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윤지영 기자] 서울역사편찬원(원장 이상배)은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 ≪서울과 역사≫ 제101호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서울과 역사≫ 제101호에는 총 9편의 논문이 게재되었다. 고고학 분야를 포함하여 조선시대부터 1970년대까지 다양한 시대의 서울 역사를 주재로 한 연구이다.
게재된 논문은 <서울 은평뉴타운 ‘청담사’ 명문 기와 출토 건물지의 성격 검토>(배재훈), <조선후기 도성문 관리 방식의 변동>(홍순민), <‘전동(典洞) 큰길’ 주변의 근대와 조선 벌열가문의 후예들>(배우성), <1928년 경성의 장티푸스 유행과 상수도 수질 논쟁>(백선례), <일제강점기 경성부 교파신도(敎派神道)의 현황과 활동양상>(문혜진), <식민지 조선에서 죽음을 기억하는 두 가지 방식>(정일영), <1960년대 박정희 정권의 미곡 유통정책 변화와 서울특별시 양곡시장조합의 성격>(김민석), <1960년대 서울의 확장과 시영(市營)버스의 등장>(최인영), <서울, 자본의 도시와 교회의 비대화>(이정연)이다.
아시아문화원 배재훈 연구원은 <서울 은평뉴타운 ‘청담사’ 명문 기와 출토 건물지의 성격 검토>를 통해 2007년 은평뉴타운 도시 개발 사업 과정에서 발견된 고려시대 대형 건물지를 사찰로 보는 기존의견에 문제를 제기하고, 고려시대 덕수원(德水院)이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은평 뉴타운 ‘청담사(靑覃寺)’ 명문 기와 출토 유적은 대로변에 위치한 특수한 성격의 건물지이다. 이곳에서는 지난 2007~2008년 발굴조사 과정에서 ‘삼각산 청담사 삼보초(三角山 靑覃寺 三宝草)’라고 쓰여 있는 기와가 발견되었다.
‘삼각산 청담사’는 ‘부아산 청담사(負兒山 靑覃寺)를 지칭하는 것으로 알려져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청담사는 최치원이 해동 화엄의 큰 가르침이 이루어지는 10산 중의 하나로 언급된 곳으로, 신라 불교사에서 매주 중요한 장소였다. 하지만 위치를 확정하지 못하고 있었는데 마침 은평 뉴타운 일대에서 기와가 발견된 것이었다.
이후 학계 논의는 해당 건물(터)에 대해 청담사로서 나말여초 창건 이후 고려 말과 조선초에 크게 중창된 것으로 보는 의견, 청담사로 볼 수 없다는 의견으로 나뉘어졌다.
배재훈은 이 은평구 뉴타운 ‘청담사’ 명문 기와 출토 유적인 고려와 조선시대 개경과 남경, 한성과 개성을 잇는 중요 교통망의 거점에 위치하였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때문에 이 유적은 수행 공간으로서 사찰이 아닌 관용 건물 혹은 원(院) 시설일 가능성이 있고, 그 원이 바로 문헌 기록에 보이는 덕수원(德水院)이라고 주장했다.
그 밖에도 서울의 역사적 흐름 속에서 공간성격을 바라본 연구가 함께 실려있다. 서울시립대 배우성 교수의 <‘전동 큰 길’ 주변의 근대와 조선 벌열가문의 후예들>과 서강대 인문학연구소 정일영 HK연구교수의 〈식민지 조선에서 죽음을 기억하는 두 가지 방식〉이다.
한편 1960년대 이후 서울의 역사를 다룬 연구도 있다. 충북대 김민석 박사의 〈1960년대 박정희 정권의 미곡 유통정책 변화와 서울특별시 양곡시장조합의 성격〉, 서울시립대 서울학연구소 최인영 연구교수의 〈1960년 서울의 확장과 시영(市營)버스의 등장〉, 서울여대 이정연 초빙강의교수의 〈서울, 자본의 도시와 교회의 비대화〉이다.
이 책은 서울시청 시민청 지하1층 ‘서울책방’에서 구매(10,000원)할 수 있으며, 서울역사편찬원 홈페이지(hitory.seoul.go.kr)에서 개별 논문을 다운로드 받거나 열람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