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사진나들이

배달겨레의 영원한 성군 세종대왕 영릉을 찾아서

 

 

 

 

 

 

 

 

 

 

 

 

 

 

 

 

 

[우리문화신문=최우성 기자] 세종대왕(1397 ~1450, 재위 1418 ~ 1450)은 조선의 4대왕으로 즉위하여 조선의 기틀을 굳게 다진 임금으로 배달겨레의 영원한 성군으로 존경받고 있다. 세종은 태종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으나, 큰형(양녕대군) 둘째형(효령대군)을 제치는 과정에 많은 우여곡절을 겪었다. 그런 가운데 성군의 성품을 알아본 아버지 태종이 자신의 뒤를 이을 임금으로 충녕대군(뒤에 세종대왕)을 택하여 임금이 되었다. 또 태종은 임금의 주변에서 권력을 행사할 수 있는 형제들을 비롯한 친적 외척들을 쳐내는 악역을 자처하였고, 훌륭한 인재들를 등용하여 아들인 세종이 임금으로 성공하는데 앞 길을 다져주었다.

 

세종은 아버지 태종이 다져놓은 기반위에서 무난히 왕위에 즉위하여 조선의 문화를 최고로 꽃피웠다. 세종은 백성들이 할 수 없는 어려운 한문공부로 인한 서러움을 늘 안타깝게 생각하여, 자신의 생각한 바를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글자를 만들고자 하였고 결국 세계 으뜸 글자인 한글을 만들었다. 또 나라를 다스리는데 기본이 되는 각종 의례와 제도를 법으로 정하여 누구나 따를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인간사회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방면의 책을 출판하여 농업, 의학, 음악, 과학, 천문학의 발전에 기초를 세웠다. 

 

뿐만아니라 국토의 확장사업을 통하여 한반도 전체를 조선의 영토로 편입하였는데, 김종서ㆍ최윤덕장군을 파견 사군 육진을 설치하여 북방영토를 넓히고, 왜구들을 소탕하기 위하여 이종무장군을 삼군도체찰사로 삼아 병사 일만칠천명으로 대마도를 정벌하여 다시는침략을 하지 않겠다는 다짐도 받았다.  대마도를 정벌한 적이 고려시대에도 여러차례 있었지만 조선조 세종 이후 다시 대마도 정벌은 없었다.

 

세종은 집현전을 설치하여 궁궐에  많은 학자들을 불러들여 학문을 연구하게 하였고, 스스로 공부하는 임금으로 수시로 <경연>을 즐겨하였으며, 방대한 중국의 문헌을 수집하고, 옛 제도를 연구하였고, 이를 우리나라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각종 서적들을 펴냈다. 또 당시 세계는 명나라 중심으로 되어있어  하늘의 별자리 또한 황제국인 명나라에서 만든것을 써야하는 것으로 알았지만, 주변국인 조선은 불편한 명나라의 역법을 따를 수밖에 없었다. 당시 천문학은 북극성을 중심으로 돌고있는 별들을 연구한 것으로, 이를 바탕으로 1년을 정하고 또 12달과 24절기를 정하여 계절에 따르는 농사철의 날짜를 정리한 것이다.

 

따라서 우리에게 맞는 달력을 정하려면 우리나라에서 관측한 천문관측을 바탕으로 하여야 한다는 것은 당연한 것이나 하늘을 연구하는 것은 오직 지상의 중심국인 황제국만이 할 수 있는 것이라는 세계관에 따라 조선은 천문연구를 감히 하지 못하였다. 천문연구를 한다는 것은 스스로 세계의 중심국이 되겠다는 것을 뜻하며, 이는 궁극적으로 중국을 향한 반란을 일으킬 것으로도 간주되는 일이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시대에 세종은 명나라 모르게 천문학자를 양성하여 한양에서 관측한 태양과 별자리를 관측하여  하늘에 가득한 별자리를 자세히 기록한 칠정산내외편(하늘별자리지도)을 편찬하였다. 칠정(七政)이란 해와 달, 수성, 화성, 목성, 토성, 금성으로 태양을 중심으로 태양의 행성으로 지구와 가장 가까이 있는 별들을 뜻한다.

 

세종은 국가의 가장 중요한 산업인 농업에 반드시 필요한 자료를 만들기 위하여, 강우량을 측정하는 측우기를 발명하고, 도량형을 확정하여, 지방마다 다른 저울과 자를 통일하였으며, 음악의 기본음인 황종률를 낼 수 있는 표준 황종관을 만들기도 하였다.

 

또한 연구한 책들을 널리 펼치기 위하여 금속활자를 만들어 많은 책을 펴내 백성들에게 보급하였다.  세종은 국방을 위하여 각종 총통, 화포의 주조법과 화약사용법 등을 글과 그림으로 그려서 책으로 펴냈고, 농업의 생산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각종 농업서적도 펴냈으며, 그동안 중국의 약제를 중심으로 쓰인 의학서를 개편하여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약제 중심으로 《향약집성방》, 《의방유취》, 《향약채취월령》 등을 펴내 한의학의 체계를 바로 잡았다.

 

이런 성군인 세종은 1450년 54살의 나이로 승하하여, 살아서 아버지 태종의 옆에 묻히고자 한 세종의 뜻에 따라 현재 서울 서초구 헌릉(태종의 능) 옆에 모셨다가 그곳은 결코 명당이 아니라는 많은 신하들의 상소에 따라, 결국 예종 원년인 1469년 현재의 여주 영릉(英陵)으로 옮겨왔다. 

 

이곳에는 세종과 그의 왕비인 소현왕후가 함께 모셔진 영릉(英陵)과 함께 또 하나의 영릉(寧陵)이 있는데, 병자호란으로 청나라에 볼모로 잡혀갔다 돌아와 잠시 왕위에 오른 이래 늘 북벌계획을 세웠던 효종과 그의 비인 인선왕후가 함께 모셔져 있다. 세종의 영릉(英陵)과 효종의 영릉(寧陵)은 합하여 사적 제195호로 지정되어 보호되고 있으며, 지금은 세계문화유산 조선왕릉의 하나로, 가장 많은 탐방객들이 찾는 조선왕릉이기도 하다.

 

여주시는 세종대왕의 영릉을 지역상품화 하여, 적극 활용하고 있다. 그것은 바로 <임금님표 여주쌀>로 한국에서 생산되는 지역상품 가운데 최고의 상표가치를 자랑한다. 그리하여 임금님표여주쌀은 경기미 중에서도 가장 비싸게 팔리고 있다. 여주쌀은 인기가 많아서 추수하기 전에 미리 계약금을 내지 않으면 맛도 볼 수 없다고 한다.

 

기자정보

프로필 사진
최우성 기자

최우성 (건축사.문화재수리기술자. 한겨레건축사사무소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