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 한국전통문화대학교(총장 강경환, 이하 ‘전통문화대’)는 오는 10월 29일부터 11월 3일까지 덕수궁 돈덕전 1층 기획전시실(서울 중구)에서 「제21회 전통건축학과 전통건축전」을 연다. * 개막 행사: 2024. 10. 28.(월), 14:00 / 덕수궁 돈덕전 이번 전시는 전통문화대 전통건축학과 졸업생과 졸업예정자들의 논문, 설계 등 23개의 작품과 3학년 학생들의 ‘경운궁(덕수궁) 복원설계’ 작품들을 소개한다. 부재 간 비례, 결구 형태, 이음 등 전통건축에 대한 연구 논문부터 전통과 현대가 공존하는 복합설계, 근대 문화유산의 활용을 다룬 작품들까지, 학생들의 다양한 연구와 아이디어가 담긴 작품들을 통해 전통건축의 값어치를 재조명하는 자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결구: 여러 부재가 잇거나 맞춰진 모양새 이와 함께, 전통문화대는 10월 28일 낮 1시 덕수궁 돈덕전에서 (사)한국건축가협회(협회장 한영근, 이하 ‘건축가협회’)와 전통 건축과 건축학 분야의 학술교류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식도 진행한다. 협약식에는 강경환 전통문화대 총장과 한영근 건축가협회장, 전통건축학과 교수진, 건축가협회 차기 회장단 등이 참석하며,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청장 최응천) 산하 특수법인인 전통건축수리기술진흥재단(이사장 김창준, 이하 재단)은 중요 건축문화유산에서 수습된 기둥과 대들보(대량), 기와 등의 부재를 체계적으로 복원하여 전시하고 부재 관리의 중요성을 국민에게 알리기 위해 전통건축부재보존센터(경기도 파주시, 이하 센터) 내에 상설 전시관을 조성하고, 8월 1일 낮 1시 30분 개관식을 시작으로 2일부터 일반에 개방한다. 문화재청은 문화유산 수리현장에서 나오는 전통건축부재 가운데 보존 값어치가 높은 부재를 수집ㆍ보관하고자 2017년 전통건축부재보존센터를 건립했으며, 전통건축수리기술진흥재단은 2017년부터 숭례문 화재 피해 수습부재를 비롯하여 전국의 해체수리 현장에서 거둔 전통건축 부재들을 선별ㆍ이송한 뒤 세척과 살균과정을 거친 후 센터 내 전용 수장고에 보관하고 있다. 또한, 수습된 부재들에 대한 체계적인 보존ㆍ관리와 과학적인 조사를 통하여 부재별 생애이력, 훼손원인 등의 기초자료를 구축하고 있다. 이번에 개관하는 상설 전시관은 모두 4개의 실(A, B, C, D)로 구성되었다. 먼저 ▲ A, B실 ‘역사의 흔적, 전통건축부재’에서는 기둥, 대들보(대량), 공포, 기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