되었다. 공연은 백대웅 작곡의 <남도아리랑>을 임형묵 지휘자의 지휘로 힘차게 막을 열었다. 이후 공연이 끝날 때까지 ‘천웅국악관현악단’은 권용석, 장문성, 임형묵, 여승헌, 이건석 지휘자로 넘겨 가면서 청중들을 사로잡았다. 또한 국악 공연에 흔히 등장하지 않는 퉁소와 생황협주곡이 ‘천웅국악관현악단’과 호흡을 맞추어 청중들의 주목을 받았다. 단국대학교 국악과를 졸업한 이원희 퉁소 연주자는 함경도 지역의 민요 ‘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