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상훈 전 수원대 교수] 올여름은 유난히도 더웠다. 열대야는 저녁 6시 1분부터 이튿날 아침 9시까지 기온이 25도 이상을 유지하는 현상을 말한다. 기상청에 따르면 지난 8월 25일 아침 6시 12분에 서울의 기온이 24.9도까지 내려가 8월 24일 밤은 열대야가 아니었다고 한다. 이로써 34일간 계속된 서울의 최장 열대야는 끝났지만, 올해 여름에 서울에서 열대야가 발생한 날 수는 모두 37일로 이 역시 기상 관측 이래 제1위에 해당한다고 한다. ‘님이 그리워’ 잠 못 이루는 밤이 아니고 ‘날씨가 더워서’ 잠 못 이루는 밤은 해마다 반복되며 해마다 길어질 것으로 염려된다. 이처럼 열대야가 길어지는 것은 지구가 더워지는 지구온난화 현상 때문이다. 환경학자들은 산업 혁명 이후 지구의 평균온도가 빠른 속도로 높아지는 것이 관측되자 지구온난화라는 새로운 용어를 만들었다. 인류는 과학기술의 발달로 일어난 산업혁명 이후 대량생산과 대량소비가 가능해졌다. 모든 나라에서 경제가 발전하면서 화석연료의 소비가 늘어나고 연쇄적으로 이산화탄소의 발생이 증가하였다. 이산화탄소는 이른바 온실가스로서 태양열을 붙잡아두기 때문에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높아지면 지구의 온도가
[우리문화신문=정운복 칼럼니스트] 한반도에도 공룡이 살았습니다. 1억 년 전에 100여 종의 공룡이 살았다고 하지요. 약 6,600만 년 전 지구 대멸종 시기에 모두 사라졌는데 그 사체가 오랜 세월 열과 압력을 받으면서 만들어진 것이 원유라는 설이 있습니다. 불행하게도 우리나라는 산유국이 아닙니다. 한반도에 공룡은 살았으나 그들이 원유를 만들지 못했기 때문이지요. 한반도 거주 공룡에 대해 심한 유감이 드는 까닭입니다. 기술 과학이 비약적으로 발전한 지금도 원유의 생성 이유에 대해 잘 알지 못합니다. 다만 40년 전에도 30년 뒤에 원유가 고갈될 것이라고 이야기했는데 지금도 4~50년 정도 뒤에 원유의 고갈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이는 인간이 접근하기 어려웠던 대륙이나 바다에서 계속 유전이 발견되기 때문이고 경제성이 없는 유전도 기술 발달로 채굴할 수 있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원유의 생성 원인에는 유기성인설과 무기성인설이 있습니다. 설로 존재하는 것으로 보아 확실히 단정할 수 없는 추측성 이론에 불과한 것이지요. 유기성인설은 유기물의 주검이 오랜 세월에 걸쳐 열과 압력의 영향을 받으면서 만들어졌다는 것입니다. 원유의 생성에는 일반적으로 수백만 년이 걸리는데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