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국립진주박물관(관장 장용준)은 임진왜란 특성화 박물관으로서 8월 14일(목)부터 8월 23일(토)까지 ‘제2회 진주성 전투 기억의 날 행사’를 연다. 이번 행사는 작년에 이은 두 번째 행사로 제1차 진주성 전투(진주대첩) 승전의 역사와 제2차 진주성 전투에서 보여준 조선군의 호국정신을 많은 관람객이 기억할 수 있도록 마련하였다. 내용은 ‘진주성 전투 무기 이름 맞히기, 진주성 전투의 무기, 진주성을 지킨 사람들’ 등 모두 3개의 세부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진주성 전투 무기 이름 맞히기’는 8월 14일(목)부터 열흘 동안 운영되는 온라인 수수께끼다. 박물관 누리집에서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50명을 추첨하여 스카프형 손수건(국립진주박물관 특화 문화상품)을 준다. ‘진주성 전투의 무기, 진주성을 지킨 사람들’은 8월 23일(토) 운영되는 현장 참여 행사다. 진주성 전투 당시 사용한 조선의 무기에 대해 알아보고 진주성을 수호한 사람들의 숭고한 뜻을 기리는 의미를 담기 위해 마련되었다. 당일 별도 예약 없이 참여할 수 있으며 친환경 주머니, 진주성 엽서 등 기념품(모두 1,000개)을 선착순 준다. 현자총통(보물), 비격진천뢰, 마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국립진주박물관(관장 장용준, 이하 박물관)이 관람객 1,200만 명을 돌파했다. 박물관은 1984년 11월 2일 개관하여 지난 2014년에 관람객 900만 명을 돌파했고, 개관 이후 40년 만인 2024년 말에 전체 관람객 1,200만 명을 넘어섰다. 진주성 안에 있어 유료입장(진주성 입장료 성인 2,000원, 2025년 기준)인 점을 생각할 때 더욱 뜻깊은 수치다. 더불어 3D입체영상관의 관람객도 2월 현재 109만 명을 넘어섰으며, 연평균 5만여 명이 관람한 인기프로그램으로 자리매김했다. 3D입체영상관은 국내 유일의 임진왜란 특성화 박물관으로 전쟁의 역사와 의의를 생동감 있게 전달하기 위해, 2003년부터 운영한 공간이다. 현재 <진주대첩>과 <의열의 상징, 제2차 진주성 전투> 두 편을 번갈아서 상영 중이다. 입체영화 <진주대첩>은 진주대첩 승전 431돌을 맞아 2023년부터 공개해 왔다. 2003년작 <진주대첩>을 새롭게 제작한 것으로 발전된 그래픽 기술과 새로운 해석, 시나리오로 전투의 박진감과 사실성, 비장미를 높였다. 2011년부터 2021년에는 <명량대첩>을 상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