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최우성 기자] 불교가 이 땅에 들어온 이래 헤아릴 수 없이 많은 부처상과 보살상이 조성되었다. 우리가 부처와 보살상을 조성하는 까닭은 깨달은 사람의 모습을 예술적 아름다움으로 표현하여 그가 설파한 진리를 깨닫고자 함이다. 더 나아가 아직 깨달음을 얻지 못한 삶을 사는 현실에서 부처님 처럼 또는 문수보살 등의 보살님과 같은 삶을 살게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불상이 조성된 것이기도 하다. 이런 의미에서 시작된 불상 조성은 처음에는 그리이스 예술가들의 영향을 받아서 인도의 서북쪽 간다라지방(현 파키스탄)에서 시작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불교가 이웃나라로 전파함에 따라 부처님의 가르침과 함께 불상의 제작방법도 함께 전해지게 되었고, 이를 전해 받은 나라들은 전해받은 조성기법과 원칙에 자신들이 생각하는 기법들을 추가하고 또 자신들의 모습과도 비슷한 모습의 불상들을 조성하기에 이르렀다. 한국의 불상들도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서 서역 실크로드를 거치고 중국을 거쳐서 들어왔고, 그렇게 들어온 깨달은 부처님의 모습들이 불국토를 이루고자 하였던 선조들에 의하여 많이 조성되었다. 그런데 같은 원칙과 기법으로 조성한다고 하더라도 시대에 따라서 또 조성하는 조각가
[우리문화신문=최우성 기자] 오는 5월 8일 부천 아리솔갤러리에서 불교예술의 아름다움을 사진으로 구현하는 '사진 동우회 심상' 주최, 제35회 수미단(불단)을 주제로 한 전시회가 마련되어 있어 세간의 주목을 받고 있다. 한국문화를 아름답게 표현하는 것 가운데 불교문화를 빼놓고는 말 할 수 없을 것이다. 불교는 본래 인도에서 출발하여 아시아 전지역으로 퍼져 나갔고, 그 과정에 우리나라에도 전해져 한국 고유의 문화와 어우러져 찬란하게 꽃피웠다. 불교 예술하면 건축, 조각, 회화 등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그 가운데 '사진 동우회 심상' 에서는 이번에 수미단만을 주제로 뜻깊은 전시회를 연다. 수미단이란 불교를 모르는 사람들에게는 생소한 낱말로 이는 불전(佛殿)에서 부처님을 모신 바로 아래 평평한 탁자 같은 단을 말한다. 불교용어인 이 말의 유래를 보면, 세계의 중심에는 높이를 헤아릴 수 없이 높은 산이 있는데 이를 수미산이라고 부르며, 부처님은 그 수미산의 위에 펼쳐진 극락세계에 계신다는 뜻에서 생겼다. 상식적으로 수미산이라면 뾰족할 것 같지만, 사실 불전에서는 목조로 만든 납작한 수미단으로 표현하고 있으며 무한한 상상력을 발휘하여 세상의 모든 귀한 것들로 가득
[우리문화신문=최우성 기자] 닷집은 궁궐 정전의 왕좌 위나 절 대웅전 불좌 위 천장에 장식한 집을 부르는 말이다. 그 형태는 다양하여 하늘에 지은 집처럼 보이기도 하며 하늘을 날아다니는 용들이 똬리를 틀고 있는 모습이다. 닷집은 부처님이 있는 곳을 극락과 같은 천상의 세계로 상징화하는 것으로, 매우 호화로울뿐 아니라 여러 층으로 만들며 공포장식도 본 건물보다 화려하게 겹쳐올렸다. 닷집은 건축의 양식을 따르지만 이를 만든 장인의 솜씨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발전하고 변화하였다. 이번 전시회는 한국의 다양한 불교전각에 있는 닷집만을 모아서 볼 수 있는 전시회로, 닷집의 화려함에 대한 좋은 공부가 될 것이다. 관심있는 분들의 많은 관람을 추천한다. 본 사진전은 1차 2023년 4월 12일 ~ 4월 18일 부천 아리솔 갤러리, 2차는 2023년 5월 20일 ~ 5월 27일 부천 석왕사 갤러리에서 전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