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일제강점기, 조국독립을 위한 희생과 헌신의 삶을 살다 순국한 안중근 의사의 주검이 하얼빈산(産) 소나무로 만든 관에 안치됐다는 순국 당시의 중국 현지 신문 기사를 처음으로 발굴해 26일 공개했다. 국가보훈처(처장 박민식)는 안중근 의사 의거 113돌을 맞아 안중근 의사가 여순감옥에서 순국한 직후 중국 현지에서 보도된 안 의사 주검에 관한 기사와 안중근 의사의 어머니인 조마리아 여사의 사회장 거행에 관한 기사를 처음으로 발굴해 공개했다.
해당 자료는 국가보훈처와 주상하이총영사관이 독립유공자 발굴ㆍ포상에 필요한 입증자료 수집을 위해 지난 1년여(2021년 5월 ~ 2022년 8월) 동안 공동으로 ‘일제강점기 중국에서 발행된 신문과 간행물 88종’ 가운데 독립운동 관련 기사 3만 3천여 매를 발췌한 뒤 분석하는 과정에서 발굴됐다.
첫 번째는 중국 만주지역 발행신문인 <성경시보(盛京時報)>에서 안중근 의사의 순국(1910.3.26.) 나흘 뒤인 1910년 3월 30일에 보도한 기사로, 안 의사의 둘째 동생인 안정근 지사가 안 의사의 주검을 한국에 옮겨 매장할 수 있도록 요청하였으나, 일본당국이 거부한 사실과 당시의 정황을 상세히 서술하고 있다.
* 여순감옥 공동묘지는 다수의 증언과 연구자들이 매장지로 강하게 추정하는 곳임
당시 안정근 지사의 요청에 대해 일본당국은 “주검은 다른 사형수와 같이 감옥이 관리하는 사형수 공동묘지에 매장될 것이라고 대답” 하였는데, 이는 안 의사의 주검이 당시 여순감옥 내 공동묘지*에 묻혔을 것이라는 유력한 가설을 한 번 더 뒷받침해주고 있다.
* 여순감옥 공동묘지는 다수의 증언과 연구자들이 매장지로 강하게 추정하는 곳임 |
요청이 거절된 직후 안정근 지사는 당시 안 의사와 일정한 친분관계가 있었던 감옥 관리자에게 간곡히 부탁했다. 이에 감옥 관리자는 “고심 끝에 파격적으로 하얼빈의 소나무로 만든 관에 주검을 안치하고 조선 풍속에 따라 관 위에 흰 천을 씌우도록 하고, 영구(靈柩)를 감옥 내의 교회당에 둔 뒤 우덕순 등 3명의 죄수들* 에게 조선 예법에 따라 두 번 절을 하게 하여 고별식을 치르도록” 허락하였다.
* 1909년 연해주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안중근 이하 네 명이 이토 히로부미 암살을 계획하여 차이자거우에서는 우덕순과 조도선이, 하얼빈에서는 안중근이 각각 대기하고 유동하는 통역과 연락을 담당하였음. 10월 26일 러시아 경비병의 방해로 우덕순과 조도선의 계획은 실패하였고, 하얼빈역에 도착한 이토 히로부미에게 안중근이 쏜 4발의 탄환 가운데 3발이 명중하였음. ** 안중근(’62,대한민국장)ㆍ우덕순(’62,독립장)ㆍ조도선(’62,독립장)ㆍ유동하(’88,독립장) |
특히, 안중근 의사의 주검이 하얼빈 소나무로 제작된 관에 안치됐다는 내용은 물론, 그간 안중근 의사 주검의 행방을 형무소 관계자의 회고록, 일본 정보보고서를 통해 추정해 오다 이번에 처음으로 여순감옥이 있는 중국 만주 현지에서 당시에 이를 보도한 기사를 발견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안중근 의사 연구 권위자인 오영섭 박사는 “안 의사의 관을 하얼빈산 소나무로 제작했다는 내용은 처음 밝혀진 귀중한 사실”이라며, “안 의사의 주검 찾기에 있어서 작지만 유익한 단서를 얻은 점에서 사료적 값어치가 크다고 판단된다”라고 말했다.
두 번째는 중국 상해 발행신문인 <민국일보(民國日報)>의 1927년 7월 19일 자 기사로, 안중근 의사의 어머니인 조마리아 여사의 생전 독립운동 활동과 사회장 거행을 다루고 있다.
특히, 안중근 의사의 주검이 하얼빈 소나무로 제작된 관에 안치됐다는 내용은 물론, 그간 안중근 의사 주검의 행방을 형무소 관계자의 회고록, 일본 정보보고서를 통해 추정해 오다 이번에 처음으로 여순감옥이 있는 중국 만주 현지에서 당시에 이를 보도한 기사를 발견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안중근 의사 연구 권위자인 오영섭 박사는 “안 의사의 관을 하얼빈산 소나무로 제작했다는 내용은 처음 밝혀진 귀중한 사실”이라며, “안 의사의 주검 찾기에 있어서 작지만 유익한 단서를 얻은 점에서 사료적 값어치가 크다고 판단된다”라고 말했다.
두 번째는 중국 상해 발행신문인 <민국일보(民國日報)>의 1927년 7월 19일 자 기사로, 안중근 의사의 어머니인 조마리아 여사의 생전 독립운동 활동과 사회장 거행을 다루고 있다.
1910년 안중근 의사가 여순감옥에서 순국할 당시 “친동생(안정근)이 장례를 위해 주검을 원했으나 일본관리가 그 주검을 강탈하여 돌려주지 않았고” 어머니 조마리아 여사는 이에 분노하여 두 아들인 정근과 공근을 이끌고 러시아로 이주하여 애국 사업에 매진하였다. 이후 1919년 한국에서 3·1만세운동이 일어나자 다시 두 아들과 함께 상해에서 독립운동을 펼쳤다.
조마리아 여사는 1927년 봄에 우연히 병을 얻어 영국 조계지의 병원에 들어가 치료받았지만, 병세가 악화하여 그해 7월 15일 향년 66세의 나이로 세상을 떴다. 기사에서는 “상해의 많은 한국 동포들이 그의 죽음을 애도하였고 이에 따라 특별히 사회장이 거행되어 19일에 발인하기로 하였다”라고 보도하고 있다. 이번 발굴 기사는 안중근 의사의 순국 이후 안 의사를 계승하여 러시아와 상해 등지에서 독립운동을 펼친 조마리아 여사와 안 의사 형제들의 삶을 조명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러시아지역 독립운동 연구 권위자인 박환 수원대학교 교수는“그동안 대한민국임시정부 산하 상해 한인교민단 교민장으로 알려졌던 조마리아 여사의 장례식이 그보다 높은 예우인 사회장으로 치러졌다는 점이 새롭게 확인되었다”라고 밝혔다.
추가로 확인된 <신보(申報)> 1927년 7월 18일 자 기사에 따르면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김구, 이동녕, 조완구, 차리석, 홍진 등의 독립운동가들이 호상위원(護喪委員)으로서 장례에 참여, 조마리아 여사가 대한민국임시정부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함께, 국가보훈처는 이번 ‘일제강점기 중국에서 발행된 신문 및 간행물 88종’ 분석을 통해 독립운동에 참여한 것으로 추측되는 인물 2,000여 명을 확인, 이 가운데 미포상 독립운동가에 대한 포상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앞으로도 독립운동가에 대한 사료수집을 위해 상하이총영사관과 상하이 당안관 문서 수집 등을 긴밀히 협조해 나갈 계획이다.
박민식 국가보훈처장은 “이번 안중근 의사의 순국 관련 기사와 관련 자료를 집중적으로 수집함으로써, 안중근 의사의 주검 발굴이 하루라도 더 빨리 이뤄질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국가보훈처는 안중근 의사 주검 발굴을 위해 중국 정부와 지속적으로 협의를 진행하고 있으며, 안중근 의사 주검의 정확한 매장지 파악을 위해 관련국 주요 문서보관소 등에 대한 조사도 병행 추진하고 있다.