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황금빛 탈을 쓴 그 사람 방울 채찍 손에 들고 귀신 부리네. 빨리 뛰다가 천천히 걸으며 추는 춤은 봉황이 너울너울 나는 듯하구나. 9세기에 최치원(崔致遠)이 지은 <대면(代面)>이라는 시입니다. 특정한 인물이나 동물을 형상화한 탈 곧 가면을 쓰고 나와 극적인 장면을 연출하는 전통연극을 우리는 탈놀이, 탈춤, 탈놀음이라고 부르는데 처용무, 북청사자놀음, 은율탈춤, 오광대놀이, 송파(양주, 퇴계원)산대놀이, 하회별신굿탈놀이 따위가 있습니다. 위 최치원의 시로 미루어 보면 이미 신라시대에 탈놀이를 즐겼음을 알 수 있지요. 그런데 그 이전 신석기시대 유적인 부산 동삼동에서 나온 조개탈과 강원도 양구에서 출토된 흙으로 빚은 탈이 있고, 고구려 안악 3호 무덤 벽화에도 탈춤 추는 사람이 있는 것으로 보아 탈놀이의 역사는 무척이나 오래된 듯합니다. 다만 신라 때의 처용무처럼 오래전의 탈놀이는 주로 귀신을 쫓기 위한 것이었지만 조선시대 이후 전승된 탈놀이들은 “탈 잡는 일”을 하는 것들입니다. 백성은 지배층인 양반들에게 탈 잡을 일이 많았지만 대놓고 탈을 잡으면 바로 보복 곧 “뒤탈”을 당할 것이기에 탈을 써서 지배층
[우리문화신문=이달균 시인] 쉿, 잠깐 어데서 익히 듣던 목소린데, 장독간 툭바리 깨지는 소리도 같고, 묵사발 엎어지는 소리도 닮은 것이 어이쿠! 내 할망구, 할망구 음성이야. 귀신인가 매구인가 우찌 알고 찾아왔노. 이리 더듬 저리 더듬 모른 척 메방구석을 헤매고 헤매는데 하늘로 솟았나 땅으로 꺼졌나 좌로 갸우뚱 우로 갸우뚱 ㅊ 진주 띠기 니가 여를 우찌 알고 찾아왔노 말린 참외 쪼가리같이 탱탱 곯아 가지고 니 정녕 내 할망구가 틀림은 없으렷다 <해설> 이제 드디어 상봉이다. 집 나간 지 오랜 영감 찾아 묻고 물어 왔으니 그 사연인들 실꾸리 풀면 한 십리는 갈 것이다. 눈물 첩첩 구부야 구부구부를 울고불고 찾아오니, 그 목쉰 음성 참 낯익기도 하다. “장독간 툭바리 깨지는 소리도 같고, 묵사발 엎어지는 소리”도 같은 목소리는 영락없는 마누라가 아닌가. 이를 어쩌나. 아무리 양반이라 하지만 내 이런, 무슨 낯짝으로 만나나. 에라 모르겠다. 장님이나 귀머거리 시늉이라도 하면서 어영부영 모른 척, 못 들은 척이라도 해야지. 하지만 그런 임시변통이 통할 리가 있나. 다리 몽둥이를 분질러 패어도 분이 풀리지 않으련만, 그래도 미우나 고우나 내 영감이 아닌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