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 윤지영 기자] 국립중앙도서관(관장 박주환)은 6월 27일부터 ‘족보, 나의 뿌리를 찾아가다’라는 주제로 본관 1층 전시실에서 고문헌 기획전시를 연다.
아버지에서 아들로 아들에서 손자로 전해져 증손, 현손 등을 거쳐 10세, 100세에 이르게 되면, (중략) 한분의 몸에서 나누어진 후손들이 길에서 만난 사람과 같은 처지에 이르게 되니 어찌 슬픈 일이 아니겠는가? - 『경주정씨세보(慶州鄭氏世譜)』(1792년에 후손 우벽(宇璧)이 쓴 서문) -
위 인용문은 자손이 같은 조상에서 출발했다고 하더라도 시대가 흘러감에 따라 점차 멀어져 마치 전혀 모르는 사이처럼 남남이 될 수밖에 없음을 탄식하는 대목이다. 우리 선조들은 조상을 같이 하는 사람들은 결코 서로가 ‘남남’이 아니며 또 남남이 되어서도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가문의 구성원들 간 유대관계를 유지하려는 노력 중 하나가 '족보'이고, 선조들은 각별한 애정을 가지고 족보를 만들었다.

이번 전시에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던 족보뿐만 아니라 그간 우리가 접하지 못했던 색다르고 다양한 족보 관련 고문헌 66종이 선보인다. 전시는 총 4개 세션으로 구성된다. △ 1세션 ‘족보의 역사, 남남이 아닌 우리에서 출발’, △ 2세션 ‘족보 들여다보기’△ 3세션 ‘다양한 신분의 족보 엿보기’, △ 4세션 ‘색다른 족보와 만나다’의 순이다.
조선시대 족보는 남성 중심으로만 기록한 것은 아니었다. 여성도 남성과 함께 동등한 위치에서 그녀가 속한 씨족의 가계를 수록한 《내외보內外譜》도 함께 전시한다. 특히『울산김씨내외보』는 현전하는 가장 오래된 내외보로, 이번 기획전시에서 최초로 공개된다. 족보 오른쪽 끝에 누구의 자손인지 알기 쉽도록 색인을 만들어 놓은 족보를 만나 볼 수 있다. 1,650여명의 후손들을 가지가 무성한 나무의 모양으로 표현한 족보도 처음으로 선보인다. 이것은 시조로부터 내려온 후손들이 마치 나무처럼 하나의 뿌리에서 가지가 수 없이 뻗어 나가고 또 꽃을 피운다는 점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족보의 이름도 ‘꽃이 피는 나무’라는 의미의‘화수도(花樹圖)’라고 붙여져 있다.
국립중앙도서관 관계자는“족보는 한 가문의 계통과 혈연관계를 알기 쉽게 정리한 사료로, 과거의 인물을 다루지만 현재의 자손들이 계속해서 새로 등록되는 현재 진행형의 기록물이자, 가족사를 담고 있다. 족보 속에는 위인뿐만 아니라 평범한 삶을 살다 간 보통 사람들의 이력이 담겨 있으므로 족보를 통해 우리시대에 다시금‘나’의 뿌리를 더듬어 살펴볼 수 있는 자리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고문헌 기획전시 ‘족보, 나의 뿌리를 찾아가다’는 학생들의 방학시기인 6월 27일 화요일부터 8월 27일 일요일까지 국립중앙도서관 본관 1층 전시실에서 관람할 수 있다. 한편, 국립중앙도서관은 6월 26일 월요일 오늘 오후 2시부터 디지털도서관 대회의실에서 이 전시와 연계한 ‘한국과 중국 성씨의 차이, 본관의 기원을 찾아서’라는 주제로 고문헌 강좌를 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