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국립경주문화유산연구소(소장 임승경)는 불국사박물관(관장 불국사 주지 종천스님), 춘추문화유산연구원(원장 양인철)과 10월 1일부터 12월 7일까지 불국사박물관(경북 경주시)에서 ‘2025년 APEC 정상회의’(10.31~11.1.)의 성공 개최를 기원하는 특별전 「솥의 기억, 감춰진 염원」을 함께 연다. * 운영시간: 10.1.(수) ~ 12.7.(일), 아침 9시 ~ 저녁 5시(월요일 정기 휴무) * 불국사박물관: 경북 경주시 불국로 385 이번 전시는 2023년 경주 흥륜사(옛 영묘사터) 서편에서 발굴한 철솥과 솥 안에 담긴 여러 불교 의례 도구, 곡물들을 국립경주문화유산연구소가 약 2년에 걸쳐 보존처리와 과학적 분석을 해 처음 공개하는 자리로, 매납된 철솥과 내부에 담긴 불교 공예품 50건 58점이 출품됐다. 철솥 안에서는 향로, 향완, 촛대, 접시, 금강령, 금강저 등 정교하게 제작된 불교 의례 도구가 담겨있었는데, 이처럼 여러 종류의 유물들이 일괄 출토된 것은 고려시대 불교의례와 신앙세계를 이해할 수 있는 드문 사례다. 또한, 석회와 보리, 벼, 조, 기장, 밀, 콩 등 아홉 종의 곡물도 함께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청장 최응천)은 경주시(시장 주낙영)와 함께 실시 중인 사적 「경주 흥륜사터」의 발굴조사에서 경주 황룡사의 금당과 견줄만한 규모의 2중 기단에 차양칸을 갖춘 ‘대형 금당터’를 확인하였다. 이를 포함한 발굴조사의 성과를 공개하는 현장설명회를 9월 26일 낮 11시에 연다. * 발굴현장: 경상북도 경주시 사정동 285-6번지 * 금당: 절 가운데에 있는 중심건물로 본존불을 모신 큰 법당 * 기단: 건축물을 받치기 위해 흙, 돌 등으로 높게 쌓은 단(시설) * 차양칸: 햇볕을 가리거나 빗물을 막으려고 출입부나 통로의 상부 벽이나 지붕 끝에 내밀어 만든 지붕 경주 흥륜사는 과거 ‘신라의 미소’ 수막새(보물)가 출토된 절로, 최근 발굴조사에서 ‘영묘지사(靈廟之寺)’, ‘영묘사(靈廟寺)’ 등의 글씨기와가 출토되면서 선덕여왕4년(635)에 창건된 영묘사로 보는 견해도 있다. 또한, 지난해 흥륜사터 서쪽 하수관로 설치 공사 관련 발굴조사에서 다량의 고려시대 청동공양구(靑銅供養具)가 출토되어 학계의 주목을 받은 바 있다. 이번 발굴조사에서는 신라에서 조선시대에 걸쳐 사용된 금당의 기단이 드러났는데, 상ㆍ하층의 2중 기단과 내ㆍ외진을 갖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의 허가를 받아 경주시(시장 주낙영)와 (재)춘추문화재연구원(원장 양인철)에서 추진한 경주 흥륜사(경주 사정동) 서편에서 하수관로 설치공사를 위한 발굴조사 중에 남북국시대(통일신라)~고려시대 절 관련한 건물터와 담장터, 우물 등의 유적과 청동 공양구 등 다양한 유물을 확인했다. 현재 흥륜사가 있는 곳은 사적 ‘경주 흥륜사터(興輪寺址)’로 지정되어 있으나, 절 주변에서 ‘영묘지사(靈廟之寺)’ 글씨 기와를 여럿 거두어 학계와 지역에서는 ‘영묘사지터로 보기도 한다. 이번 조사에서 건물의 적심과 담장터 등이 확인된 것으로 보아, 유물이 발견된 곳 역시 사역 범위에 포함될 것으로 추정된다. * 흥륜사(興輪寺): 《삼국유사》에 기록된 신라 칠처가람(七處伽藍) 가운데 하나로 고구려 승려 아도(阿道) 가 창건한 절로 전해지며, 이차돈의 순교로 중창(527~544년)되어 국가 대사찰로 유지되다가 조선시대 에 불타 페사됨 * 영묘사(靈廟寺): 이 역시 신라 칠처가람 가운데 하나로 선덕여왕 때 창건한 절로 전해지며, 조선시대 초기에 폐허된 것으로 알려졌음 * 적심: 마루나 서까래 뒷목을 보강하기 위해 커다란 나무를 눌러 박은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