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지난주까지 몇 차례 단국대 국악과 동문들이 펼친 음악회와 관련하여 내가 몸담고 있던 당시의 이야기들, 예를 들면 1980년대 초, 타악(打樂) 전공과 경서도 민요 전공을 신설하게 된 배경 이야기, 1999년도에는 서울의 한남동 교정으로 이전을 하면서 학과의 활동이 더욱 활발해졌으며 뜻을 같이하는 선후배 및 큰 제자들과 함께 <한국전통음악학회>를 설립하고, 국악학 학술대회의 개최, 학술지 발간, 국제적인 학술교류를 해 왔다고 이야기했다. 특히 기억에 오래 남는 활동으로는 미국의 <UCLA>와 공동으로, ‘Korean Music Symposium’을 해마다 개최해 왔으며 여름에는 중국의《연변예술대학》과 정례적인 ‘학술 및 실연(實演)교류회’를 20회 이상 치러 왔다는 이야기, 또한, 2005년도부터 국가적 사업으로 시행되어 온 <국악분야 예술 강사의 지원사업>의 실행 등도 매우 보람 있는 활동이었는데, 이러한 결과는 대학 당국의 관심과 동료 교수 및 몇몇 졸업생들의 헌신적인 동참이 있었기에 가능했다는 이야기, 졸업생 제자들이 진실한 태도로 사람을 대하고 이웃을 섬기는 인품까지 갖추고 있다는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이건자가 고교와 대학의 검정고시를 통해 대학과 대학원 박사과정까지 수료했다고 이야기하였다. 공부를 못한 것이 후회되고, 세상 사람이 손가락질하는 것 같아서 더 늦기 전에 검정고시 학원에 등록하고 새벽 4시에 수업을 듣기 시작하여 고입과 대입 검정에 합격하였다는 이야기를 하였다. 그녀의 학구열이 참으로 대단하다. 그는 2002년도에 선소리 산타령의 이수자가 되었는데, 국내에서 해마다 발표되고 있는 국가무형문화재 선소리산타령, 경기지방의 소리와 서도 산타령의 정례 공연과 기획 발표회에는 반드시 참여해 오고 있다. 그러는 한편, 그는 2012년에 서울 성북구에 선소리산타령 지부를 설립하고 매해 정례 강습회는 물론 국악전반과 산타령 중심의 강의, 그리고 정례 발표회 공연 등을 통해 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국악 보급 활동에 힘써 왔다. 특히 2021년 12월 19일 <성북 아트홀>에서 열린 제9회 송연 이건자의 선소리산타령 발표회‘선녀와 놀량’은 인기리에 발표되어 코로나 정국에 지친 성북구민과 서울 시민들에게 큰 위안이 되었던 공연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뿐 아니라, 미국과 중국에서의 활동도 활발한 편이었다.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창부타령>의 노랫말은 약 50 여종 이상이 불리고 있으나 대부분은 <창부타령>만을 위하여 지어진 노랫말은 아니고, 판소리 외 여러 장르에 나오는 가사들을 함께 쓰고 있다. 소개하고 있는 노랫말은 이건자 명창이 그가 속한 보존회의 정례발표 무대나, 또는 개인적인 무대, 또는 그의 국악전수원에서 제자들에게 가르치고 있는 노랫말들을 중심으로 소개하도록 한다. 때때로 경기민요를 공연하는 무대를 보게 되면, 초심자들의 상당수는 노랫말에 대한 정확한 이해 없이, 명창의 발음만을 따라 흉내를 내는 듯, 정확성을 요하는 창자들을 만나게 된다. 비단 <창부타령>뿐 아니라, 모든 성악의 노랫말은 정확한 이해가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 그렇지 못하기 때문에 가사의 발음이나 가사의 의미를 온전히 새기지 못한 채, 부르게 되면 그 의미를 온전히 이해하기 어렵다. 또한 발음이 불분명하여 이해하기 어려울 때도 있다. 노래란 시어(詩語)를 음악적으로, 그러나 정확하게 옮기는 과정이다. 다시 말해, 노랫말 위에 고저(高低)나 장단, 기타 다양한 감정의 표현이나 기교를 넣어 그 노랫말의 의미가 음악적으로 되살아나도록 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