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황금빛 탈을 쓴 그 사람
방울 채찍 손에 들고 귀신 부리네.
빨리 뛰다가 천천히 걸으며 추는 춤은
봉황이 너울너울 나는 듯하구나.
9세기에 최치원(崔致遠)이 지은 <대면(代面)>이라는 시입니다. 특정한 인물이나 동물을 형상화한 탈 곧 가면을 쓰고 나와 극적인 장면을 연출하는 전통연극을 우리는 탈놀이, 탈춤, 탈놀음이라고 부르는데 처용무, 북청사자놀음, 은율탈춤, 오광대놀이, 송파(양주, 퇴계원)산대놀이, 하회별신굿탈놀이 따위가 있습니다. 위 최치원의 시로 미루어 보면 이미 신라시대에 탈놀이를 즐겼음을 알 수 있지요. 그런데 그 이전 신석기시대 유적인 부산 동삼동에서 나온 조개탈과 강원도 양구에서 출토된 흙으로 빚은 탈이 있고, 고구려 안악 3호 무덤 벽화에도 탈춤 추는 사람이 있는 것으로 보아 탈놀이의 역사는 무척이나 오래된 듯합니다.
다만 신라 때의 처용무처럼 오래전의 탈놀이는 주로 귀신을 쫓기 위한 것이었지만 조선시대 이후 전승된 탈놀이들은 “탈 잡는 일”을 하는 것들입니다. 백성은 지배층인 양반들에게 탈 잡을 일이 많았지만 대놓고 탈을 잡으면 바로 보복 곧 “뒤탈”을 당할 것이기에 탈을 써서 지배층의 눈길로부터 자기 모습을 가리고, 거리낌 없이 탈을 잡았던 것이지요. 그뿐만 아니라 탈놀이를 통해 탈을 잡는 것은 지배층의 탈을 드러내 경종을 울리는 것과 함께 피지배층인 백성이 정신적으로 입는 탈 곧 스트레스를 날려버리는 일이었습니다. 탈놀이조차 없었다면 백성들의 지배층에 대한 스트레스를 어떻게 날려 보냈을지 짐작기 어렵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