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소만 지나 넘치는 것은 어둠뿐이라는 듯 이제 무성해지는 일 밖에 남지 않았다는 듯 나무는 그늘로만 이야기하고 그 어둔 말 아래 맥문동이 보랏빛 꽃을 피우고 위는 나희덕 시인의 <소만>이라는 시 일부인데 오늘은 24절기 가운데 여덟째로 ‘소만(小滿)’입니다. 소만이라고 한 것은 이 무렵에 햇볕이 풍부하고 만물이 점차 자라 가득 차기[滿] 때문이지요. 또 이때는 이른 모내기를 하며, 여러 가지 밭작물을 심습니다. 소만에는 씀바귀 잎을 뜯어 나물해 먹고 죽순을 따다 고추장이나 양념에 살짝 묻혀 먹는 것도 별미입니다. 입하와 소만 무렵에 행했던 풍속으로는 “봉숭아 물들이기”가 있습니다. 봉숭아(봉선화)가 피면 꽃과 잎을 섞어 찧은 다음 백반과 소금을 넣어 이것을 손톱에 얹고 호박잎, 피마자잎 또는 헝겊으로 감아 붉은 물을 들입니다. 이 풍속은 붉은색[赤]이 악귀를 물리친다는 데서 유래한 것으로 동지팥죽, 산수유열매, 혼인하는 신부가 찍는 연지곤지도 같은 풍속이지요. 첫눈이 내릴 때까지 손톱에 봉선화물이 남아 있으면 첫사랑을 만나게 된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또 이 무렵엔 양식이 떨어져 힘겹게 연명하던 ‘보릿고개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보리여울(麥灘) - 조수삼 舂白趁虛市(용백진허시) 흰 것은 찧어서 텅 빈 시장에 나가고 殺靑充夜餐(살청충야찬) 푸른 것은 베어서 저녁을 때우네 麥嶺斯難過(맥령사난과) 보릿고개 넘어가기 어려운데 如何又麥灘(여하우맥탄) 어떻게 또 보리여울을 건너갈까? 위 시는 조선 후기 시인 추재(秋齋) 조수삼(趙秀三)이 함경도 지역을 유람하면서 그 지역에서 살아가는 백성들의 고단한 생활상과 풍속을 노래한 것 가운데 보리여울(麥灘-맥탄)이라는 곳을 지나면서 쓴 것이다. 특히 직접 눈으로 목격한 농민들의 힘겨운 생활상을 읊고 있다. 익어서 하얗게 된 보리는 찧어서 살 사람도 별로 없는 텅 빈 시장에 가 팔고, 아직 익지 않은 푸른 보리는 그것이나마 베어서 저녁을 때우는 농민들을 본다. 조수삼은 먹거리가 없어 보릿고개도 넘어가기 어려운데, 어떻게 또 보리여울을 건너갈까, 걱정하고 있다. 1833년 헌종 10년. 전국 팔도에서 수많은 유생이 과거시험을 보러 한양으로 모였다. 그런데 그 가운데서 가장 눈에 띄는 인물은 바로 83살의 노인, 조수삼이었다. 조수삼은 여러 가지 사정으로 과거시험을 보지 못했다. 그러나 그는 끝까지 포기하지 않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