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청장 정재숙)과 미국 프리어ㆍ새클러미술관(관장 체이스 로빈슨, Chase F. Robinson)은 미국 박물관들이 소장하고 있는 고려불화의 다양한 정보를 한 곳에 모아 ‘고려불화 웹사이트’(「고려불화 자세히 보기, Goryeo Buddhist Painting: A Closer Look」)를 구축하고 두 기관 누리집에서 지난 21일 동시 공개했다.
* 고려 불화 누리집: https://archive.asia.si.edu/publications/goryeo/ (크롬 설치)
* 미국 프리어·새클러미술관: 미국 워싱턴DC 소재 스미스소니언협회 소속 아시아미술 전문박물관으로 1923년 개관, 약 4만 여점의 소장품 중 한국 문화재는 771건 952점, 한국실은 1993년 설치 이후 2011년 재개관
프리어ㆍ새클러미술관은 미국 8개 박물관에 소장된 고려불화 16점을 문화재청 예산을 받아 정밀 조사와 고해상도 이미지 촬영, 전문가 도판해설과 심포지엄 등을 거치면서 2013년부터 7년 동안의 노력 끝에 최근 고려불화 종합정보 누리집을 만들었다.
* 고려불화 16점 소장기관: 프리어ㆍ새클러미술관(3점), 메트로폴리탄박물관(5점), 보스턴미술관(3점), 샌프란시스코아시아미술관(1점), 브루클린미술관(1점), 하버드대학교 아서ㆍ새클러박물관(1점), 클리브랜드미술관(1점), 로드아일랜드 디자인학교 박물관(1점)
누리집은 ‘작품’, ‘인물’, ‘논고’, ‘참고자료’, ‘참고문헌’, ‘문양사전’ 등 6가지 주제로 구성되어 있다. ▲ '작품'으로 들어가면 고해상도 이미지의 고려불화 16점을 직접 확인할 수 있으며, 화제(畫題)ㆍ존상(尊像)ㆍ소장기관 등 다양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 ‘논고’에서는 박지선 교수(용인대학교), 정은우 교수(동아대학교), 키슨 윌슨 학예사(프리어ㆍ새클러 미술관) 등 전문가들의 논문이 국영문으로 뒤쳐서 놀려 있어 학문적 차원에서 고려불화의 가치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 ‘문양사전’에서는 중국이나 일본의 불화와 구별되는 고려불화만의 고유한 문양 특징을 이해할 수 있다.
이번 고려불화 누리집 구축에는 정우택 교수(전 동국대)와 키스 윌슨(J. Keith Wilson, 프리어ㆍ새클러미술관) 학예사의 역할이 매우 컸다. 두 사람은 30여 년 동안 학문적 교감을 통해 고려불화가 세계 최고의 예술품이라는 신념을 공유하며 7년가량의 긴 시간 동안 고해상도 사진촬영, 도판 해설ㆍ번역, 소장경위 조사, 누리집 수정ㆍ보완 등 어려운 작업을 직접 수행했다.
덕분에 고려불화 누리집은 진귀한 작품들을 자세히 볼 수 있도록 세밀한 고해상도 이미지와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정우택 교수는 “세계적으로도 인지도가 높은 미국 국립박물관이 고려불화를 위한 별도 누리집을 만들었다는 점은 획기적인 사건으로 특히, 국내기관이 외국박물관 지원 사업을 통해 거둔 최고의 성과라 할 수 있다.”라고 평가했다.
키스 윌슨 학예사는 “진귀한 작품들을 세밀한 고해상도 이미지로 제공한다는 점, 동아시아의 다른 유사한 작품들과 구별되는 13~14세기 한국 고려불화만이 가지는 고유성ㆍ소재ㆍ제작기술에 대한 상세한 특징을 담아내고 있다는 점에서 이번 누리집의 가치가 크다”라고 소감을 말했다.
체이스 로빈슨(Chase F. Robinson) 미술관 관장은 “고려불화 누리집은 국제협력의 중요성을 보여주며, 박물관이 제공하는 디지털 경로로 한국의 진귀한 예술작품에 대한 연구를 발전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다. 아름답고 중요한 예술작품을 전 세계에 새롭게 알리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라고 기대감을 표시했다.
고려불화누리집은 국외문화재(18만 2,080점/2019. 9월) 가운데서 특정 주제의 문화재 정보를 한 곳에 통합하여 보여주는 첫 사례다. 전 세계인 누구나 고려불화의 예술적ㆍ문화재적 가치를 쉽게 이해하고 접근할 수 있도록 조사 단계부터 활용에 중점을 두고 추진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문화재청은 고려불화의 지속적인 보존을 위해 프리어ㆍ새클러미술관과 제작 기법, 재료 등에 관한 공동 연구를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또한, 전 세계인이 나라밖 소재 우리 문화재의 예술적ㆍ역사적 가치와 중요성을 쉽게 접근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누리집 구축 등 활용기반도 적극적으로 마련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