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어진 음악으로 세상을 교화(敎化)한다는 뜻에서 지어진 이름이 정농악회(正農樂會)라는 점, 원로들을 모시고 창립연주회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재확인한 내용들이 훗날 후진 양성에 큰 경험과 교훈이 되었다는 점도 이야기하였다. 지금도 초심자를 비롯해, 젊은 국악인들은 쉽고 간단하게 생각하고 있는 음악이 바로 <정악(正樂)>이며, 대표적인 악곡이 ‘영산회상-靈山會相)’이라 생각하고 있겠지만, 평생을 걸고 연주해 온 원로들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정농악회 창립 발표회를 함께 준비하면서 ‘영산회상’이란 음악을 바라보는 그분들의 시선이나, 음악적 태도가 어떠했는가, 하는 점은 이제야 조금 이해할 수 있을 것 같다. 참고로, 영산회상이란 어떤 음악인가? 이 악곡은 《대악후보(大樂後譜)》에 「영산회상불보살」 7글자를 노래하던 성악곡이었으나, 그 이후로 내려오며 가사를 잃고 기악곡으로 전해오고 있다. 이 곡은 편성 악기에 따라 각각의 이름이 다르다. 현악기들이 중심이 되면 ‘현악영산회상’이 되는데, 현악기 가운데서도 거문고가 중심이 된다고 해서 ‘거문고회상’으로도 불린다. 이에 견줘 관악기를 위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메트로놈으로 측정하기조차 힘들어 인간의 일상적인 감각을 크게 초월해 있다는 음악, 처음 듣는 사람들은 곡의 느린 속도에 우선 놀라게 된다는 것이 ‘수제천’이다. 프랑스 파리 사람들은 이 음악에 기립박수를 쳤다는데 정작 한국인들은 그 이름조차도 들어보지 못했다는 ‘수제천’을 2023년 봄밤에 들을 수 있었다. 국립국악원(원장 김영운)은 정악단(예술감독대행 이건회)의 올해 정기공연으로 어제 4월 6일(목) 저녁 7시 30분, 국립국악원 예악당에서 전 국립국악원 연구실장 송지원의 해설로 <정악사색(正樂四色ㆍ思索)>을 선보였다. 국립국악원 정악단은 우리 선조들의 철학과 이념이 담긴 ‘바른 음악’인 정악(正樂)의 멋을 관객들에게 전하기 위해 정악의 백미로 꼽히는 대표작품을 공연한 것이다. 웅장하고 화려한 가락으로 나라 밖에서도 천상의 소리와 같다는 평을 받은 궁중음악 ‘수제천’, 남녀가 함께 부르는 유일한 이중창인 가곡 ‘태평가’, 선비들의 풍류음악 ‘영산회상’, 화사하고 흥청거리는 듯한 느낌을 주는 ‘해령’ 등 모두 4곡을 구성하였다. 맨 먼저 연주한 ‘수제천(壽齊天)’은 “빗가락정읍”이라고도 부르는 노래 정읍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6월 30일 목요일 저녁 7시 30분, 국립국악원 우면당에서 정악의 정수를 맛볼 수 있는 <이건회의 다섯 번째 피리독주회>가 열린다. 국립국악원 정악단 악장 이건회는 국립국악원 제41회, 제48회 창작음악발표회 협연과 독집 음반을 출반하였다. 또한 알기 쉬운 ‘피리교본’ 공저, 초보자용 ‘태평소 교본’을 펴내 정악피리 연주자의 길을 위하여 끊임없이 정진하고 있다. 이 명인의 피리소리는 꿋꿋하고 힘찬 성음으로 피리만이 낼 수 있는 강약과 풀고 조이는 자유자재의 표현력으로 음악을 만들어간다. 이건회의 피리독주회는 2000년 12월 첫 번째 독주회로 염양춘과 취태평지곡 전장을 연주한 것을 계기로, 지금까지 네 번의 독주회를 모두 정악으로 발표했다. 이번 공연은 먼저 이건회의 태평소가 힘차게 포효하는 ‘대취타’로 나발에 정계종, 나각에 김성훈, 징에 이민하, 자바라에 민지홍, 용고에 김인기가 함께 한다. 이어서 찬조출연으로 연주되는 생황4중주 수룡음은 생황에 김철, 단소에 김상준, 양금에 조유회, 아쟁에 김인애가 무대에 오른다. 이후 이건회의 피리독주 ‘상령산’이 연주되며, 찬조출연으로 대금반주(박장원)에 의한 김병오의 12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