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최우성 기자] 2014년 4월 16일 인천을 출발한 여객선 "세월호"는 남쪽나라 따스한 제주도로 수학여행을 떠난 어린 학생들과 일반 승객들을 싣고 진도근처를 지나다 원인도 알수없는 사고로 침몰하였다. 그리고 300명이 넘는 고귀한 생명들과 함께 깊은 바다속에 가라앉아 있다.
그런데, 그 세월호에 탓던 생명들을 보호하고 구조해야할 의무가 있던 국가는 도데체 무엇을 하였는지 이를 책임진 세월호의 승무원과 국가재난본부 해양경찰들은 아무런 역할을 하지 않은채 그냥 강건너 불구경하듯 하였고, 순진한 승객들은 안내방송에 따라 구명조끼만 입고 있으면 곧바로 구조될 줄 알았었다. 그리고 삽시간에 바다속으로 뒤집혀서 침몰하는 것을 전국에 생방송으로 중계되었다.
기상악화와 무슨 원인에서인지 부딪혀 발생한 침몰사고는 어쩔 수 없었다고 하더라도, 왜 세월호는 그 원인을 피하지 못했는지 사고의 근본적인 원인은 밝혀야 원통하게 죽어간 사람들에 대한 살아남은 유가족들은 최소한의 부모형제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이고, 앞으로 또 다시 그런 재난이 생긴다 하더라도 사고를 피하고 혹시라도 다시 발생한다 하더라도 신속하고 적절한 대처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세월호가 물속으로 침몰한지 1,000일 즈믄날이 지났건만 그 사고의 원인도 전혀 오리무중이고, 또 사고가 난 후 구조는 왜 할 수 없었는지, 가까이 왔던 구조선들은 왜 접근조차 제대로 하지 못했는지, 국가 재난본부는 무엇을 하였는지 그리고 국가를 책임진다는 대통령은 과연 그 시간에 무엇을 하고 있었는지,... 아무 것도 속시원히 밝혀지지 않았다.
1,000일은 2년 8개월이다. 그 길고 긴 날을 세월호 유가족들은 배가 침몰한 곳에서 가장 가까운 팽목항과 안산 그리고 서울 한복판 광화문광장에 차가운 바닥에 임시움막을 칫고, 무더운 여름과 추운 겨울을 2번씩이나 지내고도, 풀리지 않는 의문을 풀고자 온 몸을 던지고 있다. 하루도 집이 아닌 차가운 바닥에서 지내는 것이 쉽지 않을 것이나, 이들은 1,000일을 생업도 포기한채 그렇게 지내온 것이다. 그런 이들에게 힘이 되어준 것은 마음속으로 응원한 국민들의 성원이었고, 이들의 끊임없는 성원이 1,000일 되는 날에 촛불이 되어 함께 타올랐다.
세월호 1,000일을 맞이하여 이제는 침몰한 여객선 세월호만의 문제가 아닌 한국내 쌓이고 쌓인 부조리와 갈등까지 분출되어 국가 개조를 위한 원성이 광화문 광장에서 함께 메아리 쳤다. 한국사회의 불만은 세월호 침몰사고, 국정교과서 강행, 당사자는 외면한 채 10억엔과 맞바꾼 위안부 합의, 비정규직차별 해고노동자들의 원성 그리고 최순실의 개입에 의한 국정문란이다. 그 불만의 폭발은 대통령의 탄핵으로 이어지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