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오는 7월 17일부터 7월 18일 저녁 7시 30분 서울 동대문구 홍릉로 118. 김희수아트센터 ‘SPACE 1’에서는 소리극 <죄와 벌>이 열린다. 소리로 시대를 기록하는 집단 ‘판소리공장바닥소리’와 동시대의 이야기를 새롭게 감각하는 창작집단 ‘LAS’가 만나 현실의 벼랑 끝에서 갈등하는 한 인간의 내면을 깊이 파고든다. 판소리공장 바닥소리는 오랜 시간 동안 '소리'라는 독창적인 무대 언어로 전통의 깊이와 동시대의 감각을 잇는 작업을 꾸준히 이어왔다. 이제 감각적이고 실험적인 창작으로 주목받는 창작집단 LAS와 함께, 또 하나의 새로운 지점을 향해 나아간다. 소리극 <죄와 벌>은 판소리, 인간의 호흡과 음색, 악기의 떨림, 몸짓과 정적 속에서 울리는 무형의 소리들까지 무대 위에 존재하는 모든 '소리'를 언어로 삼아, 현실의 벼랑 끝에서 흔들리는 인간의 내면을 날카롭게 마주한다. 전통과 실험, 깊이와 감각이 교차하는 새로운 무대. 그 한복판에서, 지금 다시 <죄와 벌>이 시작된다. 이 소리극의 출연진은 정지혜, 강나현, 김희연이 오르며, 연주에는 백하형기, 김범식, 양성태가 맡는다. 원작 표도르 도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왔구나 왔소이다. 영영 소식이 없는 님을 그리다 불쌍히 죽어 황천 갔던 배뱅이 혼신이 평양 사는 박수무당의 몸을 빌고 입을 빌어 오늘에야 왔소이다!” 무대에서는 평양 건달이 배뱅이혼을 불러오는 굿을 하고 있다. 어제 9월 5일 저녁 7시 30분 국립국악원 우면당에서는 국립국악원 민속악단 기획공연 ‘왔소! 배뱅’ 공연이 펼쳐졌다. 이번 공연은 1인극으로 선보였던 고 이은관 명인의 ‘배뱅이굿’을 국립국악원 민속악단의 여가0여 명의 단원이 배역을 맡아 참여하는 소리극 무대였다. 우리는 그동안 이은관 명창과 그의 제자인 박준영, 유상호 명창의 소리로 배뱅이굿을 들어왔다. 이은관 명창은 홀로 무대에 올라 걸쭉한 재담으로 청중들을 꼼짝 못 하게 했었다. 그런 배뱅이굿을 국립국악원 민속악단(유지숙 예술감독)이 처음 소리극 무대로 선보인 것이다. 서도소리 명창으로 잘 알려진 유지숙 예술감독은 원작의 매력을 살리면서 다채로운 민속악단의 자원을 활용해 음악성을 풍성하게 채웠으며, 특히 유지숙 예술감독은 고 이은관 명인과 함께 배뱅이굿을 공연하기도 해 본래 노랫말의 맛과 멋을 깊이 잘 알고 있는 데다가 이번 공연의 대본을 직접 쓰고
[우리문화신문=정석현 기자] 국립국악원 민속악단이 웃음과 해학이 넘치는 기획공연으로 9월 첫 주 관객을 맞이한다. 국립국악원(직무대리 김명석) 민속악단(예술감독 유지숙)은 오는 9월 4일(수)과 5일(목) 이틀간 국립국악원 우면당에서 기획공연 ‘왔소! 배뱅’을 선보인다. 이번 공연은 1인극으로 선보였던 고 이은관 명인의 ‘배뱅이굿’을 국립국악원 민속악단의 여러 단원이 배역을 맡아 참여하는 소리극 무대로 마련했다. 본래 ‘배뱅이굿’은 서도지역에서 전승되는 재담소리로, 봉건적인 신분 제도와 사회를 풍자하는 내용을 다양한 무가(巫歌)와 애잔한 서도 선율을 더해 1인 창극으로 선보이는 국가무형유산이다. 극의 내용으로는 스님과 사랑에 빠진 배뱅이가 사랑을 이루지 못하고 목숨을 잃자 배뱅이의 부모가 딸의 혼을 위로하기 위해 각 지역 무당을 불러 굿을 하게 되는데, 이 소식을 들은 평양 건달이 엉터리 굿으로 배뱅이 부모의 돈을 가져간다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서도소리 명창 민속악단 유지숙 예술감독, 배뱅이굿 노랫말의 맛과 음악의 멋 살려 국립국악원 민속악단이 ‘배뱅이굿’을 소리극 무대로 선보이는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서도소리 명창으로 잘 알려진 유지숙 예술감독은 원작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