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오는 9월 5일 저녁 7시 30분 서울 서초동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는 제258회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 정기연주회로 무소륵스키의 <전람회의 그림>이 연주된다. 다음 ‘클래식백과’에서는 무소륵스키의 대표적인 기악곡으로 손꼽히는 〈전람회의 그림〉에 관해 “선율의 구성이 간결하면서도 대담하고 강건한 표현과 고난이도의 기교로 이루어져 19세기의 가장 독창적인 피아노 음악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다채롭고 신선한 음악을 통해 피아니스트의 기교를 한껏 과시할 수 있는 작품으로, 관현악 편성으로도 자주 연주된다. 여러 작곡가가 이 곡을 관현악으로 편곡했지만, 화려한 색채감을 자아내는 라벨의 편곡이 가장 자주 연주된다.”라고 설명한다. 또한 음악 칼럼니스트 노승림은 “‘전람회의 그림’은 무소륵스키의 시선과 감각으로, 형식의 경계를 과감히 넘나드는 대담한 자유를 펼쳐낸다. 완성과 일탈, 질서와 파격 사이에서 오늘의 무대는 ‘고전’이라는 말의 의미를 다시 묻게 한다. 그 물음은 과거에 대한 찬사가 아니라, 지금 여기에 어떤 길을 선택할 것인가에 대한 질문이기도 하다.”라고 말한다. 이날 공연은 라벨 편곡에 의한 무소륵스키, ‘전람회의 그림’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오는 4월 22일 월요일 저녁 7시 30분에는 서울 송파구 올림픽로 ‘롯데콘서트홀’에서는 파이프오르간의 다양한 스펙트럼을 경험할 수 있는 무대, ‘카로스 타악기 앙상블’과 함께하는 <김희성 파이프 오르간 독주회>가 열린다. 파이프 오르간은 악기의 제왕이라 불릴 만큼 다양한 음색과 음악적 표현이 가능한 악기로, 오르간 독주부터 합주, 오케스트라 협연까지 할 수 있지만, 파이프 오르간이 설치되어 있는 장소의 제한성 때문에 대중들에게는 거리가 느껴지는 악기기도 하다. 이화여대 교수로 재직중인 오르가니스트 김희성은 1995년 세종문화회관 대극장에의 독주회 이후 그림, 영상, 현대무용, 재즈, 합창단, 오케스트라, 타악기 앙상블 등과 함께 하는 무대를 선보이며, 관객에게 다가가기 위한 다양한 시도를 해왔다. 이번 공연에서는 삶에서 겪게 되는 기쁨과 슬픔, 탄생과 죽음, 시련과 회복 등의 과정 이후 남은 위로와 감사를 주제로 공연을 구성하였다. 현존하는 오르간곡 가운데 가장 유명하고 익숙한 작품인 J.S. 바흐의 ‘토카타와 푸가 BW 565’로 시작되는데, 이 곡의 피날레는 새로운 세상을 힘차게 여는 느낌. 마치 사람들에게 아픔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