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비롭고 아름다운 역사 속 보물 이야기
[우리문화신문=우지원 기자] (p.64) 견훤은 절영마를 왕건에게 바쳤다. 그런데 미래를 예언하는 책에서 다음과 같은 구절을 읽고 무척 후회를 했다. ‘절영마를 보내면 백제가 망한다.’ 고민하던 견훤은 왕건에게 사람을 보내 돌려받기를 청했다. 왕건은 웃으면서 허락했다. 《해동악부》 중에서 어떤 보물이든, 보물에는 그 시대 사람들의 애환과 사연이 녹아있다. 그러나 그 어떤 귀중한 보물이라도 세월을 견디기란 쉽지 않다. 천 년이 넘는 세월과 함께 전설로 묻혀버린 보물도 많다. 그렇게 사라진 보물은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며 후대 사람들의 귀한 이야깃거리가 되었다. 설흔이 쓴 이 책, 《지금은 사라지고 없는 역사 속 보물 이야기》는 낙랑의 자명고, 신라의 만파식적처럼 한 번쯤 들어보았을 법한 보물과 함께 그림자보다 빠른 말 ‘절영마’, 책을 으뜸가는 보물로 여겼던 책장수 ‘조신선’처럼 생소한 보물과 인물도 다룬다. 그 가운데 특히 눈길을 끄는 부분은 ‘절영마’다. 절영마 이야기는 조선의 대학자 이익이 쓴 《해동악부》에 나온다. 《해동악부》는 우리나라의 역사적인 사실들을 시의 형식으로 쓴 글이다. 이익은 절영마 이야기를 통해 견훤의 어리석음을 비판한다. (p.65)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