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여성 미술의 동시대적 의미
[우리문화신문=윤지영 기자] 지난해 9월 3일부터 오는 3월 3일까지 서울 종로구 삼청로 30.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는 <접속하는 몸: 아시아 여성 미술가들> 전시가 열리고 있다. <접속하는 몸‒아시아 여성 미술가들>(아래 ‘속하는 몸’)은 ‘신체성’의 관점에서 1960년대 이후 아시아 여성 미술의 동시대적 의미를 새롭게 살펴보고자 한다. 이번 전시는 나라의 경계를 넘어 아시아 현대미술을 비교 연구ㆍ전시해 온 국립현대미술관의 아시아 미술 프로젝트의 하나로 마련되었다. 신체는 다양한 이데올로기와 상황이 교차하며, 차이와 다양성이 드러나는 장소이기도 하다. 이 주제를 함께 생각해 보고자 아시아 11개국 여성 미술가들의 작품 130여 점이 모였다. ‘삶을 안무하라’, ‘섹슈얼리티의 유연한 영토’, ‘신체ㆍ(여)신ㆍ우주론’, ‘거리 퍼포먼스’, ‘반복의 몸짓‒신체ㆍ사물ㆍ언어’, ‘되기로서의 몸‒접속하는 몸’ 등 여섯 개의 장으로 구성된 이번 전시는 다양한 의미로 정체성을 재구성해 온 다종ㆍ다성의 신체에 관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이는 아시아 여성을 서구 남성의 타자로 바라보는 시각에서 벗어나 다층적으로 구현된 주체로 바라보고자 하는 전시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